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관리가 자유변동환율제도로 바뀌고 금융이 한층 더 국제화되면서 금리, 환율, 주가 등 주요 경제변수들이 시장메커니즘에 따라 움직이는 현상이 최근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장기능 활성화와 더불어 국경간 자본이동 규모와 빈도가 증가세에 있어 원·달러 환율의 변동폭 확대는 물론 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외화자산 및 외화부채의 환노출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다.이와 같이 기업의 환리스크가 확대되면서 외환관련 순손실 규모가 급증하고 있는데 실제로 국내기업의 외환관련 순손실 규모는 외환위기 이전인 96년에 약 1조 9,000억원에 지나지 않았으나 2000년에는 무려 5조 6,000억원으로 3배 정도 확대됐다. 이는 환리스크관리가 기업경영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실제로 환차손으로 경영수지가 적자로 반전된 기업도 있다. 그러나 아직도 대다수 기업은 환리스크 헤지를 불필요한 비용발생으로 간주해 환리스크 관리를 등한시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금융감독원은 기업의 환손실이 해당기업뿐 아니라 거래은행의 부실을 초래할 수 있는 점을 중시해 지난해 4월부터 기업 외환리스크 관리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올 1월부터는 그 대상기업을 확대 실시하는 등 기업들의 외환리스크 관리정착을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중이다.거래은행에 대한 현장검사 실시구체적으로는 은행이 거래기업의 외환리스크 관리상태(관리조직, 한도설정 등)를 평가해 이를 여신심사시 반영하도록 하고 금융감독원은 은행의 이러한 조치 이행상황을 점검해 경영실태평가(CAMELS)시 이를 반영하는 체계로 구성돼 있다. 이같은 제도는 2001년 한 차례 개정작업을 거쳐 내용을 보완·개선하고 이를 올해부터 적용했는데,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첫째, 외환리스크 평가대상은 외부감사 대상기업으로서 은행별 총여신이 10억원 이상인 기업이다. 평가결과는 신용등급에 영향을 주어 여신금리, 한도, 기간 등의 판단에 활용된다.둘째, 현재 기업 외환리스크 평가항목은 계량항목(관리실태)과 비계량항목(관리체계, 한도설정)으로 구성돼 있으며 은행들은 기업규모별(대기업·중소기업)로 평가항목 및 배점기준을 차별화해 적용하게 된다.셋째, 평가항목을 당초 14개 항목에서 그 필요성, 중복성 여부 등을 재점검해 10개 항목으로 간소화했다. 넷째, 고급인력 확보가 여의치 않은 중소기업 현실을 감안해 소속 임직원이 기업 외환리스크 관리 연수과정을 이수한 경우 전문인력을 확보한 것과 마찬가지로 평가시 우대할 수 있게 했다. 끝으로 기업들이 단기간에 외환리스크 관리시스템 구축이 어려운 점 등을 감안해 외부의 외환 컨설팅업체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관리체계를 구축한 것으로 인정하게 했다.한편, 금융감독원은 경영실태 평가와는 별도로 올해 안에 은행에 대한 서면 및 임점검사 등을 계획하고 있다. 또 기업이 환리스크 헤지를 비용이 아닌 보험으로 인식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홍보 및 교육활동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밖에 기업 외환리스크 관리에 대한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해 기업 실무자들이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쉽게 작성된 <알기 쉬운 외환리스크 관리 designtimesp=22018>를 작성, 배포할 계획으로 있다.이상과 같이 금융감독원은 기업들의 외환리스크 관리시스템 구축을 빠른 시기에 정착시키기 위해 여러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반 노력보다 더욱 중요한 것은 바로 시장경제의 주체인 민간부문의 마인드 전환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의사결정 권한을 가진 최고경영층의 관심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