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케어, 교육 3가지 분야에서 AI 적용 사례 소개... 초거대 AI '믿음' 하반기 공개 예정

KT AI/DX융합사업부문장 송재호 부사장이 AI 사업 기자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KT)
KT AI/DX융합사업부문장 송재호 부사장이 AI 사업 기자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사진=KT)
KT가 2025년까지 AI 융합사업에서 매출 1조원을 돌파한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KT는 21일 서울 중구 노보텔 앰배서더 동대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맞춤형 AI 서비스인 AI로봇, AI케어, AI교육 사업 전략을 소개했다.

이 자리에서 KT는 AICC와 AI물류 등의 AI 사업에서 약 8,000억원 이상의 누적수주를 달성하는 등 빠르게 AI 사업이 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2025년까지 AICC, AI물류, AI로봇, AI케어, AI교육 등 고객 맞춤형 AI 사업에서 연 매출 1조원을 돌파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또 KT는 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27년까지 약 7조원을 투자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도 공개했다.

KT는 자사의 AI 전략이 '고객 중심'이라 강조했다. 고객과 산업의 수요에 따라 가장 적합한 ‘고객중심의 맞춤형 AI 서비스’를 선보이는 ‘AI 서비스 프로바이더’가 되겠다는 것이다.

큰 관심을 얻고 있는 초거대 AI '믿음'은 올해 하반기 공개한다. KT는 ‘믿음’ 등 초거대 AI 기술과 고효율의 경제성을 갖춘 ‘AI 풀스택(Full Stack)’ 기반으로 AI 생태계를 활성화한다고 밝혔다.

KT는 오는 2027년까지 5년 동안 ▲초거대 AI 기술 ▲AI 핵심 인프라인 클라우드·IDC 인프라 고도화 ▲AI 신사업 발굴 및 서비스 고도화 등을 위해 약 7조 원의 투자를 단행한다. 이 투자로 초거대 AI 파라미터 스케일 확대 및 학습 기술 확보, IDC 신축·증설, AICC 인프라 고도화 등 최고 수준의 AI 기술 역량과 인프라를 확보한다.

송재호 KT AI/DX융합사업부문장 부사장은 “KT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AI 기업으로 그간 축적한 경험과 역량, 인프라와 노하우를 AI 사업에 그대로 적용시켜 고객중심의 AI 서비스 프로바이더로 자리매김하겠다”며, “KT의 미래 성장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전체의 AI 산업 경쟁력 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KT가 AI 사업 기자간담회에서 다양한 서빙로봇들을 보여주고 있다.(사진=KT)
KT가 AI 사업 기자간담회에서 다양한 서빙로봇들을 보여주고 있다.(사진=KT)

'디바이스' 아닌 '서비스'로의 로봇

KT의 로봇 사업 핵심은 '서비스' 중심의 사업이다. 이상호 KT AI 로봇 사업단장은 "KT는 로봇을 디바이스가 아닌 서비스로 정의하고 'AI 로봇 서비스 프로바이더'로 서비스 로봇의 보급 확산과 시장 성장을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KT만의 강점인 ‘딜리버리 체계’와 ‘로봇 플랫폼’을 키워나간다. 로봇 딜리버리 체계는 고객의 수요에 맞게 로봇과 솔루션을 상품화하고 로봇의 도입부터 현장에서의 컨설팅, 사후관리까지 고객을 지원하고 불편을 해소하는 역량이다.

로봇 플랫폼은 AI 통합관제, 서비스 지능화, 핵심기술 확장성이 특징으로, AI 통합관제는 수 천대 로봇에서 초 단위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일 6천만 건 데이터를 분석해 설치부터 운영까지 최적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품질관련 고객 문의가 65% 감소하는 등 고객의 불편 요소를 최소화했다.

로봇 서비스 지능화는 네트워크 환경, 하이오더, 호출벨, 키오스크, 엘리베이터, 자동문 등 여러 솔루션과 연동해 다양한 현장에 맞춰 최적화된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고객들이 다양한 제조사의 로봇들을 일관된 UX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로봇 미들웨어와 이기종 멀티로봇 제어 기술은 KT 로봇 플랫폼만의 차별화된 강점이다.

AI 로봇 제품 라인업도 확장한다. 현재의 서빙 로봇, 방역 로봇, 실내 배송 로봇뿐 아니라 올해 하반기로 예상되는 로봇 공도주행 관련 법률 개정에 맞춰 여러 매장들과 다양한 주거·오피스 공간들을 이어주는 실외 배송 로봇 서비스를 확장하고, 공장과 물류센터 내부의 소형 물류 이동을 책임지는 공장용 소형 물류 로봇, 농업 현장의 일손을 거들어주는 농업용 배송 로봇까지 서비스 도메인을 확대하는 방안을 연내 추진할 예정이다. 나아가 초거대 AI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고객의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맞춤형 AI 로봇 서비스’로 진화한다.

이상호 단장은 "다양한 공간에서 최적화된 고객 경험을 통해 '일상 속의 로봇 서비스'를 만드는 것이 KT 로봇 사업의 비전"이라 말했다.

AI로 케어 및 교육의 '빈 틈' 메운다

한편 KT는 돌봄과 교육 등 일상 곳곳에 AI를 침투해 현장의 다양한 고민을 해결하는 것에도 초점을 맞췄다.

2025년 대한민국은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한다. 이에 따라 KT는 시니어들이 하나 쯤은 앓고 있는 '만성질환'에 초점을 맞춘 원격케어 서비스를 시작한다.

KT의 원격케어 서비스는 간호사, 영양사 등 전문가로 구성된 ‘케어코디네이터’가 AI 기술로 만성질환자의 데이터와 상담 기록을 분석해 얻어낸 ‘케어플랜’을 앱, 전화로 제시하는 서비스다. 임승혁 KT 헬스케어 사업단장은 "KT의 캐어는 AI와 사람의 콜라보레이션"이라 말했다. 복약 알람 등 반복되는 것은 AI에게 맡기고 캐어코디네이터는 보다 상세한 상담 역할을 수행한다.

이 날 KT는 원격케어 서비스에 적용될 만성질환 관리의 핵심인 ‘식이 관리’를 돕는 ‘AI 푸드 태그’ 기술을 선보였다. AI 푸드 태그 기술은 한 장의 사진만으로 손쉽게 식단을 기록하고 영양성분을 분석할 수 있는 기술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줄여 더 쉽게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현재는 한식 중심의 음식 약 1,000종을 정확도 96%로 인식할 수 있는 수준이다.

앞으로 KT는 이 기술에 초거대 AI를 적용해 인식 가능한 음식 종류를 외식·가공식품을 포함한 약 2,000종까지 확대한다. 초거대 AI로 사전학습모델을 고도화해 개발 소요 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연내에 기술을 구현한다.

또 KT는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 케어를 위한 ‘AI 돌봄케어 서비스’를 TV로 확장한 ‘지니TV 케어’ 서비스 론칭을 준비중이다. TV 시청 패턴을 분석해 어르신의 이상 상황을 탐지하고 이를 KT텔레캅 관제센터와 지자체 담당자, 보호자에게 상황을 전달한다.

현재 대한민국 교육 현장에는 다양한 이슈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로 KT는 'AI'를 활용한다. 박정호 KT 커스토머DX사업단장은" AI가 교육 현장에 적용될 경우, 학생 개인에 특성에 맞는 튜터와 학습을 도와주는 어이스턴트, 진로 설정을 논의하는 컨설턴트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KT는 'AI 미래 교육 플랫폼'으로 교육 현장에 디지털 교육을 이끈다. KT의 AI 미래교육 플랫폼은 디지털 학습도구 기반의 업무 자동화로 교사의 부담을 줄여주며, ▲교수 설계 자동화 ▲AI 추천 맞춤형 자료 제작 ▲학습 진단 자동 분석 등으로 맞춤형 학습 지도가 가능하게 한다. 또 학생은 AI 학습 성취도 분석을 통해 본인의 학습 수준을 진단하고, AI 맞춤형 추천 교육 콘텐츠로 자신의 수준에 맞는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KT는 올해 공교육 현장에 ‘AI 미래교육 플랫폼’을 즉시 적용한다. 2021년도부터 서울시 교육청의 ‘원격수업 지원 플랫폼(NewSSEM)’ 개발과 운영 역할을 수행해 온 KT는 2학기부터 ‘AI 미래교육 플랫폼’을 경기도교육청에 적용할 예정이다. 이후 타 지역 교육청에도 확대해 교육 현장의 디지털 전환을 선도할 계획이다. 또 공교육 1등 콘텐츠인 EBS와 협력해 공교육 최선호 컨텐츠를 제공할 예정이다.

박정호 단장은 "AI 디지털 교과서 등 교육 정책에 맞춘 사업을 확대하고 향후 공교육에 이어 사교육 시장까지 플랫폼 적용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 밝혔다.

이명지 기자 mj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