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갤러리·스튜디오·편집숍…복합 문화 공간 무목적

서촌은 행정구역상 서울시 누하동·통인동·옥인동·체부동을 아우른다. 그중 서촌의 아이덴티티를 가장 잘 나타내는 곳은 바로 누하동이다. 인왕산 자락에 조용히 몸을 웅크린 마을은 수수하고 꾸밈없다. 세월이 묻은 한옥과 빌라, 아기자기한 상점이 못내 정겹다. 이 오래된 동네 중심에 2018년 새 건물이 하나 들어섰다. 올해로 다섯 돌, 생긴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오랫동안 그 자리를 지키고 있던 양 자연스레 스며들어 있다.

외관은 요즘 사람들에게 익숙한 노출 콘크리트다. 하지만 일반 노출 콘크리트 마감과 달리 콘크리트를 두껍게 바르고 의도적으로 스크래치를 내 거친 느낌을 더했다. 신축 건물임에도 이질감 없이 서촌과 어우러질 수 있는 이유다. 건물의 형태도 흥미롭다. 밖에서 보면 하나의 건물처럼 보이지만 사실 지대가 다른 2개 동을 이어 냈다. 마치 미로 같기도, 서촌 골목길 같기도 한 내부에 들어서면 머무르는 장소에 따라 풍경이 달라진다. 계단을 오르고 가로막은 벽을 지나면 비밀의 정원으로 통할 것만 같은 샛문이 나타나곤 한다. 이름처럼 목적 없이 찾아도 물 흐르듯 떠돌게 되는 곳이다.



권 대표가 가장 공들인 공간이자 무목적의 정체성을 담은 공간은 갤러리다. 전통 전시장이 아닌 컨템퍼러리 전시 공간으로, 다양한 작가의 전시가 비정기적으로 펼쳐진다. 마치 건물의 외관처럼 공간의 정서에 스크래치를 낼 수 있는 파격적이면서도 낯선 작품들이 갤러리를 가득 채운다. 권 대표는 “무목적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콘텐츠가 담기길 바랐다”고 말했다. 아는 사람은 다 안다는 카페 대충유원지도 놓쳐서는 안 될 코스다. 상대방의 말소리보다 공간 가득 흐르는 재즈 음악에 더 귀 기울이게 되는 곳이다. 바 형태의 테이블에 앉으면 통창으로 옹기종기 들어선 누하동 한옥과 그림 같은 바위산 뷰가 펼쳐진다. 커피 한잔, 혹은 위스키 한잔을 곁들이며 잠깐의 여유를 만끽하기 좋다.
박소윤 기자 soso@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