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30% 걸리고…여성이 100만 명 더 감염
[그래픽 뉴스]술 좋아하고 노래 좋아하고 그래서 모임도 좋아하는 국민은 당혹스럽기 짝이 없었다. 2020년 3월 22일이었다. ‘사회적 거리 두기’라는 낯선 명령이 떨어졌다. 코로나19라는 낯선 바이러스와 싸우기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물론 참지 못하고 몰래 술 마시고 노래도 부르다 걸려 망신을 당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이 사회적 거리 두기가 757일 만인 4월 18일 전면 해제됐다.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나온 2020년 1월 20일을 기준으로 하면 2년 3개월 만에 공포에서 벗어난 셈이다. 2년 3개월간의 기록을 숫자로 살펴봤다.

코로나19가 앗아간 목숨은 2만 명이 넘었다. 60대 이상 고령자들은 낮은 감염률에도 1만9000명 이상이 삶을 빼앗겼다. 사망률은 비교적 낮았다. 0.13%였다. 이는 세계 여러 나라와 비교해 좋은 ‘방역 성적표’다. 코로나19 초기 미국 뉴욕 시민들은 사망자를 안치할 공간이 없어 섬 하나를 통째로 묘지로 만드는 비극적 장면을 목격해야 했다.
하지만 방심은 금물이다. 누적 감염자는 아시아 대륙에서 인도 다음으로 많다. 두 차례 이상 확진된 ‘재감염자’는 오미크론 유행 이후 증가 폭이 커지며 현재 2만5000명을 넘었다.
그동안 학교에 가지 못하고 명절에도 가족을 볼 수 없었다. ‘모임’의 자유도 빼앗겼음에도 젊음은 젊음이었다. 1020세대와 3040세대의 감염률이 절반을 웃돌았다. 남성보다 여성이 94만5000명 더 감염됐다. 제주도 인구보다 많은 숫자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누적 확진자의 47.9%가 나왔고 세종이 0.8%로 가장 적었다.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