비단 해양학자가 아니더라도 차세기는 해양혁명의 시대, 해양기술산업시대가 될 것이라는데 이견을 달지 않는다. 바다의 가능성, 보다 구체적으로 바다산업의 가능성은 다음 몇가지의 사실만 보더라도 충분히 미뤄 짐작할 수 있다.우선 바다는 육지와는 비교도 될 수 없을 만큼 많은 생물, 광물,에너지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구상의 동식물 80%는 바다에 있다. 바닷물은 지구상의 물 99%를 차지하고 있으며 물 1㎦속에는 3천9백만t의 광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우라늄 리튬 같은 희귀원소를 비롯해 실리콘 망간 코발트 티타늄 등 신소재가 널려 있으며 항균제라든가 AIDS 치료제, 초전도 세라믹, 바이오 센서 등공업 원료들도 해저와 해수에 부존되어 있다. 에너지 자원 역시 매우 풍부하다. 조력발전, 파력발전 등은 이미 부분적으로 실용화 되고 있고 바닷물 속의 중수소는 핵융합 발전의 원료로 사용되기를기다리고 있다.21세기의 해양 산업은 크게 나눠 해양농장을 통한 양식어업, 해양광업, 해양에너지 산업, 해양공간 이용산업이 주축을 이루게 될 것으로 보이며 전세계적 시장규모는 2000년3천5백억달러(2백80조원), 2010년 5천억 달러에 이르러 세계 총경제 규모의 18%를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치가 제시되고 있다. 세계경제를 움직이는 산업 5개 가운데 하나는 해양산업과 관련된 분야라는 얘기다. 그만큼 잠재력이 큰 것이 해양산업인 것이다.우선 양식어업의 경우 기존의 수산업 개념을 크게 뒤바꿔 놓을 것이 분명하다. 전세계의 해양생물 생산량은 약 1억t 내외로서 전체식량에의 기여도는 6~7%에 불과하다. 아직은 극히 미약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전 세계적으로 잡히고 있는 어류는 전체 2만5천여종 가운데 1%도 안되는 1백여종에 지나지 않는다. 그 가운데에서도 멸치 정어리 대구 명태 등 30여종이 전 어획고의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물론 고기 잡는 기술을 개발해 심해어 등 대상어종을늘릴 경우 어획고는 늘어나겠지만 여기에도 한계는 있다. 어장을둘러싼 각국간의 제한조치로 인해 원양어업이 위축되고 있는데다근본적으로는 남획과 오염으로 어족자원이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따라서 앞으로는 채취보다는 양식업을 통한 조달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유전공학의 눈부신 발달은 양식생산량을 크게증가시킬 전망이다. 이미 캐나다에서는 연어의 성장속도를 자연산에 비해 35배 이상 촉진시키는 기술을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아울러 바다에서의 생물 생산은 육상에 비해 여러 가지로 유리한점이 많다. 육상에서는 1년 동안 제한적인 기간에만 경작이 가능하고 땅의 내구연한도 있으나 해양양식은 수면, 수중 및 해저면을 동시에 입체적으로 활용해 일년내내 복합재배와 고밀도 사육이 가능하다. 또 어류는 육상동물에 비해 성장속도도 훨씬 빠르고 사료전환 효율도 높다. 관련 학자들은 이같은 점을 들어 양식어업은 수천년전 육상에서의 농업의 출현과 비견되는 획기적인 일이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수렵에서 정착 농업으로 발전했듯, 돌아다니며 잡는어업에서 길러 먹는 어업으로 전환하게 된다는 설명이다.해양광업 역시 육상 광업을 대체할 것으로 전망된다. 석유와 가스는 물론 심해저의 망간 단괴 개발, 구리 아연 은 몰리브덴 등을 함유한 다금속유화광물의 채광, 해수로부터의 희귀금속 및 에너지 추출 등이 이에 속한다.해양에너지 산업은 대상자원이 재생가능하고 무공해이며 무한정하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현재는 대부분이 실험 단계에 머무르고있지만 기술적으로 실용 가능성은 입증된 상태다. 에너지 문제의완전한 해결은 인류의 영원한 과제라고 할 수 있는데 해양에너지산업의 발전 여하에 따라서는 이 숙제를 풀 수도 있을 것으로 학자들은 보고 있다.◆ 해양산업 21C 총경제 규모 18% 차지할 듯또한 해상공간 건설은 육상의 부지난을 타개하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겠으나 더 나아가서는 깨끗한 해양환경을 활용함으로써 쾌적한 삶을 도모하고자하는 의미도 있다. 도시 공장 발전소 정유시설담수화공장 용존물추출기능 등을 두루 갖춘 해상 콤비나트나 해양정보 도시 등이 차세기에는 현실화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이미 바다는 세계 수출입 화물의 95%를 담당하고 있다. 이 비율은21세기에 들어서도 결코 줄어들 것으로는 예상되지 않는다. 바다는세계 경제의 「마지막 개척 영역(The Last Frontier)」으로 불리고있다. 과학기술발전 속도의 가파른 상승세를 감안한다면 수천년간닫혀있던 바다의 「가능성」이 그 실체를 드러낼 날도 멀지 않다는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전망이다.해양과 관련된 국력은 곧 그 민족의 생존권 및 국가 위상과 직결된다. 금세기 초까지 해양국가로 위명을 떨쳤던 영국은 오늘날 그 영화는 잃었으나 잘 교육된 인적 자원과 자유화된 기업활동으로 인해여전히 해운 관련 서비스분야에서 세계를 주도하고 있다. 예컨대선박매매의 50% 이상, 해상보험의 50%, 로이즈 선급협회의 선박검사시장에서의 점유율 세계 최대(신 조선은 28%) 등을 자랑하며 그밖에 법률 회계 컨설팅 출판 등의 분야에서도 선도적이다. 또 세계최강대국으로서의 미국의 지위를 유지하는데 있어 항모를 비롯한해군력이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이에 반해 한국은 과거 유교문화의 영향으로 바다를 경시해온데다근대에 들어서도 육지·내륙중심의 개발정책에 치중함으로써 상대적으로 해양분야의 발전은 부진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3면이바다고 1면이 대륙과 접해있는 한국은 해양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는 최적의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산업구조나지경학(地經學)적 측면에서 볼때도 바다로 눈을 돌리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해양과 관련된 국력, 민족의 생존권과 직결현시점에서 한국 해양산업의 발전 수준은 분야별로 적잖은 편차를보이고 있다. 해양산업을 1차(수산업), 2차(조선 및 해저광물/석유개발), 3차(해운 항만) 산업으로 분류해 볼 때 수산업과 조선, 해운업은 양적인 면에서 세계 상위국가로 평가되나 해양과학 및 질적인 면에서의 조선기술은 아직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수산물 생산량은 연간 약 3백30만t 내외로 세계 8~9위, 수출은 연간 1백56억 달러 정도로 5위권을 형성한다. 특히 양식업은 과거10여년 사이에 50배 이상의 눈부신 신장세를 보였다. 조선업은 기술력과 시설수준면에서 세계 최고의 지위를 확보하고 있지만 기술자립도와 기자재의 국산화 비율, 전문 기술인력의 양성 등은 취약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해운 및 항만시설과 관련해서는 1995년 상선대 보유 규모면에서 세계 9위를 기록했으며 부산항의 컨테이너 화물처리량은 세계 5위에달했다. 본격적인 경제개발이 시작된 60년대 이후 지난 30여년간이룬 성장으로서는 대단한 성과라 하지 않을 수 없다.특히 주목해야할 대목은 해운 즉 물류분야다. 21세기 세계경제의성장축이 서태평양으로 이동하면서 동북아 경제권은 세계의 중심지로 부상될 가능성이 높다. 일각에서는 한국과 북한을 비롯해 중국동북지역, 러시아의 극동 지역, 일본 등으로 구성된 자유무역지대가 형성되고 이 경우 중심권에 위치한 한국이 핵심 물류센터로서의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기도 하다. 한반도는 동북아를 배후지로 하고 일본을 방파제로 하는 천혜의 입지 조건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여건을 최대한 활용해 항만과 TKR(TransKorea Railroad), TCR(China), TSR(Siberia), TMGR(Mongol),TMR(Manchuria) 등 내륙철로를 연결하는 연계 운송망을 구축해야한다는 것이다.이밖에 해저석유개발산업이나 해저광업, 인공섬 해저터널 관광시설등 해양토목업 등의 분야에서는 초기 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다만국토가 좁다보니 해양공간이용에 대한 수요가 커서 해양토목사업전망은 상당히 밝은 편이다.오는 2000년까지 농경지 공업단지 양식장 관광휴양지 비행장 항만등의 건설을 위한 해양공간 수요는 약 3천1백50㎢(남한 면적의30분의 1), 국내시장규모는 약 10~16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있다.중국 일본 러시아 등 해양강국과 인접하고 있는 한국의 입장에서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해양정책의 수립은 21세기의 생존문제와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첨단 과학기술 진보에 따라 해양개발 영역이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으며 아울러 21세기에 크게 개화할 산업중 상당 부분이 해양산업과 연관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해양산업에대한 투자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게 전문가들의 제언이다. 이제해양산업은 국가안보 측면은 물론 무한 경쟁구도 속에서 살아남기위한 방안으로서도 정책상 최우선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고 할 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