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당선자는 이번 대선유세와 토론회 등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일관되게 주장했다. 한국경제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기 위한 새로운 성장모델로 가장 이상적이며, 투명한 시장에서 공정한 경쟁을 통해 부와 기회가 창출되고 그 수혜를 모든 경제주체들이 공평하게 누려야 한다는 것.노당선자의 경제관 가운데 분배 중시가 유독 눈에 띄는 점도 이와 관련이 깊다. 그는 “분배가 성장을 자극하고 다시 성장이 분배의 몫을 키우는 성장과 분배의 선순환이 이뤄져야 한다”며 “더 악화되기 전에 빈부격차 개선과 저소득층 삶의 질 확보에 좀더 의지를 가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더 나아가 노당선자는 분배문제와 관련, 국가의 책임을 강조하면서 함께하는 참여복지를 주장한다.기업정책에 대해서는 먼저 규제는 획기적으로 폐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노당선자는 “기본적으로 경제활동을 위한 의사결정의 책임은 각 경제주체의 몫”이라며 “시장과 기업에 개입하는 정부의 권한과 기능은 작을수록 좋다”는 입장이다.특히 관치의 잔재로 남은 규제나 준조세 등의 과감한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대기업의 무분별한 확장과 문어발식 신규사업 진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출자총액제한 제도에 대해서는 당분간 유지해야 한다는 소신을 갖고 있다. 결국 균형 있는 규제철폐 원칙을 갖고 있는 셈이다.재벌개혁과 관련해서는 일단 찬성하는 쪽이다. 시장질서 확립과 기업경영 체제 확립을 위해 재벌개혁은 지속해야 한다는 논리다. 또 기업의 부당거래에 대해서는 공정거래위만 고발권을 갖는 ‘전속 고발제’ 폐지와 공정거래 당국이 법원에 대기업계열 금융사의 분리를 청구할 수 있는 ‘계열분리 청구제도’의 도입에 긍정적이다.전체적으로 노당선자는 시장 선봉주의자들과 다소 거리를 둔다. 이는 현상화 인식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 주변 사람들의 평가다. 구체적으로 그는 시장은 자유롭고 공정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지금의 시장은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는 규칙이 사라지고 특권과 반칙이 판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불공정한 경쟁으로 인해 중소기업, 서민, 노동자 등 약자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고 판단, 정부가 시장에 뛰어들어 불합리한 점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한다.조세정책과 관련해서는 상속, 증여세를 현재의 ‘열거주의’에서 ‘완전 포괄주의’로 전환해야 한다는 기조다. 현행 ‘열거주의’로는 한계가 있다는 시각이다. 다시 말해 재벌의 편법, 변칙상속, 증여를 막을 수 없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이동하는 모든 내용에 대해 과세를 해야 한다는 시각을 갖고 있는 것.노당선자는 노동정책에 있어서도 파트너십을 위해 정부가 노력해야 하고 이를 위해 노사정위원회를 폐지하기보다 오히려 그 위상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주5일 근무제 도입에 대해서도 평행선인 노사간 화합을 기다리기보다 제도를 먼저 도입한 후 문제점을 시행 과정에서 보완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밖에 비정규직 차별임금도 해소해야 한다는 시각을 나타내고 있다.공기업민영화는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보다 시간을 갖고 문제점을 살피며 접근하는 쪽을 선호한다. 특히 독점적 네트워크를 가진 철도, 가스, 전력 등의 민영화는 많은 준비 과정이 필요하다는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