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기반 무선망 적응 기술은 기지국의 전파가 닿는 범위인 셀(cell)과 인접 셀의 상호 전파 간섭 효과를 파악하고 단말기의 무선 환경 정보를 조합해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기술이다.
주변 기지국의 무선 자원 활용 정보를 기반으로 목표한 품질 지표를 상황에 맞게 바꿔 스마트폰이 기지국 범위 안에서 실시간으로 최대 성능을 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를 통해 기존 이동통신 구조보다 단말기의 무선 상태나 장소에 따른 환경 차이, 시간에 따른 변화 등에 더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고 SK텔레콤은 부연 설명했다. 기존에는 네트워크의 목표 품질 지표가 하나의 고정값으로 정해져 능동적으로 반영하기 어려웠다.
기지국 장비에 AI 솔루션을 적용하는 것은 한국에서 처음이다.
SK텔레콤은 5세대 이동통신(5G) 기지국을 기반으로 AI 기술 완성도를 높여 가면서 6G 네트워크에 적용할 AI 기술 개발도 추진할 예정이다.
박종관 SK텔레콤 인프라기술담당은 “6G 핵심 기술의 하나인 AI를 통한 무선망 성능 향상은 네트워크 진화에 큰 의미가 있다”며 “5G 네트워크 고도화 관련된 AI 기술 개발과 상용화 노력을 지속해 6G 진화의 초석으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림 기자 tae@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