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6명 “디지털 시대 변화에 뒤처진다고 생각해 본 적 있어”
고연령층일수록 정보 활용에 어려움 겪는 경우 많아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9~5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정보 격차 및 챗GPT 상용화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 10명 중 6명(62.5%)이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면서 시대적 변화에 뒤처지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대-46.4%, 30대-60.8%, 40대-66.4%, 50대-76.4%로 나타났다.
디지털이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에는 새로운 용어를 접하거나(51.7%, 중복응답), 새로운 디지털 기술을 조작하는 것이 어렵게 느껴질 때(44.0%) 시대 변화에 뒤처지고 있다고 느꼈다.
정보 이해 및 활용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응답자 절반 이상(52.6%)이 정보 이해 및 활용 과정에서 뒤처진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었으며, 고연령층일수록 이러한 경험이 많은(20대 31.6%, 30대 50.4%, 40대 59.6%, 50대 68.8%)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덜 익숙한 챗GPT, 42.8%만이 알고 있어
챗봇 AI, 챗GPT의 인지도 역시 연령별로 차이가 있었다. 전체 응답자 10명 중 4명(42.8%)만이 챗GPT를 어느 정도 잘 알고 있을 뿐 이에 대한 인지도는 아직까지 높지 않은 수준이었다. 특히 50대 이상에서는 67.2%가 해당 기능을 처음 보거나 자세히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상용화 시대에 대한 기대감 또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한 기대감보다 높은 수준(4차 산업혁명 29.7%, 챗GPT 43.5%)이었다. 챗GPT의 등장이 이제 10 남짓밖에 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비교적 빠른 시간 내 챗GPT 상용화에 대한 대중들의 수용 태도가 견고해졌다는 해석이다.
다만 챗GPT 상용화에 따른 불안감이 그리 높지 않은 가운데(23.3%), 프리랜서 응답자 32.7%는불안감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챗GP T의 영역이 카피라이터 등과 같은 프리랜서 노동자의 일자리를 위협할 것이라는 관측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 59.4%, “챗GPT가 일상에 빠르고 직접적인 영향 줄 것”
향후 챗GPT의 영향력은 높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전체 응답자 10명 중 6명(59.4%)이 향후 챗GPT가 우리의 일상에 빠르고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대중 소비자들이 챗GPT의 상용화에서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정보 왜곡 및 가짜 정보의 확산(47.3%, 중복응답)과 일자리 감소(42.8%)에 대한 문제였다. 또한 창작물의 저작권이나 지적재산권 침해 문제(30.7%)나 데이터 해킹 및 오류 등으로 인한 국가 시스템 마비(30.5%)를 우려하는 시각도 적지 않았다.
응답자의 77.6%는 챗GPT가 활성화된 시대에는 개인의 정보 활용 능력에 따라 격차가 매우 크게 벌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챗GPT로 얻는 이익과 혜택은 누구나 똑같이 누릴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응답도 62.8%에 달했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