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부동산시장은 여러모로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서민주거 안정’이라는 기치를 내 건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의 주택정책이 얼마나 강한 효력을 발휘할 것인지부터 행정수도 이전, 강북 뉴타운 개발, 수도권 신도시 추가개발 등 해를 넘기면서 이어질 현안들이 여전히 메머드급 파급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하지만 각급 경제연구소와 부동산전문가들은 2003년 부동산시장 향방에 대해 대체로 ‘안정세’ ‘보합세 유지’ 등의 의견을 내놓고 있다.일부에서는 “오히려 추가하락을 걱정해야 할 판”이라며 뚜렷한 하락세를 예견하기도 한다. 공통된 것은 “2002년과 같은 활황세를 다시 보긴 어려울 것”이라는 점. 이는 2000년 하반기부터 상승일로를 걷던 집값이 잡히기 시작했다는 의미와 일맥상통한다.새 주택정책도 ‘안정화’ 기조집값을 예견하는 변수 가운데 가장 크게 꼽는 요인은 공급물량과 금리로 요약된다. 즉 주택 이 시장에 많이 쏟아져 나오고 금리가 높아질수록 집값은 하락하기 마련이다.우선 주택보급률. 지난 2000년 현재 서울의 주택보급률은 77.4%로 공식화돼 있다. 그러나 최근 윤주현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은 “다가구주택이나 오피스텔 등 주택으로 계상되지 않는 수치를 감안하면 실제로는 주택보급률이 96%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업계에서도 90년대 이후 주택보급률이 꾸준히 높아져 85% 선을 넘었을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게다가 새해에는 2002년보다 37.1%가 많은 6만7,000여가구의 아파트가 서울에서 새로 입주할 예정이다. 특히 입주물량 가운데 1만여가구는 수요층이 비교적 얇은 주상복합아파트. 2004년에도 대규모 입주가 이어질 예정이어서 ‘장기 매물 적체’마저 우려되는 상황이다. 일단 올해는 공급 면에서 풍족한 한 해가 될 전망이다.또 다세대주택 건설 바람으로 연말까지 10만가구 규모의 중소형 다세대주택이 공급되고 이 가운데 상당수가 ‘재고’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장은 “소비감소가 뚜렷한 상태에서 수요층이 적은 다세대ㆍ주상복합 공급이 갑자기 늘어나 주택시장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높다”며 “집값이 하향 안정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금리의 경우는 대부분의 은행이 부동산담보대출 금리를 상향조정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으고 있어 이에 따른 영향이 불가피한 상황.이 같은 근거에 따라 건설산업연구원은 내년 집값상승치를 0.5% 선으로 예상했고 주택공사 산하 주택도시연구원은 1~2% 상승으로 점쳤다. 이는 전국 평균 전망치이므로 일부지역은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가 된다. 또 김성식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3~5% 하락”을 점쳤고,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장은 “1~2%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한편 노무현 당선자가 대선공약에서 밝힌 ‘주택 수요관리’와 ‘서민 주거안정’ 정책도 ‘시장 안정화’에 근거를 두고 있어 집값을 잡는 데 한몫 할 전망이다. 노당선자는 행정수도 이전을 통한 수도권 인구유입 차단, 고급주택에 대한 세부담 강화, 향후 10년간 500만가구 공급 등을 골자로 한 주택정책을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