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간 아파트 전셋값 3.5% 하락…월세 비율은 2년 전 수준으로 돌아가는 중

서울 세입자의 지독한 '월세 사랑' 끝날까[아기곰의 부동산산책]
KB국민은행 통계에 따르면 2021년 4월부터 올해 4월까지 지난 2년간 전국 아파트 매매가는 3.4% 상승한 반면 전셋값은 오히려 3.5% 하락했다. 통상 전셋값 상승률이 매매가 상승률보다 높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는 이례적인 현상이다. 실제로 KB국민은행 통계가 시작된 1986년 1월부터 현재까지 37년간 전국 아파트 매매가가 475% 오르는 동안 전셋값 상승률은 887%로 매매가 상승률보다 훨씬 높았었다.

그러면 지난 2년간 전셋값은 왜 떨어졌을까. 매매가는 실수요뿐만 아니라 투자 수요에도 영향을 받는 반면 전세 수요는 100% 실수요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다. 전셋값이 오를 것 같아 전세를 몇 채씩 얻어 놓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런데 지난 2년간 한국의 가구 수는 줄어들지 않았다. 2021년 3월 2315만여 가구에서 올해 3월 2379만여 가구로 가구 수는 2.8% 정도 증가했다. 주택 실수요 자체가 줄어든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전세 수요 줄고 월세 수요 늘어난 이유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매가보다 전셋값이 더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 과거에 전세로 살던 실수요 중 일부가 월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임대 수요 자체가 줄어든 것은 아니지만 전세 수요가 줄어든 것이고 그만큼 월세 수요가 늘어났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전세 수요가 줄어들면 전세 공급, 다시 말해 전세를 놓는 매물도 줄어들어야 하는데 이것이 쉽지 않다. 전세를 끼고 집을 산 임대인 중에는 전세 보증금을 돌려줄 능력이 부족한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세입자가 월세로 살고 싶다고 해도 모든 집주인이 이런 요구에 응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임대용 주택이 100가구가 있는 어떤 동네에 월세 30가구, 전세 70가구로 살고 있다가 계약이 끝난 후 전세로 살던 가구 중에서 10가구가 월세로 가고 싶다면 혼란이 발생하는 것이다. 전세 형태로 임대를 주고 싶은 임대인은 70명인데 전세로 살고 싶은 임차인은 60명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임대인 중에서 10명이 전세금을 돌려줄 능력이 있다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으면 전세 공급 대비 수요가 줄어들었기 때문에 전셋값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것이 지난 2년간 벌어진 현상이다.
서울 세입자의 지독한 '월세 사랑' 끝날까[아기곰의 부동산산책]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2022년 전국 아파트 임대 거래 중 43.5%가 월세 거래였다. 이는 불과 2년 전이었던 2020년의 35.8%보다 7.7%포인트나 비율이 높다. 쉽게 말해 1000가구 중 77가구가 전세에서 월세로 돌아섰다는 것이고 그만큼 전세 수요가 줄어들고 월세 수요가 늘어났다는 뜻이다.

이렇게 세입자들의 수요가 전세에서 월세로 돌아서고 있는 것에는 전세 자금 대출 금리 수준이 월세보다 높아진 이유도 있고 ‘빌라왕’ 사태에서 볼 수 있듯이 전세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수 있다는 위기감도 한몫했다.

더 나아가 정부나 일부 정치권에서 지난 몇 년간 집값을 급등시킨 주범으로 전세를 끼고 집을 매수한 갭 투자자를 지목하기도 했다. 마치 전세라는 제도가 없었다면 갭 투자도 없었고 집값 폭등 사태도 없었을 것이라는 논리다.

하지만 지난 몇 년간의 집값 폭등 사태는 한국뿐만 아니라 (전세 제도 자체가 없는) 대부분의 나라에서도 벌어진 일이다. 역대급의 초저금리 환경과 코로나19 사태 극복을 위해 무차별하게 뿌려진 과잉 유동성이 전 세계에서 벌어진 집값 상승의 원인이다.
서울 세입자의 지독한 '월세 사랑' 끝날까[아기곰의 부동산산책]
전세 제도는 여러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형태의 주거보다 저렴한 주거비로 거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얼마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발표한 흥미로운 자료가 있다. OECD BLI(Better Life Index)라는 국가별 삶의 질을 비교하는 자료인데, 그중에서 국가별로 소득 대비 주거비 수준을 비교한 자료가 있다.


<표2>를 보면 한국이 OECD 38개 회원국 중에서 소득 대비 주거비가 가장 싼 것을 알 수 있다. 가장 높은 슬로바키아에 비해 절반 수준에 불과하고 임대 아파트 등 복지가 잘 발달돼 있다는 북유럽 국가들이나 G7 국가들에 비해서도 월등하게 주거비가 낮은 편이다. 한국, 전세 덕에 주거비 낮다 한국이 다른 나라에 비해 주거비가 월등하게 낮은 이유는 바로 전세 제도 때문이다. 최근 1~2년간은 전세 자금 대출 이자가 높게 형성됐기 때문에 예외라고 하더라도 전통적으로 월세보다 주거비가 훨씬 적게 들어가는 임대 형태가 바로 ‘전세’라고 할 수 있다.

해외에서 생활해 본 사람이라면 높은 임대료(월세) 부담에 혀를 내두르고 만다. 한국은 집주인이 높은 월세를 받고 싶어도 세입자에게 전세라는 대안이 있기 때문에 이를 거부할 수 있다. 이런 것이 OECD 통계로 나타난 것이다.

다행히 전세 자금 대출 금리 수준이 하향 안정화됨에 따라 세입자는 월세와 함께 전세라는 선택권을 다시 찾을 수 있게 됐다. 실제로 서울의 아파트는 (전체 임대차 계약 중 월세 비율이 절반을 넘었던) 작년 12월을 정점으로 점점 월세 비율이 낮아지고 있다. 반대로 전세로 계약하는 세입자는 늘고 있다.

서울 세입자의 지독한 '월세 사랑' 끝날까[아기곰의 부동산산책]
작년 12월 52.0%에 이르렀던 월세 비율이 올해 1월 44.8%, 2월 43.8%까지 떨어졌고 (임대차 신고 기간이 아직 남아 있어 최종 집계가 되지 않은) 3월이나 4월 통계도 (4월 19일 기준으로 분석하면) 2년 전 수준으로 돌아가고 있다.

그동안 전세 계약을 백안시하고 지독한 월세 사랑에 빠졌던 서울 지역 세입자들이 점차 균형을 맞춰 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이런 현상은 시장에 어떻게 영향을 끼칠까. 한마디로 임대 시장 내에 월세 수요는 줄고 전세 수요는 다시 늘어난다는 것이기 때문에 월세 시장은 안정되고 역전세난 해소에도 다소 도움이 될 것이다. 물론 전세 계약은 2년 단위로 진행되기 때문에 전셋값이 전달에 비해 다소 오르더라도 2년 전 가격에 비해 낮다면 역전세난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임대 시장에서 역전세난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지만 역전세난 사태가 더 악화되는 것이 아니라 점점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 정확히 2년 전에 비해 임대 시장에서 월세 비율이 더 높아진다면 역전세난이 가속될 것이지만 월세 비율에 낮아진다면 역전세난이 완화될 것이라는 뜻이다.

아기곰 (‘아기곰의 재테크 불변의 법칙’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