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폭락 사태로 관련 종목과 증권사 시가총액이 3주 만에 13조원 이상 증발했다. 그 중 하한가 9개 종목은 시총이 10조원 가량 사라져 폭락을 이끈 가운데 장외파생상품인 차액결제거래(CFD) 관련 시장 감시 시스템 개선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SG발 폭락사태, 시총 13조 증발...금융관리 '도마위'
[한경DB]

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서울가스, 대성홀딩스, 삼천리, 세방, 선광, 다우데이타, 하림지주, 다올투자증권, CJ 등 9개 종목의 시가총액은 지난 12일 기준 6조2870억원으로 나타났다. 폭락 사태가 일어나기 전 지난 달 21일 15조3665억원 대비 9조795억원(59.1%) 줄어든 셈이다. 이들 종목은 지난달 24일부터 SG증권 창구에서 쏟아진 반대매매 물량에 하한가 행진을 지속하는 등 단기 급락했다.

코스피 우량주로 꼽히던 삼천리, 서울가스, 대성홀딩스 등 3개 종목의 시총은 3주 만에 적게는 73%에서 많게는 81% 줄었다. 대성홀딩스의 시총은 지난달 21일 2조원대에 육박했지만 현재 3870억원에 그쳤다. 코스닥 상장사 선광의 시총은 무려 83% 증발했고, 다우데이타도 65%나 폭락했다.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자 비난의 화살은 금융당국을 향하는 모양새다. 시장 참여자들은 2019년 금융위원회가 개인 전문투자자 자격 기준을 대폭 완화해 CFD 거래를 늘렸다는 점을 꼬집었다.

CFD는 지난 2016년 교보증권을 필두로 국내에 도입됐다. 당시에는 고위험에 전문 투자자만 이용할 수 있는 등 진입 장벽이 높아 비주류 파생상품으로 분류됐으나 2019년 11월 금융투자상품 잔액 기준이 5억원에서 5000만원으로 대폭 하향되는 등 전문 투자자 요건이 완화하면서 문턱이 낮아진 바 있다.

이에 증권사들은 CFD 거래 서비스에 뛰어들면서 거래 수수료를 낮추는 등 고객 유치 과열 경쟁에 불을 지폈다. 증권사의 경우 고액의 수수료를 얻을 수 있고, 투자자들의 경우 원래 가격의 40%의 증거금률로 최대 2.5배의 레버리지 투자를 할 수 있는 이해관계가 맞물리면서 투자 수요도 많아졌다.

이에 전문가들은 투자자 보호를 위해 개인 투자자의 CFD 시장 진입 문턱을 다시 대폭 높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한국거래소 장외파생상품 거래정보저장소(TR)에 보고하는 금융회사들의 정보 대상을 잔고뿐 아니라 실거래 내역 등으로 구체화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CFD와 관련된 3400개 계좌를 전수조사하겠다며 화재 진압에 나섰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지난 11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SG증권발 사태와 관련한 제도 개선 방향을 묻는 강병원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CFD 계좌 3400개를 전수조사하는 등 기획 테마 조사를 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위 등은 국내 증권사 13곳과 외국계 증권사 5곳이 보유한 전체 CFD 계좌를 대상으로 이상거래 내역을 2개월 안에 신속하게 조사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CFD 계좌를 활용한 시세조종과 부정거래, SG증권발 사태와 유사한 혐의거래 등이 대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