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생활 지겹다 귀농해볼까"…농가 소득 연5천만원 첫 돌파
지난해 농가 소득이 처음으로 연 5000만 원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부채 역시 전년보다 19% 가까이 늘면서 자산은 소폭 줄었다.

2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의 연평균 소득은 총 5082만 8천원으로 전년 대비 10.1% 증가했다. 농가 소득이 연5000만 원을 넘긴 것은 1962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이다.

농업소득 증가율이 17.5%로 가장 컸고, 이전소득(12.7%), 비경상소득(12.4%), 농업외소득(4.2%) 등 순이었다. 전체 소득에서 각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농업외소득이 2000만 원(39.3%)으로 가장 높았다.

영농 형태별로 비교하면 축산 농가와 과수 농가의 소득이 각각 6731만 원, 5749만 원으로 가장 높았다. 반면, 논벼 농가와 채소 농가의 소득은 각각 3797만 원, 4051만 원으로 평균에 못 미쳤다. 지난 한 해 소득이 가장 많이 늘어난 농가는 과수 농가로, 전년 대비 25.9% 증가했다.

반면, 고물가 등에 따라 지출도 늘었다. 지난해 농가의 연평균 가계 지출은 3795만 3천원으로 전년 대비 6.3% 늘었다.

지난해 말 기준 농가의 평균 자산은 6억 804만 원, 평균 부채는 4158만 원으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평균 자산은 1.4% 줄었고 평균 부채는 18.7% 증가했다. 농가 부채는 특히 농업용(26.1%), 겸업·기타용(28.1%)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한편, 지난해 어가의 연평균 소득은 5477만 9천원으로 전년 대비 3.5% 증가했다. 이전소득이 2022년보다 5.5% 줄었지만 전체 소득의 39.1%를 차지하는 어업소득이 3.3% 늘면서 전체적인 상승세를 이끌었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