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실업률은 다소 줄어드는 듯했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2001년 3.7%에 달하던 전체 실업률이 지난해에는 1분기 3.6%, 2분기 2.9%, 3분기 2.6% 수준으로 점차 낮아지는 추세를 보였다.하지만 앞으로의 상황이 낙관적이지만은 않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2003년에는 실업률이 다시 3.2% 선으로 올라갈 것으로 보고 있다.더 큰 문제는 실업의 내용이다. 지난해 10월 기준으로 40세 이상 중장년층의 경우 사업 및 공공서비스 부문의 취업이 늘어난 데 힘입어 실업률이 지난달과 비슷하거나 낮아진 반면, 20대와 30대의 실업률은 전월 대비 각각 0.3%포인트와 0.4%포인트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학력별로는 중졸 이하 저학력자의 실업률이 1.6%로 전월보다 낮아졌으나 고졸은 2.8%에서 3%로, 대졸 이상은 3%에서 3.4%로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관련, 통계청 관계자는 “10월 지표에는 반영되지 않았지만 학교를 졸업하는 인력들이 구직활동을 본격화하면서 내달부터 젊은층의 실업률이 상승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이에 비해 정부 차원의 실업대책은 아직 없는 상태다. 노동부는 지난해 11월 ‘동절기 고용안정대책’을 내놨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일시방편적인 성격이 강하다. 근본적인 실업대책으로는 적절치 않기 때문이다.노무현 대통령 당선자 역시 대선기간에 실업문제에 대해 ‘새로운 일자리 창출로 실업문제를 해결하겠다’고 공약했다. 또 비정규직 노동자의 급증과 관련, 노당선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면서 “다만 시간을 갖고 풀어야 하는 만큼 관심을 갖고 비정규직 근로자 문제를 풀 생각”이라고 말했다.실업문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획되고, 수립돼야 한다. 또 책상머리에 앉아서 숫자놀음만 해서도 안된다. 10년, 아니 30년 이상을 내다보는 안목과 지혜가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최근 교육부가 기업 현실에 맞는 교육과 인원조정을 강조한 것은 매우 의미가 크다. 때늦은 조치이긴 하지만 산업현장의 현실을 반영한, 적절한 대책이라는 평가가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실업대책과 고용창출의 연장선상에서 이공계인력과 여성인력에 대한 관심도 필요한시점이다. 어차피 이 두 가지 문제 역시 단기적으로 해결되기는 어렵다. 이공계 기피현상을 타개하기 위해 사회적 보상체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실제로 일부 대책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지만 당장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란 쉽지 않을 전망이다.여성인력에 대한 인식과 활용문제는 최근 개선조짐이 뚜렷하다. 사실 지난해는 여성 경제활동인력의 ‘실질적인 원년’이라고 할 만하다. 올해 역시 이런 분위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고령화와 경제활동인구의 급감에 따른 성장잠재력의 위축에 대비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도 여성인력에 대한 활용논의는 더욱 활성화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