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는 NGO의 시대’.비정부기구를 뜻하는 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는 흔히 시민운동단체로 통용된다. 전세계적으로 정부의 권력이 축소되고 시민의 힘이 커지는 추세에 따라 NGO들은 21세기를 ‘전성기’로 보고 있다.지난 89년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만들어진 후 10여년만에 국내 시민운동단체는 2만개를 넘어섰다. 시민운동정보센터가 펴낸 ‘한국민간단체총람 2000’에 따르면 전국의 시민사회단체는 4천23개, 전국 지부까지 포함하면 2만여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자부는 이보다 5백개 정도 적은 3천5백여개로 잡고 있다.시민운동가들은 워낙 많은 시민단체가 만들어지고 또 사라지는 통에 정확한 통계를 내기 어렵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만큼 시민운동이 확산되고 있고 뜻을 두는 이도 많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시민운동단체 2만개 넘어문제는 이들 모두가 본 활동을 펴는 건 아니라는 것이다. 시민운동정보센터 추산으로는 2만여개 단체 가운데 절반 이상이 ‘간판’만 유지하고 있고 나머지 중에서도 순수한 시민운동 의지를 가진 단체는 미미한 수준이다. 개중에는 정치적인 의도를 품거나 특정 기업 견제용으로 단체를 결성한 경우도 많다. 외형상으로는 짧은 시간에 급성장했지만 알짜 단체는 그리 많지 않은 셈이다.반면 알찬 성과를 내며 대중의 지지를 한몸에 받는 소형 NGO도 적지 않다. 경실련이나 참여연대 환경운동연합만큼 덩치가 크진 않지만 생활 속에서 이슈를 찾아내 자연스럽게 대중의 동참을 이끌어내는 ‘재주’를 가진 이들이다.한국전력공사를 상대로 고층아파트 전기요금 합리화 운동을 펴고 있는 아파트생활문화연구의 경우 대구지역 아파트 관리사무소와 부녀회, 아파트 입주민들의 지지를 한 몸에 받고 있다.시민의식 확산… 소비자단체 더 늘듯정보통신 소비자 권익찾기 시민행동은 이동전화 요금 40% 인하 운동을 벌이면서 소비자의 가려운 곳을 긁어주고 있다. 정부가 8.3% 인하안을 내놓았지만 이들은 40% 인하가 결정될 때까지 싸운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자동차 10년타기 시민운동연합은 지난 7월1일부터 자동차세 차등 부과제도를 시행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리콜뉴스나 소비자 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소시모), 소비자 사랑 모임(소사모) 등은 기업과 상품 때문에 피해를 입은 소비자를 대신해 문제를 해결해 주고 있다.이들 단체는 같은 불편을 느끼는 소비자가 하나 둘 모여 만들어진 경우가 대부분이다. 처음엔 두 세명이 시작했다가 대중의 지지를 받으면서 수 천 수 만명의 회원을 거느린 ‘중견 단체’가 되는 경우도 많다. 경실련 참여연대나 뜻을 함께 하는 여타 시민단체와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은 기본이다.참여연대 시민권리국 배신정 간사는 “내 권리는 내가 찾자는 시민의식이 확산되면서 앞으로도 소비자 행동 단체들은 늘어날 것이다. 특히 인터넷의 확산이 소형 NGO 활동을 크게 도울 전망”이라고 밝혔다.NGO, 학문으로 연구한다경희대·전남대·성공회대, 석·박사 과정 잇따라 신설시민단체의 역할과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국내 대학들이 서둘러 NGO 석·박사 과정 신설에 나섰다. 지난 99년 처음으로 NGO 석사과정을 만든 성공회대학을 필두로 지난해 경희대가 NGO대학원을 신설했다. 전남대 대학원은 2년여간의 준비 끝에 NGO 박사과정을 개설했다.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의 대학 사회학과 정치학과에 NGO 관련 과목이 개설돼 있다. 이화여대의 경우 사회학부내에 NGO 전공 클래스를 만들어 10여명의 학생이 수강 중이다.전남대 NGO 박사과정은 경영 법 행정 정치 등 사회과학계열 협동과정 성격이다. 지난 11월1일 마감한 원서 접수 결과 3명 모집에 7명이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NGO 석사과정 재학생은 시민단체 관계자가 대다수를 차지한다. 성공회대의 경우 60여명의 재학생 가운데 절반 이상이 시민단체 간부나 간사들이다. 이들은 NGO 활동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한다는 의미 외에도 단체간 협력 교류의 장으로 학교를 활용하고 있다. 특히 성공회대는 사이버 NGO자료관을 운영하는 등 NGO 활동에 큰 관심을 두고 있다.경희대 NGO대학원에는 석사과정 외에 지도자 과정이 신설돼 있다. NGO 실무자와 관심있는 시민을 대상으로 1학기제로 운영하고 있는 데 현재 30여명이 재학 중이다. 특히 이 학교에는 공무원 기업체 직원 교사 경찰 등 다양한 직업인들이 NGO 실무자와 함께 공부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이 학교 김운호 교수는 “정부나 기업들도 NGO를 제대로 알 필요를 느낀 것”이라며 “앞으로 많은 대학이 NGO 석·박사 과정을 개설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