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코노미(loconomy)가 식품 업계 트렌드로 떠올랐다. 로코노미란, 지역(local)과 경제(economy)를 합성한 신조어로, 지역 특색을 활용한 비즈니스 상품 혹은 공간을 일컫는다.
리서치기업 엠브레인이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10명 중 8명(81.6%)이 로코노미 식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다. 이들은 로코노미 식품이 ‘지역 특색이 반영된 점이 이색적(49.6%)’이고, ‘특별한 경험이 될 수 있어서(39.2%) 로코노미 식품을 찾는다고 답했다. 실제로 지역 한정판으로 출시된 식품을 구매하고 싶다고 답변한 비율은 80.3%에 달했다.
로코노미는 특히 젊은 층 사이에서 반응이 뜨거운데, 이는 트렌드에 민감한 이들이 로코노미 식품을 특별하고 차별화된 경험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로코노미 식품이 특별한 가치가 있고, SNS에서 인기가 많아 구매했다고 답한 20~30대 비율이 높았다.
로코노미 식품이 MZ세대에게 ‘힙’하다고 인식되는 만큼 로코노미 트렌드에 올라타는 외식업체가 많아지고 있다.
진도 대파 크림 크로켓 버거/사진=한국맥도날드지난 7월 한정 판매한 맥도날드의 ‘진도 대파 크림 크로켓 버거’가 대표적인 로코노미 제품으로 꼽힌다. 전라남도 진도 특산물인 진도 대파를 크로켓과 소스에 활용해 만든 메뉴로, 버거 재료를 위해서만 약 50t의 진도 대파를 수급했다고 알려졌다. 해당 제품은 출시 일주일 만에 50만 개 이상 판매되는 등 큰 인기를 끌었으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한 점을 인정받아 진도군수 표창을 받기도 했다. 최근 맥도날드는 진도 대파 버거 단종 후, 창녕군청과 손잡고 창녕 갈릭 버거를 출시했다.
CU 연세우유 한라봉 생크림빵/사진=BGF리테일CU도 지난달 연세우유와 협업해 한라봉 생크림빵을 출시했다. 해당 상품은 제주도와 우도에서만 판매했지만, 품절 대란을 일으키는 등 큰 화제가 됐고 고객들의 구매 요청에 따라 전국 판매로 확대했다.
스타벅스 수박 그란데 블렌디드/사진=스타벅스음료 업계도 잇달아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신제품을 내놓고 있다. 지난달에는 스타벅스가 국산 수박과 성주 참외를 활용한 ‘수박 그란데 블렌디드’를 출시했으며, 탐앤탐스는 제주 한라봉과 녹차를 넣은 음료 ‘제주 아일랜드 레볼루션’을 선보였다. 또 지난 5월 이디야커피는 충남 생수박과 대추방울토마토를 활용한 생과일주스 3종을 출시했는데, 2주 만에 판매량 30만 잔을 돌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