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국정 쇄신을 위한 인적 개편 작업에 착수했다. 이번 개각의 핵심은 국무총리 교체 여부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난 4월 총선에서 여당이 참패한 이후 사의를 표명했으나, 윤 대통령이 후임자를 지명하지 않아 현재까지 유임 중이다. 이 가운데 이창용 총재의 이름이 유력 후보로 거론되면서 주목받고 있다. 여당 내부에서도 이 총재를 차기 총리로 추천하는 의견이 제기된 바 있다.
신지호 국민의힘 전략기획사무부총장은 지난 20일 채널A 라디오 ‘정치 시그널’에서 “총리 후보군은 민생 경제에 밝은 인물이 필요하다”며, “일부에서는 이창용 한은 총재를 총리로 모셔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이 시점에 딱 맞는 인사라는 평가가 나온다”고 말했다.
이창용 총재는 대외 불확실성과 경제적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경제 전문가 총리’에 대한 기대감 속에 유력 후보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그는 교육, 부동산, 저출생 문제 등 다양한 사회·경제적 현안에 목소리를 내며 주목받았다. 예컨대, 지난 3월에는 돌봄 업종에 최저임금을 차등 적용할 것을 제안했고, 6월에는 농산물 물가 문제를 지적하며 수입 확대 필요성을 주장했다. 8월에는 부모의 경제력과 거주 지역이 서울대 진학에 미치는 영향을 비판하며, 상위권 대학 입학 정원을 지역별 학령인구 비율에 따라 조정할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
그는 한은이 장기 구조 개혁에 관심을 두는 이유에 대해 이러한 구조 개혁 제안이 한국은행의 단기적 통화정책 결정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장기적인 구조 문제들이 단기 거시경제 정책의 선택지를 제약하는 수준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8월 27일 서울대에서 열린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한은 공동 심포지엄’ 폐회사에서 나온 발언이다.
이 총재의 발언은 일부에서 한은의 역할 범위를 벗어난다는 우려를 낳기도 했으나, 심각한 사회문제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한은 측은 이러한 하마평이 난처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총재 임기가 1년 넘게 남은 상황에서 한은의 독립성에 영향을 미칠지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채희 기자 poof34@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