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년들어 헤지펀드가 중심이 된 투기자금의 활동으로 금융위기를겪고 있는 세계경제는 일대 금융공황이 예견되고 있다. 일부 성급한 예측론자들은 앞으로도 투기자금의 활동이 더욱 기승을 부리면서 세계 실물경제에도 영향을 미쳐 30년대와 같은 세계적인 대공황이 발생되지 않겠느냐의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물론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어서 당초 우려 차원에서 제기됐던 투기자금의 활동이 현실화되고 있다. 이미 우리 증시에서 투기자금이이탈되면서 주가가 92년 이후 최저수준으로 떨어지고 있으며, 환율도 외환역사상 처음으로 1천원대에 근접하고 있다.이처럼 세계적으로 금융위기를 겪고 있는 것은 90년대 들어 국제금융시장이 근본적으로 변화되는데 그 원인이 있다. 즉, 국제간 자금흐름이 금융수익만을 노리는 핫머니에 의해 주도되면서 투기자금이실물성장속도보다 빠르게 증대되어 왔다. 결국 이들 투기자금이 주식을 중심으로 한 금융자산과 부동산에 몰리면서 세계적인 자산거품화 현상을 초래했고, 이것이 위험수위에 이르자 투자위험을 느낀투기자들이 주식시장에서 자금을 대거 빼내는 과정에서 금융위기를맞고 있는 것이다.◆ 대내·외 장애요인 정확히 판단해야대내적으로는 기아사태에 대한 정부의 정책실기로 외환과 주식투기심리가 극도로 위축된 상태이다. 이 상황에서 최근 들어 S&P, 무디사 등 국제신용평가기관들이 우리 경제에 대한 대외신뢰도를 낮춤에 따라 실망한 헤지펀드를 비롯한 투기자금들이 한꺼번에 이탈되면서 외환과 주식시장이 일대 혼란을 겪고 있는 것이다.문제는 향후 선진국들이 자국의 비교우위를 유지하고 있는 서비스분야의 규범이 정립할 것으로 보여 최근에 금융위기를 야기시키고있는 개도국의 적자문제는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대내적으로도 지금의 경제여건을 호전시킬만한 특별한 요인이 없어 보인다.따라서 우리 경제내에서 헤지펀드에 의한 금융위기 가능성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데, 이 경우 국내 금융기관과 기업들이보유한 자산의 처분이 본격화되면서 복합불황을 맞게 될 것이다.그만큼 경기침체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 과거 금융위기를 겪은대부분 국가들은 위기 이후에 스테그플레이션이 발생했다. 즉, 이들 국가들은 위기 이후 성장률이 위기 이전보다 0.8% 포인트 둔화되고 소비자물가도 5%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면 어떻게 국제투기자금에 대처해야 하는가. 무엇보다 우리 경제내에 확산되고 있는 경제불안심리를 차단하는 것이 시급하다. 현재처럼 국민들이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는데 정부가 괜찮다고 홍보하는 식으로 대처해서는 한계가 있다. 또한 불필요한 의구심을 일으키지 않기 위해 주요 현안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명확히 하고,외환보유고, 외채 등 관심이 되고 있는 통계는 신속하고 투명하게발표해야 한다.둘째, 선제적(pre-emptive)인 정책운용이 중요하다. 물론 여기에는정확한 현실진단과 경기예측 및 이에 따른 신속한 정책대응이 전제돼야 한다. 지금처럼 시장원리 운운하면서 뒷전에 물러난 듯한 정부의 태도로는 곤란하다. 여기에 헤지펀드를 비롯한 외국투자가들의 이해가 갈수 있는 현실진단을 토대로 경제현안의 경중에 맞게우선순위가 조정된 정책을 일관성있게 추진해야 한다.셋째, 정책수단간의 적절한 조합(policy-mix)이 필요하다. 현재 국내 금융시장은 금융기관의 자금난 확대, 외국자본 이탈, 대기업의추가부도 가능성으로 유동성 압박이 심화되고 있다. 극단적으로 이문제가 한꺼번에 터질 경우 최소한 7조5천억원에서 8조원 정도의유동성 부족사태가 예상된다. 따라서 단기적으로 어느 정도 환율과금리상승이 불가피하고 정책당국의 통화공급이 필요하다.마지막으로 재정긴축, 저축증대, 인플레 억제, 경제효율 제고 등을통해 경제체질을 강화하고, 건전한 거시정책 운영기조를 유지함으로써 우리 경제에 대한 대외신뢰도 제고와 헤지펀드 등 투기세력들의 공격대상이 되지 말아야 한다. 여기에 정치적 안정과 남북관계등 돌발변수에 대한 대응능력을 키우고 금융감독을 강화하며 국내외 자본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