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설<자유부인 designtimesp=21267>서 <고등어 designtimesp=21268>까지시대상황 묘사광복 직후 거친 변혁과 다망의 회오리 속에서는 제대로 소설을 읽을 틈도 없었던지 유행했던 베스트셀러도 꼽을 수 없다. 그리고 다시 민족상잔의 비극이라는 한국전쟁. 소설이 사람들의 삶 속에 파고들어가 위로가 되기위해서는 전쟁이 끝나기를 기다려야 했다.장안의 화제를 불러일으키며 사회를 떠들썩하게 했던 정비석의 <자유부인 designtimesp=21271>도 54년이 돼서야 나왔다. 대학교수의 부인이 바람을 피운다는 내용의 <자유부인 designtimesp=21272>은 당시 사회에 파문을 일으키며 그 때까지도 양반의 도리를 운운하고 있던 많은 사람들에게 「아니 이럴수가」를 연발하게 했다. 이 책은 그 다음해까지 8만권이 팔렸는데 당시로는 대단한 베스트셀러였다.60년대는 최인훈의 <광장 designtimesp=21275>이 열었다. 한국전쟁후 남한도 북한도 선택하지 않고 제 3국에서 살기를 원했던 한 지식인의 얘기는 전쟁이남긴 정신적인 상처로 아파하던 사람들의 공감을 이끌어냈다.70년대는 산업화와 도시화로 황폐해진 고향 사람들을 그린 소설이대유행이었다. 이 틈에 생겨난 것이 호스티스소설. 최인호의 <별들의 고향 designtimesp=21276> 조선작의 <영자의 전성시대 designtimesp=21277> 등 시골의 순박한 처녀가 호스티스로 전락한다는 내용의 통속소설은 그 시절 사람들의 눈물샘을 자극했다.80년대는 김홍신의 <인간시장 designtimesp=21278>으로 시작됐다. 잘 싸우는 한 청년이사회악을 통쾌하게 물리친다는 내용은 사람들에게 대리만족을 주기에 충분했다. 김신의 <대학별곡 designtimesp=21279>과 강석경의 <숲 속의 방 designtimesp=21280>은 암울했던 80년대를 살아가는 대학생의 절망과 우울을 그려내 베스트셀러 대열에 올랐다. 이문열의 <레테의 연가 designtimesp=21281>와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designtimesp=21282>는 흔하디 흔한 사랑얘기는 언제나 사람들의 관심을 모은다는 사실을 다시 확인시켜 줬다.90년대 들어와서는 <소설 동의보감 designtimesp=21283> <소설 목민심서 designtimesp=21284> 등의 역사소설이 베스트셀러를 휩쓸다가 뒤이어 이인화의 <영원한 제국 designtimesp=21285> 김진명의 <무궁화꽃이 피었습니다 designtimesp=21286> 등 선이 굵은 남성소설들이 크게 인기를 끌었다. 운동권 학생들의 후일담을 그린 공지영의 <고등어 designtimesp=21287>는지난해에 화제를 모은 작품. 숨막히는 경쟁현실에 적응해야만 살아갈 수 있는 현대인의 강박증을 어느 정도 풀어준다는게 <고등어 designtimesp=21288>의매력이었다.◆ 영화흥행성공 숱한 히트작·월드스타등 양산50년대에는 소설로 히트쳤던 <자유부인 designtimesp=21295>(한형모감독)이 영화로도만들어져 화제를 모았다. 이외에 <피아골 designtimesp=21296>(이강천감독)<무영탑 designtimesp=21297>(신상옥감독) <춘향전 designtimesp=21298>(이규환감독)이 만들어져 전쟁에 지친 사람들의 심신을 달래줬다.60년대는 영화의 시대였다. 60년대 중반 한국영화 제작편수는 한해2백여편(현재 60∼70여편)에 달했고 국민 1인당 방화 관람횟수도5회(현재 1.1회)를 기록, 가장 대중적인 문화이자 여가형태로 절정기를 구가했다. 한국 리얼리즘영상의 백미인 <오발탄 designtimesp=21299> <돌아오지않는 해병 designtimesp=21300> <맨발의 청춘 designtimesp=21301> 등 수작이 쏟아졌으며 김지미와 신성일엄앵란을 비롯, 여배우 트로이카인 윤정희 남정임 문희 등이 스크린을 수놓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60년대의 대히트작은 68년에 개봉된 정소영감독의 <미워도 다시 한 번 designtimesp=21302>이었다. 신파극의 전통을고스란히 계승한 이 영화는 서울 개봉관에서만 40만명의 관객을 동원하는 위력을 발휘했다.70년대는 소설에서와 마찬가지로 호스티스 영화가 붐을 이뤘다.<별들의 고향 designtimesp=21303> <영자의 전성시대 designtimesp=21304> 등이 관객들의발길을 끌었다. 호스티스로 나오는 주인공은 대개 남자에게 버림받았거나 병든 부모님과 어린 동생들을 먹여살려야 하는 가련형의 여성들이다. 성을 상품화하되 멜로드라마적 요소를 가미, 「누이좋고매부좋은」식의 영화였다.70년대의 화제작으로 <겨울여자 designtimesp=21308>도 빼놓을 수 없다. 사랑하는 사람마다 모두 죽어 버리는 불행한 여자 장미희의 애수어린 얼굴이 많은 남자들의 가슴을 울렸던 영화였다.80년대에는 토속적인 주제를 다룬 <물레야 물레야 designtimesp=21309> <뽕 designtimesp=21310> <씨받이 designtimesp=21311>등이 주류를 이뤘다. 80년대의 영화를 얘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인물이 강수연이다. 한국을 대표하는 월드스타로 <씨받이 designtimesp=21312>와 <아제아제 바라아제 designtimesp=21313>로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한 배우. 80년대의 히트작으로는 <겨울나그네 designtimesp=21314>를 꼽을 수 있다. 이 영화는 정통 멜로물의 형식을 그대로 계승, 많은 사람들의 손수건을 적셨다.장미희와 안성기가 주연한 <깊고 푸른 밤 designtimesp=21315>도 80년대의 화제작.80년대의 또다른 특징은 유부녀의 방황을 그린 작품이 유행했다는점. <애마부인 designtimesp=21316>시리즈와 <김마리라는 부인 designtimesp=21317> <유부녀 designtimesp=21318> <이혼법정 designtimesp=21319>등이 대표작이다. 중년의 부인이 무심한 남편에게서 소외감을 느끼다가 연하의 남자를 만나 바람을 피운다는게 공식적인 내용.90년대는 대형 히트작들이 속속들이 선보이기 시작했다. 임권택 감독은 <장군의 아들 designtimesp=21320>과 <서편제 designtimesp=21321>로 잇달아 흥행에 성공, 영화도 잘만들고 흥행도 잘 시키는 감독으로 떠올랐다. 이외에 대형 히트작으로 <투캅스 1,2 designtimesp=21322>와 <너에게 나를 보낸다 designtimesp=21323> <은행나무침대 designtimesp=21324>를 나열할 수 있다.◆ 가요통기타·대형가수이어댄스뮤직 시대광복과 함께 유행한 노래는 <귀국선 designtimesp=21331>. 이 가요는 광복의 기쁨을 담은 내용으로 46년에 크게 히트쳤다. 그러나 광복의 감격도 잠시.민족사에 비극으로 기록되는 한국전쟁이 발발했다. 전쟁의 영향으로 가요도 이별을 주제로한 <단장의 미아리고개 designtimesp=21332>와 <이별의 부산정거장 designtimesp=21333>이 유행했다.60년대는 가요산업이 본격적으로 부흥하기 시작한 시기다. 박시춘손목인 등 트로트의 대가들이 탄생했고 길옥윤 이봉조 등 팝송에영향받은 실력있는 작곡가도 가세했다. 무엇보다 이미자의 <동백아가씨 designtimesp=21334>가 발매 첫해인 62년에 50만장의 음반판매고를 올린 것은 한국가요사에 남는 「사건」이었다. 우리 가요를 말할 때 이미자라는이름은 빼놓을 수가 없다. 엘레지의 여왕이라는 별칭이 따라붙는이미자는 명실공히 한국 가요계를 대표해왔다. 출반한 앨범만도 수백장에 달하며 수천곡의 노래를 발표했다. <열아홉 순정 designtimesp=21335> <임이라부르리까 designtimesp=21336> <울어라 열풍 designtimesp=21337> <유달산아 말해다오 designtimesp=21338> 등이 60년대에 발표된 이미자의 노래다. 60년대말부터 70년대초까지 활동한 배호도 가요사에 남는 가수. 배호가 불렀던 <돌아가는 삼각지 designtimesp=21339> <안개낀 장충단 공원 designtimesp=21340> <누가 울어 designtimesp=21341> 등은 아직도 노래방의 인기가요 목록에 들어간다.70년대 초반은 통기타가수들의 시대였다. 송창식 김민기 양희은 등이 70년대를 대표하는 가수들. 콧수염과 장발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타가수들은 젊은이들의 배출구 노릇을 톡톡히 했다. <왜불러 designtimesp=21342><친구 designtimesp=21343> <아침이슬 designtimesp=21344> 등이 유행했으나 모두 금지곡으로 묶이기도 했다.남진과 나훈아 역시 70년대 가요를 얘기할 때 빠질 수 없는 이름들이다. 남진은 <울려고 내가 왔나 designtimesp=21347> <마음이 약해서 designtimesp=21348> <님과 함께 designtimesp=21349><미워도 다시한번 designtimesp=21350> 등을 히트시켰고 나훈아는 <사랑 designtimesp=21351> <두줄기 눈물속에 designtimesp=21352> <고향역 designtimesp=21353> <대동강아 울지마라 designtimesp=21354> <해변의 여인 designtimesp=21355> 등을 불렀다.이외에 록음악을 국내에 선보인 <미인 designtimesp=21356>의 가수 신중현도 70년대의가수로 꼽을 수 있다.80년대는 조용필이라는 대형가수의 시대였다. 75년에 <돌아와요 부산항에 designtimesp=21357>를 히트시키며 나타난 조용필은 대마초사건에 연루돼 몇년간 가요계를 떠나 있다가 80년에 <창밖의 여자 designtimesp=21358>로 화려한 재기에성공했다. 이 후 <한오백년 designtimesp=21359> <촛불 designtimesp=21360> <미워 미워 미워 designtimesp=21361> <고추잠자리 designtimesp=21362> <단발머리 designtimesp=21363> 등을 잇달아 히트시키며 한국의 슈퍼스타 가수로 가요계를 평정했다. 80년대에 유행했던 또다른 노래로는 이용의 <잊혀진 계절 designtimesp=21364>을 들 수 있다.90년 초반은 트로트 열풍으로 시작됐다. 주현미의 <신사동 그사람 designtimesp=21365>태진아의 <옥경이 designtimesp=21366> 현철의 <봉선화 연정 designtimesp=21367> 등이 인기를 끌었다. 트로트 열풍이 시들해지면서 나타난 특징은 가요의 「시각화」. 서태지와 아이들이 등장하면서 가수는 노래를 잘 불러서만은 인기를 유지할 수 없게 됐다. 10대가 음반판매를 좌우하는 주소비자층으로등장하면서 댄스실력을 기본적으로 갖춰야 톱가수 대열에 들어갈수 있게 됐다. 서태지와 아이들의 <난 알아요 designtimesp=21368>와 <하여가 designtimesp=21369> 김건모의 <핑계 designtimesp=21370>와 <잘못된 만남 designtimesp=21371> 김수희의 <애모 designtimesp=21372> 신승훈의 <보이지 않는 사랑 designtimesp=21373> 룰라의 <날개잃은 천사 designtimesp=21374> 등이 90년대 히트작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