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6명 “디지털 시대 변화에 뒤처진다고 생각해 본 적 있어”
고연령층일수록 정보 활용에 어려움 겪는 경우 많아

챗GPT 쓰는 20대나 못쓰는 50대 모두 “디지털시대, 뒤쳐진다 생각해”
챗GPT가 일상속으로 스며든 가운데, 50대 이상 10명 중 8명은 빠른 시대 변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가 전국 만 19~5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정보 격차 및 챗GPT 상용화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 10명 중 6명(62.5%)이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면서 시대적 변화에 뒤처지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대-46.4%, 30대-60.8%, 40대-66.4%, 50대-76.4%로 나타났다.

디지털이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에는 새로운 용어를 접하거나(51.7%, 중복응답), 새로운 디지털 기술을 조작하는 것이 어렵게 느껴질 때(44.0%) 시대 변화에 뒤처지고 있다고 느꼈다.

정보 이해 및 활용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응답자 절반 이상(52.6%)이 정보 이해 및 활용 과정에서 뒤처진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었으며, 고연령층일수록 이러한 경험이 많은(20대 31.6%, 30대 50.4%, 40대 59.6%, 50대 68.8%)것으로 나타났다.

아직 덜 익숙한 챗GPT, 42.8%만이 알고 있어
챗봇 AI, 챗GPT의 인지도 역시 연령별로 차이가 있었다. 전체 응답자 10명 중 4명(42.8%)만이 챗GPT를 어느 정도 잘 알고 있을 뿐 이에 대한 인지도는 아직까지 높지 않은 수준이었다. 특히 50대 이상에서는 67.2%가 해당 기능을 처음 보거나 자세히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챗GPT 쓰는 20대나 못쓰는 50대 모두 “디지털시대, 뒤쳐진다 생각해”
주목할 만한 점은 2017년 ‘4차 산업혁명’의 개념이 등장했던 시기와 비교했을 때 현재 챗GPT의 등장을 바라보는 대중의 시선에 기대감이 더 강하게 섞여 있다는 사실이다. 챗GPT의 등장에 우려와 불안보다는 기대감이 크다는 평가가 4차 산업혁명 개념 등장 시기 우려보다 기대가 크다는 평가보다 높게 나타난 것이다.

상용화 시대에 대한 기대감 또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한 기대감보다 높은 수준(4차 산업혁명 29.7%, 챗GPT 43.5%)이었다. 챗GPT의 등장이 이제 10 남짓밖에 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비교적 빠른 시간 내 챗GPT 상용화에 대한 대중들의 수용 태도가 견고해졌다는 해석이다.

다만 챗GPT 상용화에 따른 불안감이 그리 높지 않은 가운데(23.3%), 프리랜서 응답자 32.7%는불안감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챗GP T의 영역이 카피라이터 등과 같은 프리랜서 노동자의 일자리를 위협할 것이라는 관측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 59.4%, “챗GPT가 일상에 빠르고 직접적인 영향 줄 것”
향후 챗GPT의 영향력은 높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전체 응답자 10명 중 6명(59.4%)이 향후 챗GPT가 우리의 일상에 빠르고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챗GPT 쓰는 20대나 못쓰는 50대 모두 “디지털시대, 뒤쳐진다 생각해”
특히 챗GPT 기술의 긍정적인 영향력이 기업(24.6%)보다는 개인 소비자(47.4%)에게 향할 것이라는 평가가 높았다. 응답자의 상당수(71.1%)가 챗GPT로 인해 개인이 혼자 할 수 있는 일이 지금보다 더 많아질 것 같다고 바라봤으며, 국가와 기관, 기업 등의 조직보다는 개인의 역할이 더 중요해질 것 같다는 응답도 적지 않았다(40.3%, 동의율).

한편 대중 소비자들이 챗GPT의 상용화에서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정보 왜곡 및 가짜 정보의 확산(47.3%, 중복응답)과 일자리 감소(42.8%)에 대한 문제였다. 또한 창작물의 저작권이나 지적재산권 침해 문제(30.7%)나 데이터 해킹 및 오류 등으로 인한 국가 시스템 마비(30.5%)를 우려하는 시각도 적지 않았다.

응답자의 77.6%는 챗GPT가 활성화된 시대에는 개인의 정보 활용 능력에 따라 격차가 매우 크게 벌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챗GPT로 얻는 이익과 혜택은 누구나 똑같이 누릴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응답도 62.8%에 달했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