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오미크론 확산으로 항공업계가 다시 얼어붙은 와중에, LCC들이 화물 수송을 통해 새로운 생존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화물 수송에 가장 적극적인 것은 제주항공이다. 제주항공은 LCC 중 처음으로 화물기 도입에 나선다.

13일 제주항공은 화물 전용기 도입을 위한 리스사와의 계약 체결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화물 운송 사업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달 중순부터 화물기 개조 작업에 돌입해 오는 6월경 개조 작업을 완료한다. 화물 전용기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 항공기 개조 등 도입 초기 단계부터 관계당국인 국토교통부와 공조를 이어나간다.

제주항공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화물 수송 사업에 심혈을 기울여 왔다. 2020년 10월에는 국적 LCC 중에서는 처음으로 여객기 내 좌석을 활용한 화물 운송 사업을 진행해 왔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화물 전용기 도입을 계기로 화물 운송 사업을 확대해 수익구조를 다변화할 계획”이라며 “제주항공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 선도 항공사의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신생 LCC들도 화물 수송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12월 24일 인천-싱가포르 노선으로 국제선 첫 화물 수송을 시작한 에어프레미아는 1월부터 인천-호치민(베트남) 노선에 추가 운항을 개시했다. 1월 기준으로는 약 281톤의 화물 수송을 달성했다.

에어프레미아 측은 “LCC 항공사들 대비 더 높은 실적을 거뒀다”며 “1편당 화물 수송량으로 보았을 때 에어프레미아의 약 11톤의 화물 실적은 LCC 중에서도 가장 높은 화물 수송 실적을 보인 항공사의 약 2톤에 비해 약 6배가량 더 많은 수치”라고 말했다.

좀처럼 돌파구를 찾지 못하는 항공 업계에서 현재로서는 화물 수송이 유일한 버팀목으로 여겨지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영업이익 4565억원을 기록하며 4년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대한항공은 11년만에 사상 최대 실적을 올렸다.

여기에는 화물 사업이 큰 몫을 했다는 분석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모두 여객기를 통한 화물 운송을 통해 전반적인 실적 향상을 이끌었다.

LCC들도 이와 같은 전략을 취하는 모양새다. 다만 갈 길은 멀어 보인다. 화물수송 점유율에서 LCC들의 영향력은 아직까지 미미하기 때문이다.

국토부가 최근 발행한 항공시장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0월까지 우리나라 항공화물 시장은 두 대형 항공사(69%)와 외국 항공사(29.8%)가 98.8%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사실상 대형 항공사와 외국 항공사가 점유한 화물 수송 시장에서 LCC의 점유율이 얼마나 확장될 지가 관건이다.

이명지 기자 mj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