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순기능 많다’ 공감 … 눈앞 이익보다 전문단체로 성장해야 ‘이구동성’

시민 운동단체들이 늘어날수록 힘들어하는 쪽은 기업들이다. 생각지 않았던 비용이 들 뿐 아니라 자칫 어렵게 쌓아놓은 기업 이미지마저 실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기업들은 한때 시민단체들을 눈엣가시로 여겼다. 경기불황이 장기화되는 등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요즘 기업들은 시민단체들을 꽤나 골치아픈 존재쯤으로 생각하고 있지는 않을까.기업들은 시민단체들의 활동에 대해 상당히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아니 기업들은 이들의 활동을 21세기 생존을 위한 필수적인 검증절차로 여길 정도다. 그만큼 성숙했다는 증거다.“시민단체의 영역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시대다. 이같은 단체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기업들의 투명화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본다.”(삼성 관계자)“시민단체들의 활동을 심하다고 탓하기에 앞서 이젠 ‘시대의 흐름’이라고 통감하고 있다. 당장 수용하기 어려운 측면도 없지 않지만 이들의 의견을 겸허하게 받아들일 자세가 돼 있다. 향후 기업발전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판단한다.”(LG 관계자)“소비자들의 경제주권 찾기 운동이 감정적인 문제로 치달을 소지가 있을 수 있으나 기업들은 이제 이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여야 할 때다. 이들에 대한 기업의 대응자세가 중요한 시기임에 틀림없다.”(SK 관계자)“건전한 시민단체들의 활동은 기업경영에 좋은 밑거름이 된다. 기업들도 이들의 활동을 아무 거리낌없이 받아들일 준비가 돼 있다.”(현대자동차 관계자)정부도 시민단체들의 활동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행정자치부 관계자는 “일부 단체들이 물의를 일으키고 있긴 하지만 시민단체들이 전반적으로 자기영역을 찾아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고 분석하고 “이들 비영리 단체는 9월말 현재 전국에 3천5백49개로 매월 1백개씩 늘고 있다”고 전했다.청와대 관계자도 “시민단체는 시대의 필요에 따라 태동한 것”이라며 “해당 공무원 및 기업들이 다소 괴롭긴 하겠지만 시민단체가 사회에 순기능 역할을 하고 있는 게 사실인 만큼 보다 활성화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물론 우려의 소리들도 있다. 그중 기업들이 가장 경계시하는 것은 시민단체들의 권력화 움직임이다.재계 관계자는 “시민단체들이 백화점식 운동을 펼치면서 권력화돼 가고 있는 인상이 짙어 보인다”며 “외국의 경우처럼 환경 세금 등 전문분야로의 진출이 소비자는 물론 기업 건전화에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 역설했다.기업 투명화 큰 도움, 대부분 인정다른 재계인사는 “시민단체들이 눈 앞의 이익보다 기업 경쟁력을 감안, 서로 ‘윈-윈’하는 활동을 벌여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자칫 소비자들의 이익만 주장하다보면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켜 결국 소비자들에게 나쁜 결과를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다.특히 최근에 노사, 기업과 시민단체간 쟁점이 되고 있는 ‘주5일제 근무’ ‘소액주주집단소송제’ 등에 대해 재계 사람들은 시민단체들의 신중론을 이구동성으로 주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