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건설은 경영권 다툼 등으로 워크아웃에 실패. 회사운영이 '풍전등화' 상태에 놓여있다.워크아웃 대상으로 선정됐다가 경영성과를 못내 중도하차한 기업들은 모두 12개사. 이들 기업중엔 아예 청산됐어야 할 기업들이 일부 끼여있어 워크아웃 제도의 허점을 드러내기도 했다. 하지만 채권단이 만족할만한 수준의 구조조정을 노사합의를 통해 이끌어내기만 했어도 워크아웃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었던 기업들도 눈에 띈다. 동아건설과 대우자동차가 대표적인 사례다. 그런점에서 이들 기업의 워크아웃 중단을 안타까워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지난 98년9월 워크아웃이 확정된 동아건설은 2년여 동안 채권단에 가능성없는 `‘짐’만 안겨줬다. 이는 동아건설의 경영진들이 워크아웃중 경영개선보다 경영권 다툼을 벌이는 등 파행을 겪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동아건설은 지난 5월 이창복 사장을 비롯한 간부직원들이 연명으로 작성한 결의서를 통해 고병우 회장 퇴진 운동을 벌이는 등 내분을 겪었다. 채권단은 고회장과 이사장이 정치자금 지원설 등으로 다시 물의를 빚자 지난 6월 퇴진시켰다.워크아웃 추진과정에서 금융기관이 동아건설에 쏟아부은 자금은 모두 1조5천억원에 이른다. 워크아웃 확정 이전 협조융자 형식으로 1조2천8백79억원(이자대출 포함)을 지원한데 이어 워크아웃 확정 이후 다시 1천6백억원의 신규자금을 지원했다. 이와 함께 8백2억원의 부채에 대해서는출자전환을 해주고 1조1천억원에 대해서는 금리를 연 1%로 낮춰주었다. 그러나 동아건설은 자금난을 이겨내지 못하고 지난 7월 또다시 채권단에 3천4백9억원의 신규자금 지원과 일부 부채에 대한 금리인하(연 3%) 등을 요구했다.동아건설, 1조5천억원 쏟아붓고도 퇴출채권단 관계자는 “동아건설 경영진이 뼈를 깎는 노력을 해도 부족한 마당에 경영권 다툼에 사업 확대 등 터무니없는 자구계획을 내놓는 등 기업개선의 노력이 거의 보이지 않았다”며 퇴출판정의 이유를 밝혔다.동아건설은 지난 11월24일 법원으로부터 법정관리 개시판정을 받았다. 하지만 재판부가 향후 동아건설 임직원의 자구노력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 정리절차를 폐지하고 파산결정을 내릴 예정이어서 동아는 ‘풍전등화’ 상태에 놓여 있다. 동아건설 일부 직원들은 최근 보물선 발견소식이 전해지자 이에 잔뜩 기대하는 눈치다.대우자동차는 지난해 8월26일 워크아웃 시작 이후 채권단으로부터 모두 2조1천8백80억원을 지원받았다. 국제입찰 등으로 기사회생의 기미가 엿보였던 대우자동차가 워크아웃 중단이라는 위기를 맞이했던 것은 매각과정에서 우선협상 대상자로 단독 선정됐던 포드가 9월 중순 인수포기선언을 하면서다. 게다가 지난 8월말 노사가 임·단협에서 정리해고를 하지 않겠다는 내용을 담은 특별협약을 맺은 것이 자구계획의 걸림돌로 작용, 채권단으로부터 신뢰를 잃었다.채권단 관계자는 “노사가 대우자동차의 강도 높은 자구계획안을 내놓지 못한 상태에서 기업개선을 꾀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다”며 노사갈등이 워크아웃 중단의 결정적인 이유였음을 간접적으로 내비쳤다.대우자동차 노사는 지난달 말 구조조정에 극적으로 합의했지만 채권단측이 인원감축을 당초에 제시했던 것보다 늘려달라고 요구하고 있어 원만한 노사협상이 이뤄질지 미지수다.GM은 내년 초 인수에 따른 구체적 일정을 밝힌다는 입장이어서 대우자동차의 향방은 결국 노사협상에 달려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