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성하고 화려한 스커트에 ‘은막의 스타’ 에바 가드너, 영국 윈저 공작 부인 등이 주요 고객
류서영의 명품이야기크리스찬 디올 ② 제2차 세계대전이 막바지에 접어든 1945년 초, 프랑스 파리 시민들은 서서히 정상적인 생활로 돌아오기 시작했다. 지난 수년 동안 물자 부족으로 곤란을 겪었던 그들은 독일 히틀러의 패전이 눈앞에 다가오면서 차츰 활기를 되찾아 가고 있었다. 파리뿐만 아니라 영국 런던, 미국 뉴욕은 실루엣의 변화를 원했고 패션도 이런 흐름을 쫓아가길 바랐다.
전쟁 이후 여성들이 원하는 것을 정확하게 알고 이에 대한 모든 아이디어를 모아 정체성과 명칭을 가진 새로운 트렌드를 제시해 주는 사람이 필요했다. 그런 역할에 정확하게 부응한 사람이 크리스찬 디올이었다. 전쟁 동안 사람들이 입었던 딱딱한 실루엣과 짧은 스커트는 쇠퇴하고 있었다. 전쟁이란 극한 상황인 만큼 사람들이 옷으로 치장하는 것은 사치로 여겨질 수밖에 없었다.
전쟁이 끝나자 디올은 길고 풍성한 스커트, 크리놀린(허리가 잘록하게 꼭 끼고 스커트 단이 넓게 퍼진 복식 양식), 그의 어린 시절 유행했던 페티코트(여성용 속치마)가 있는 것, 꽃이 피어나는 것처럼 벌어진 스커트를 좋아했다. 스커트가 풍성하다는 것은 직물을 더 많이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텍스타일 회사의 사장인 마르셀 부사크에게는 디올이 성공하기만 한다면 생산을 늘릴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디올은 부사크에게 투자 받은 뒤 자크 로에를 경영 책임자로 합류시켰다.
전쟁 뒤 절약 풍토 속 풍성한 스타일 거부감
1946년 10월 시작된 디올 하우스는 3개의 작업실, 85명의 스태프와 세 명의 재단사로 구성됐다. 디올은 디자인 감독을 맡고 로에는 재정 문제를 담당했다. 이런 역할 분담은 당시 파리의 쿠튀르에서는 독특한 것이었다. 디올 뒤에는 부사크가 든든하게 받치고 있다는 소식이 쿠튀르 사이에 퍼졌다. 이에 따라 디올의 직원 대부분은 말만 하면 무슨 재료든 쉽게 구할 수 있었다.
디올은 1947년 9월 미국에서 패션의 오스카로 불리는 니만 마커스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모든 것이 순조로운 것만은 아니었다. 무엇보다 전쟁 직후라는 시점이 문제였다. 사회 풍토가 사치스러운 것은 아직 받아들일 시기가 아니었다. 뉴룩으로 대표되는 디올의 의류는 화려한데다 풍성한 스타일이어서 직물을 많이 사용했다. 이런 점들이 거부감을 불러일으킨 것이었다.
미국에서 협박을 당하기도 했고 30만 명의 소녀들이 디올을 반대하는 클럽을 조성하기도 했다. 미국 시카고에서는 일부 시민들이 “뉴룩을 타도하자”, “디올을 불태워라”, “크리스찬 디올은 돌아가라”는 구호를 외치면서 시위를 하기도 했다. 수줍음이 많은 디올로서는 매우 충격적인 일이었다. 그래서 좀 더 조용한 유럽으로 돌아오는 것이 훨씬 좋다고 판단했다. 유럽에는 어머니 같은 한 무리의 여성들이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다른 많은 쿠튀르처럼 그도 여성 스태프들에게 둘러싸여 지냈다.
파리의 디올 하우스도 그 영역을 넓혔다. 자크 로에는 크리스찬 디올의 모피점과 향수점을 새롭게 열었다. 디올은 1947년 ‘우아한 드레스에 어울리는 향을 만들고 싶다’는 목표를 세웠고 첫 제품으로 ‘미스 디올’ 향수를 만들었다. 이렇게 되자 부사크는 투자를 확대했다. 1947년 10만 프랑에서 2년 만에 10배인 100만 프랑으로 액수를 늘렸다. 다른 쿠튀르 하우스와 달리 디올 하우스는 시작 1년 만에 여러 지점을 냈다. 이와 함께 디올은 상표권을 빌려주는 라이선스 사업을 시작해 재정이 더 튼튼해졌다. 1949년에는 디올의 스타킹 라이선스 작업이 미국에서 처음 이뤄기도 했다. 매년 1월과 7월에는 다가올 계절을 위한 작품 발표를 파리 몽테뉴 거리에 있는 디올 하우스에서 열었다. 패션쇼가 진행되는 기간에는 건물 외벽에 장미꽃과 카네이션, 치자나무로 화려하게 장식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패션쇼 사회자가 의상의 명칭과 번호를 부르면 모델들이 계단을 걸어 내려와 크리스털 샹들리에 아래에서 포즈를 취했다. 몽테뉴 거리에 있는 디올 하우스는 300여 명의 관객이 입장할 수 있었다. 패션쇼는 3시간 정도 진행됐다. 당시 디올 패션쇼는 인기가 높아 영국 윈저 공작 부인인 월리스 심프슨 부인이 늦게 도착하는 바람에 입장하지 못하는 일화도 있다.
디올은 이렇게 말했다. “프랑스 거리를 걷다 보면 여성들의 몸치장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머리카락이나 가난해 보이는 의복들, 어설픈 광택 구두들…. 뉴욕은 지나치게 세련된 여성들로 포화 상태다. 지나친 세련미가 미국 여성들에게는 숨겨진 적이다. 나는 좀 더 개인적이고 자연스러운 룩을 좋아한다.” “패션에 도금된 것 아닌 자연스럽게 보여야”
디올은 여성들이 ‘패션으로 도금된 것처럼’이 아닌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노력했다. 결코 고객이 방금 부티크를 나선 것 같아 보이지 않아야 하고 그들의 의식이 패션을 지배해 패션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삶의 방식을 표현하는 것이어야 한다고 여겼다. 구미에 맞는 의상에 얼마를 투자할 것인지를 잘 판단한 사람들이 고객이 돼야 한다고 생각했다. 패션을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이 선택한 패션에 자연스러움이 스며들어야 한다는 것이 그의 디자인 철학이다.
디올은 그의 패션이 대유행하는 것을 좋아했고 그에게 옷값을 지불할 능력이 있는 특정 계층의 여성들을 위한 의상을 디자인했다. 그는 이렇게 말했다. “내가 우아함의 세계에 익숙한 특정 계층의 여성들을 위해 디자인하는 것은 사실이다. 패션은 평범한 여성에게 바쳐진다. 하지만 나는 일반 여성보다 귀부인의 룩을 디자인하는 것을 더 좋아한다. 더 낮은 수준에서 더 높은 수준으로 도달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것이 자연의 법칙이 아닌가.”
이런 관점에서 보면 그의 고객들이 상류층인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에바 가드너, 올리비아 드 하빌랜드, 마를레네 디트리히, 제인 러셀, 리타 헤이워드, 마들린 르노, 니콜 스테판 등과 같은 은막의 스타들과 부유한 귀족들, 사업계 거물의 부인들이었다. 그뿐만 아니라 영국 엘리자베스 여왕의 동생인 마거릿 공주, 유고슬라비아의 폴 공주, 파리의 백작 부인들, 윈저 공작 부인 등도 디올의 주요 고객이었다.
참고 도서 : ‘Christian Dior(이즘패션연구소 편저, 도서출판 이즘)’ 등
사진출처: 디올 홈페이지
류서영 여주대 패션산업과 교수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