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민정부의 최대 경제정책업적이라 할수 있는 금융실명제는 아직미완의 개혁으로 남아있다. 금융실명제전격단행에 대해 응답자84%가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으나 그 수행과정에 대해서는 잘되고있다는 의견(48%)과 그렇지 않다는 의견(46%)이 반반이었다.유보적인 반응을 보인 셈이다. 응답집단별로 볼때 수행정도에 대한긍정평가는 중소기업경영자(51%), 금융 및 보험업종간부(68%)들 사이에서 높았고 대기업간부 및 대학교수들은 상대적으로 낮았다.금융실명제가 잘 추진되고 있다는 의견을 보인 응답자들은 이 정책시행으로 인해 음성적 거래가 제한된 점을 그 주된 이유로 들었다.반면 부정적인 평가를 내린 응답자들은 아직까지 대기업간부 및 공직자의 비위가 저질러지고 있고 지하경제 상존, 집행단계에서의 시행착오를 거듭하고 있는 점을 그 이유로 들었다. 이는 금융실명제실시에도 불구하고 잇따라 불거진 일부 대기업의 공무원에 대한 뇌물공여사건, 대형금융비리사건등이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정부는 금융실명제를 실시하면서 음성적 거래차단을 통한 경제활성화를 목표로 내세웠다. 그러나 응답자들은 금융실명제가 기업의 경제활동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했다는 평가를 내려 금융실명제의 당초 취지는 퇴색한 분위기다. 금융실명제가 기업의 경제활동에어느 정도이 도움되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52%가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답변했고 도움이 된다는 응답은 38%에 불과했다.금융실명제의 경제활동 기여도에 대한 의견은 응답집단별로 차이를보였다. 기업인(63%) 및 금융·보험업계간부(59%)들은 기업경제활동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평가를 내린 반면 학계(대학교수 및 대학생)에서는 도움이 된다고 엇갈린 평가를 내렸다. 현장에서 느끼는 체감지수와 학계에서 보는 시각이 다른 셈이다.금융실명제가 기업경제활동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함에 따라응답자들은 사채시장양성화를 그 대안으로 제시했다. 사채시장양성화에 대해 대학생들(40%)만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을 뿐 기업인,금융 및 보험업간부,대학교수들은 사채시장을 하루빨리 양성화,제도권으로 흡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융실명제실시이후 한동안주춤했던 사채시장이 최근들어 다시 활기를 찾고 있는 점을 감안할때 이를 제도금융권으로 흡수하는 방안도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는것이 경제전문가들의 시각이다.부동산실명제에 대한 경제전문가들의 평가는 금융실명제와 비슷하다. 금융실명제와 마찬가지로 발상은 좋으나(긍정평가율 88%) 그추진과정등 구체적 실행에 대해서는 잘되고 있다는 의견(36%)과 그렇지 않다는 의견(41%)이 엇비슷하게 나타났다.부동산실명제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응답자들은 차명거래가줄어들고 명의신탁이 인정되지 않아 기득권층의 재산은닉이 어렵게된 점을 주된 이유로 들었다. 그러나 땅값안정을 이유로 든 응답자는 9%에 불과,부동산실명제로 인한 부동산가격안정효과는 미미할것으로 예상됐다.이와함께 부동산실명제가 제대로 시행되지 않는 이유로 응답자들은변칙거래가 아직도 상존하고 있고 구체적인 실천방안이 결여돼 있는 점을 지적했다. 다른 집단과는 달리 대학교수들은 구체적인 실천방안부재를 부동산실명제부정평가이유의 1순위로 꼽았다.금융실명제와 마찬가지로 부동산실명제 역시 기업경제활동에 도움이 되지 못했다는 의견(49%)이 우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