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00원
[숫자로 본 경제] 4년 만에 인상...서울 택시 기본요금 4800원
서울의 중형 택시 기본요금이 2월 1일 새벽 4시부터 기존 3800원에서 4800원으로 올랐다. 서울의 택시 기본요금이 오른 것은 2019년 2월 이후 약 4년 만이다.

기본 거리도 기존 2km에서 1.6km로 400m 줄어들었다. 거리 요금은 132m당 100원에서 131m당 100원으로, 시간 요금은 31초당 100원에서 30초당 100원으로 각각 조정됐다.

이에 따라 약 7km의 거리를 이동할 때 기존 9600원이었던 요금은 이날부터 1400원 오른 1만1000원이 된다.

야간 택시비 부담은 이보다 커졌다. 지난해 12월부터 심야 할증 시간이 밤 12시에서 10시로 2시간 앞당겨졌고 탑승객이 몰리는 오후 11시부터 다음 날 오전 2시까지는 할증률이 기존 20%에서 40%로 늘어나는 심야 탄력 요금제도 적용 중이기 때문이다.

오후 11시부터 오전 2시 사이 종각역에서 강남역까지 중형 택시로 약 10km를 이동할 경우 평균 택시비는 1만7700원이다. 심야 할증 확대 조치와 기본요금 조정이 없던 지난해 11월과 비교하면 몇 개월 사이에 4000원(29.2%)이 올랐다.

서울 모범택시와 대형 택시의 기본요금도 이날부터 3km당 6500원에서 7000원으로 500원 올랐다.

한편 택시 이외에도 지하철과 버스 등의 요금 인상도 예고된 상태다. 서울시는 4월 말까지 지하철·시내버스·마을버스 요금을 300원씩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계획이 현실화하면 지하철 요금은 1250원에서 1550원으로, 시내버스 요금은 1200원에서 1500원으로, 마을버스 요금은 900원에서 1200원으로 각각 인상된다.
126억9000만 달러무역 적자가 월간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1월 수출입 동향’을 보면 수출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16.6% 줄어든 462억7000만 달러, 수입은 2.6% 감소한 589억6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무역 수지는 126억9000만 달러 적자를 나타냈다. 기존 월간 기준 무역 적자 최대치인 지난해 8월 94억3500만 달러를 훨씬 웃도는 규모다.

연간 기준 역대 최대 무역 적자를 기록한 지난 한 해 적자 규모(474억6700만 달러)의 26.7% 수준이다. 특히 한국의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수출액은 D램·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 가격 하락과 수요 감소로 작년 동월 대비 무려 44.5% 감소했다. 반도체 수출액 낙폭은 지난달(-27.8%)보다 더 커졌고 5개월 연속 감소세가 이어졌다. 국가별로는 반도체 수출 감소 영향을 크게 받은 대중국 수출액이 31.4% 줄어들며 8개월 연속 감소했다. 아세안(-19.8%)과 미국(-6.1%)으로의 수출도 줄었다.

무역 수지 적자는 지난해 3월 1400만 달러 적자 이후 11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무역 적자가 11개월 이상 연속으로 적자 흐름을 보인 것은 1995년 1월~1997년 5월 이후 처음이다.15배한국의 급여 생활자 가운데 상위 20% 구간에 속한 고소득자들이 하위 20%의 15배에 달하는 소득을 벌어들인 것으로 조사됐다.

2월 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2021년 귀속 근로 소득 천분위 자료’에 따르면 상·하위 소득 격차를 나타내는 지표인 근로소득 5분위 배율(상위 20% 근로소득÷하위 20% 근로소득)은 2021년 기준 15.1배로 집계됐다.

이는 상위 20% 구간에 속한 고소득자가 하위 20%의 15배에 달하는 소득을 올렸다는 것을 뜻한다. 근로소득 5분위 배율은 2017년 16.3배에서 2019년 14.6배로 감소했다가 2020∼2021년 다시 15.1배로 벌어졌다.

다만 소득 증가 폭은 상위 20%보다 하위 20% 노동자가 더 컸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상위 20% 노동자의 근로소득은 8770만원에서 9898만원으로 12.9% 늘었다. 반면 하위 20% 노동자의 근로소득은 538만원에서 654만원으로 21.6% 늘었다. 한편 2021년 전체 근로소득자 1995만9148명의 1인당 평균 급여는 4024만원이었다. 노동자 평균 급여는 2017년 3519만원에서 2019년 3744만원으로 증가한 데 이어 2021년 처음으로 4000만원을 넘어섰다.
해시태그 경제 용어
특례보금자리론
특례보금자리론은 고금리 상황에서 주택 구입이나 ‘대출 갈아타기’가 필요한 실수요자를 위한 정책 상품이다. 한국주택금융공사(이하 주금공)가 1월 30일 출시했다. 주금공에 따르면 특례보금자리론은 기존 보금자리론에 안심 전환 대출, 적격 대출 등 정책 모기지를 통합한 상품으로 1년간 한시적으로 운영된다.

한국은행의 잇단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 금리가 높아진 상황에서 시중 금리보다 저렴하게 고정 금리 상품을 이용할 수 있어 실수요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주금공은 현재 특례보금자리론 금리를 연 4.25∼4.55%(일반형)와 연 4.15∼4.45%(우대형)로 책정해 신청을 받는다. 최근 시중은행 주택 담보 대출 금리 하단이 연 4%대 초반까지 떨어지자 당초 계획 대비 일반형과 우대형 모두 예정보다 금리를 0.5%포인트 낮췄다. 특례보금자리론은 기본 금리 외에 인터넷을 통한 전자 약정 방식으로 신청하면 추가로 0.1%포인트의 금리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여기에 기타 우대 금리(사회적 배려층·저소득청년·신혼가구·미분양주택, 최대한도 0.8%포인트)를 더하면 최대 0.9%포인트 낮은 금리가 적용될 수 있다. 우대 금리를 중복 적용하면 특례보금자리론 금리는 연 3.25∼3.55%까지 가능해진다.

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