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발표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은 ‘적자 살림’으로 나타나
근로소득 역성장한 반면, 물가 및 금리 치솟은 것이 원인

최근 이어지는 고물가가 이어지면서 가계의 지출도 높아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최근 이어지는 고물가가 이어지면서 가계의 지출도 높아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올해 1분기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은 ‘적자 살림’을 한 것으로 집계됐다. 치솟는 물가와 고금리 장기화, 근로소득 감소 등이 맞물리면서 수입보다 지출이 많아진 것이다.

26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 중 적자 가구의 비율은 26.8%였다. 전년 동기 대비 0.1%포인트 증가한 수준이다.

적자 가구 비율은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소득에서 세금·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을 뺀 값) 보다 소비지출이 많은 가구의 비중을 뜻한다.

소득 분위별로 보면 상위 20~40%인 4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은 1년 전보다 2.2%포인트 증가해 18.2%를 기록했다. 전 분기와 비교해서는 3.4%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소득 상위 40~60%인 3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은 17.1%였다.

소득 상위 20% 이상인 5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도 전년 동기 대비 0.5%포인트 증가한 9.4%로 나타났다.

2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도 전년 동기 대비 0.9%포인트 증가한 28.9%였으나, 1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은 2.0%포인트 감소해 60.3%로 집계됐다.

이같은 적자 살림 증가는 고물가·고금리에 근로소득 감소가 맞물렸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높은 물가와 금리가 이어지면서 가계의 소비와 이자 비용 등 지출은 늘었지만, 소득이 이에 비례에 늘지 못하면서 적자가 늘었다.

1분기 월평균 가계 소득은 1년 전보다 6만8000원(1.4%) 늘었지만, 가계지출은 9만9000원(2.5%) 증가했다. 이자 비용도 1만4000원(11.2%) 늘었다.

특히 근로소득은 1년 전보다 3만5000원(1.1%) 줄었다. 월급 빼고 다 올랐다는 말이 현실화한 셈이다.

1분기 3·4분위 가구의 지출은 각각 5.9%, 4.5% 늘었지만, 소득은 각각 5.4%, 2.7% 늘어나는 데 그쳤다. 근로소득의 증가율은 3분위가 3.8%, 4분위가 0.7%로 부진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특히 근로자 가구 비중이 높은 중산층·고소득층 가구의 살림살이가 더 큰 타격을 입었다”고 진단했다.

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