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주변에서는 하루도 거르지 않고 산업재해가 일어난다. 지난한해 동안만도 무려 7만1천5백48명이 산업재해를 입었다. 하루 평균 1백96명이 일을 하다가 불의의 사고를 당한 셈이다. 특히 이 가운데 2천6백70명은 소중한 목숨을 잃었다. 매일 73명이 산재로 세상을 떠났다는 얘기다. 한가지 다행스러운 점이 있다면 산업재해발생이 해마다 조금씩이나마 줄어들고 있다는 사실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멀지않아 산재예방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으리라는 성급한 전망마저 내놓고 있다.우선 재해율(근로자수 가운데 재해자수가 차지하는 비율)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지난 94년 1.18%였던 것이 95년에는 0.99%로 줄었고 다시 지난해에는 0.88%로 떨어졌다. 선진국들은 대분분 0.5% 안팎의 재해율을 기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도 오는 2000년쯤에는 0.5%대에 진입할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반면 지난해 한가지 안타까웠던 점은 절대적인 사망자수가 전년에 비해 8명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중대재해나 치명적인 직업병 발생이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해의 산재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은 전체 재해 가운데 50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비중이 95년의 46%에서 55%로10% 포인트 가까이 증가했다는 점이다. 중소영세 사업장의 작업환경이 개선되지 않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업종별 분석에서도 흥미로운 대목을 읽을 수 있다. 광업, 제조업,건설업 등 대부분의 업종에서 재해율이 줄어들었지만 운수창고업만큼은 1.25%에서 1.28%로 오히려 늘었다. 이에 비해 사망자수에서는제조업을 빼곤 광업, 건설업, 전기가스업, 운수창고업 등 거의 전업종에서 증가했다. 특히 건설업의 경우 7백15명에서 7백89명으로74명이나 늘어 건설현장에서의 추락사 등 재래형 재해가 줄어들지않고 있음을 입증했다.◆ 국내 산재전문 관리요원 한명도 없어산재와 뗄래야 뗄수 없는 관계를 맺고 있는 산재관리, 근로복지,재활 문제도 아직은 부족한 점이 많다. 지난 77년 근로복지공사 발족 이래 정부 차원에서 풀어가고 있으나 여전히 선진국 수준에는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로 산재피해자 재취업률을 들수 있다. 독일 등 산재 선진국의 경우 90% 이상이 사고 후의 적절한 관리로 재취업을 하고 있으나 우리는 그렇지못하다. 정확한 통계치는 나와있지 않지만 아주 미미한 수준이라는후문이다. 특히 산재발생에서 직장, 사회복귀까지를 도와주는 산재관리 전문요원이 국내에는 아직 한명도 없다. 독일은 전국적으로1천여명의 전문요원이 배치돼 있어 산재 환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그러나 전문가들은 국내에서도 변화의 기운만큼은 여기저기서 느껴진다고 설명한다. 특히 지난 95년 주무기관인 근로복지공사가 근로복지공단으로 바뀌면서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다는 분석이다. 성격상 공사는 수익사업을 통해 예산을 확보해야 하지만 공단은 전혀그럴 필요가 없다. 자연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에 신경쓰지 않고 근로자의 복지와 산재처리에 힘을 쏟을 수 있는 상황이 조성돼있는 것이다. 실제로 공단은 지난 2년여 동안 산재관리업무를 자동화하고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힘을 기울였다는 평가를받고 있다. 또 상대적으로 작업환경이 열악한 중소기업근로자와 산재근로자를 위한 복지사업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