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만원올해 상반기 임금 노동자 4명 중 1명은 한 달에 200만원도 안 되는 월급을 받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이 10월 18일 발표한 ‘2022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 조사-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월평균 임금이 100만∼200만원 미만인 사람은 342만6000명(15.9%)으로 나타났다.

100만원 미만인 임금 노동자는 202만7000명으로 전체 2150만6000명의 9.4%였다. 결과적으로 임금 노동자 4명 중 1명(25.3%)의 월급이 200만원 미만이었다는 계산이 나온다. 다만 2021년 상반기(29.8%)와 비교하면 월급 200만원 미만 노동자 비율은 다소 낮아졌다.

월급이 200만~300만원 미만인 경우는 35.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400만원 이상 월급을 받은 사람은 20.1%였다.

산업대별로 보면 숙박 및 음식점업이 27%로 임금 100만원 미만 노동자가 가장 많았다. 뒤를 이어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24.8%),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19.3%)이 차지했다.

월급을 400만원 이상 받는 노동자가 가장 많은 산업은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으로 42.9%를 기록했다. 금융 및 보험업(41.1%), 정보통신업(39.6%)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상반기 전체 취업자 수는 2807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86만5000명 늘었다. 배달원은 1년 전보다 2만6000명 증가해 올해 상반기 처음으로 45만 명을 돌파했다.
5%예금 금리가 연 5%대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0.5%포인트 올리는 빅 스텝을 밟으면서 은행권의 예금 금리는 연 5%대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시중은행들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을 반영해 수신 금리를 올리는 추세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시중은행 정기 예금(12개월 만기) 중 금리가 가장 높은 상품은 DGB대구은행의 ‘DGB함께예금’으로 최고 금리가 연 4.95%다. 은행업계 관계자는 “오는 11월 한국은행이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추가로 금리를 인상할 것이 확실시되는 만큼 5%대 이자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은행 정기 예금이 쏟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기 예금 금리가 5%인 상품에 1억원을 맡길 경우 연간 받는 이자는 세전 500만원(세후 423만원)에 달한다.
25조원금리 인상의 여파로 정기 예·적금 규모가 사상 최대 폭으로 증가하면서 지난 8월 통화량이 25조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0월 18일 공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8월 평균 광의통화(M₂)의 평균 잔액은 3744조1000억원으로 7월보다 0.7%(24조6000억원) 증가했다. M₂ 통화량은 2018년 9월(-0.1%) 이후 3년 6개월 만인 지난 3월 줄었다가 4월부터 8월까지 5개월 연속 늘었다.

특히 증가율은 6월과 7월 각각 0.3%에서 8월 0.7%로 2배로 높아졌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코로나19 시기에 대출 등을 받아 M₂에 포함되지 않는 채권 등에 투자하던 투자자들이 금리 인상 이후 정기 예·적금 등으로 몰리면서 M₂ 증가세가 지속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해시태그 경제 용어
공공 마이데이터
[숫자로 본 경제] 임금 노동자 25%는 월급 200만원도 못받아
공공 마이데이터는 한 개인이 행정 기관이나 공공 기관이 보유한 자신의 데이터를 본인이나 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자에게 제공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지방자치단체가 A라는 개인의 주민등록표등본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데 A가 지방자치단체로 하여금 자신의 주민등록표등본에 담긴 데이터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자신이 내려받거나 다른 기관에 전송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최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공공 기관 최초로 임대 주택 공급 과정에 공공 마이데이터 활용 서비스인 ‘마이마이 서비스’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그간 임대 주택 신청자는 직접 주민등록표 등·초본, 국민연금가입증명서,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등 6~10여 종의 서류를 개별 기관에서 발급받아 제출해야 했는데 이번 도입으로 이런 번거로움을 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임대 주택 신청자가 기관별로 서류를 발급받을 필요 없이 데이터 활용 동의만으로 서류 제출을 완료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