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AI와 노동시장 변화 보고서 16일 발표
가까운 미래 인공지능(AI)이 국내 약 341만명의 일자리를 대체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는 전체 일자리의 12%를 차지한다.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BOK 이슈노트: AI와 노동시장 변화' 보고서에서 이같이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AI 특허 정보를 활용해 직업별 AI 노출 지수를 산출한 결과, 국내 취업자 중 약 341만명(전체 취업자수 대비 12%)은 AI 기술에 의한 대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업용 로봇·소프트웨어 등 기존 기술과 달리 고소득·고학력 근로자가 AI에 더 많이 노출됐는데, 이는 AI가 비반복적·인지적(분석) 업무를 대체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AI 노출 지수가 높은 일자리에는 화학공학 기술자, 발전장치 조작원, 금속재료 공학 기술자 등이 포함됐다. 이런 일자리들은 대용량 데이터를 활용해 업무를 효율화하기에 적합하다는 특징이 있다. 반면 AI 노출 지수가 가장 낮은 일자리는 단순 서비스 종사자, 종교 관련 종사자 등으로 대면 접촉과 관계 형성이 필수적인 분야가 꼽혔다.
의사·회계사·변호사 AI 노출 지수 높고 기자·성직자 노출 지수 낮아
직업 세분류로 살펴보면, 대표적인 고소득 직업인 일반 의사, 전문 의사, 회계사, 자산운용가, 변호사는 AI 노출 지수가 높은 편으로 집계됐다. 반면 기자, 성직자, 대학교수, 가수·성악가는 AI 노출 지수가 낮았다.
오삼일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장은 "예상과 달리 기자가 AI 노출 지수가 낮은 것은 단순 보도와 달리 탐사 보도 등은 대면취재를 통해 이뤄지고, 취재원과의 관계형성을 통해 기사를 작성해야 한다는 특징이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AI 노출 지수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해당 업무가 얼마나 많은 AI 특허를 갖고 있는지 조사하는데 이에 따른 영향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산업별로는 정보통신업, 전문과학기술, 제조업 등 고생산성 산업을 중심으로 AI 노출 지수가 높게 나타났고, 숙박음식업, 예술·스포츠·여가 등 대면 서비스업은 AI 노출 지수가 낮게 측정됐다.
지난 20여 년 간(2000~2021년) 산업용 로봇과 소프트웨어가 도입된 이후 관련 일자리가 감소하고, 임금 상승률도 낮아진 점에 비춰볼 때 AI 역시 대체 가능성이 큰 일자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지우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 조사역은 "그 영향력이 AI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던 소프트웨어와 유사하다고 가정하면, AI 노출지수가 10백분위수(percentile) 높을 경우, 관련 일자리의 고용 비중은 7%p 줄어들고 임금상승률이 2%p 낮아질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