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실업자 5명 중 1명은 반년 이상 구직활동을 했으나 여전히 일을 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비중은 외환위기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반년 이상 직장을 구하지 못한 장기 실업자 수는 최근 6개월째 증가세를 보였다.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실업자 수는 56만4천명이었다. 이중 구직 기간이 6개월 이상인 사람은 11만3천명으로 20.0%를 차지했다. 이는 외환위기 여파가 있던 1999년 8월(20.1%) 이후 25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6개월 이상 장기 실업자는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 10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증가세를 이어가며 10만명을 웃돌다가 이후 감소세로 전환해 대체로 10만명을 밑돌았다.

장기 실업자 수는 올해 3월부터 늘기 시작해 8월까지 6개월째 증가했다.

반면 전체 실업자 수는 올 7월부터 전년 동월 대비 감소로 전환해 두 달째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전체 실업자는 줄어드는데 장기 실업자는 늘면서 이 비중이 높아진 것이다.

이 같은 장기 실업자의 증가는 구직자들과 일자리가 맞지 않는 '일자리 미스매치'가 주요한 이유로 꼽히고 있다.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직장에 다닌 지 1년이 넘지 않은 장기 실업자 중 이전에 직장을 그만둔 사유가 '시간·보수 등의 작업여건 불만족'인 비율이 24.7%였다.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26.4%)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직장에 다니는 도중 그만둔 사유로는 가장 높았다.

지난 8월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쉬었음'은 작년 같은 달보다 24만5천명(10.6%) 늘어난 256만7천명이었다. 이는 8월 기준으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3년 이후 역대 가장 높다.

직장에 다닌 지 1년이 넘지 않은 장기 실업자의 이전 직장을 산업별로 보면 도소매업(18.9%), 제조업(15.9%),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3.7%) 등의 순으로 많았다.

이전 직장을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상용근로자(44.8%), 임시근로자(36.3%), 일용근로자(13.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강홍민 기자 kh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