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에는 드로우로 당첨된 한정판 운동화를 리셀 플랫폼 ‘크림’을 통해 팔아 차익을 얻었다. 그리고 오는 주말에는 ‘펀더풀’을 통해 투자하고 혜택으로 받은 초대권으로 좋아하는 사진작가 전시를 보러 갈 계획이다.

Z세대는 투자와 금융의 영역을 자연스러운 생활로 받아들이며 모바일 기반의 다양한 금융 서비스들을 적극 활용한다. 디지털 네이티브로 모바일 플랫폼에 익숙할 뿐 아니라 ‘재미’와 ‘간편함’을 중시하는 Z세대의 성향이 재테크 생활에도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Z세대는 좋아하는 콘텐츠에 투자해 혜택을 챙기고, 관심 있는 기업에 소액 투자하고, 리셀을 통해 차익을 실현하는 등 자신만의 취향까지도 투자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자이낸스’ 시대가 도래 하면서 보다 재미있고 편리한 투자까지 가능케 하는 ‘라이프테크’ 서비스들도 인기를 끌고 있다.
K-콘텐츠 증권투자 플랫폼인 ‘펀더풀(funderful)’은 온라인 소액 공모 형식으로 영화, 공연, 전시, 드라마 등 다양한 카테고리의 문화 콘텐츠에 투자할 수 있는 중개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난 3월 말 진행됐던 전시 <마일즈 알드리지 사진전> 프로젝트의 경우, 투자 모집 시작 약 6분 만에 목표 모집액을 초과 달성했는데, 투자자의 약 76%가 MZ세대였다.
또한 해외주식 거래에 있어서도 Z세대는 모바일 플랫폼을 적극 이용한다. 해외 주요 기업의 주식은 1주당 가격이 높아 자본금이 적은 이들에게는 부담이 될 수 있다. 이에 ‘토스증권’은 주문 즉시 체결되는 실시간 방식의 미국주식 소수점 거래 서비스를 선보였다. 미국 우량 주식을 1주 미만으로 조각구매 할 수 있게 된 것으로, ‘토스증권’에 따르면 해외주식 투자자의 34%가 Z세대일 만큼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리셀 플랫폼도 ‘자이낸스’ 트렌드를 견인하는 데 한몫하고 있다. 운동화부터 희귀식물까지 관심 있는 품목에 대해 온라인 플랫폼에서 비교적 쉽게 거래하고 차익을 챙길 수 있어 Z세대들의 참여가 높은 편이다. 대표적인 리셀 플랫폼 ‘크림’은 상품 검수 및 보관, 시세 예측, 배송까지 올인원으로 서비스해 판매자와 구매자 모두의 편의성을 높였다.
업계 관계자는 “Z세대들은 거창한 것에 투자하기 보다는 적은 금액이라도 자기가 좋아하는 것에 투자하고 금전적 이득과 함께 재미 요소를 찾는 걸 즐기는 세대”라면서 “그들이 문화를 소비하듯 투자와 금융 생활을 쉽게 할 수 있게 된 배경에는 직관적이고 손쉬운 금융 서비스를 구현한 핀테크 플랫폼들의 공이 크다”고 말했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