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로 본 경제]
2% 지난해 한국 경제가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부진에 비상계엄까지 겹쳐 2% 성장에 머물렀다. 전년 성장률(1.4%)보다는 높지만 작년 11월 한국은행이 예상한 2.2%보다 0.2%포인트(p) 낮은 수치다.한국은행은 2024년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 분기 대비·속보치)이 0.1%로 집계됐다고 1월 23일 밝혔다.
분기 성장률은 2023년 1분기부터 작년 1분기까지 다섯 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 기조를 유지하다가 2분기에는 –0.2%로 추락했다. 당시 한은과 정부는 1분기 ‘깜짝 성장’(1.3%)의 기저효과 탓이라고 설명했지만 3분기(0.1%) 반등폭이 미미하더니 4분기에도 0.1% 성장에 머물렀다. 특히 4분기 성장률은 지난해 11월 한은의 전망치(0.5%)보다 0.4%p나 낮다.
한은은 비상계엄 등에 따른 소비·건설 경기 위축을 주요 원인으로 설명하지만 0.4%p에 이르는 예상치와의 격차가 대부분 정치 불확실성에 따른 것인지, 애초 한은의 전망이 지나치게 낙관적이었던 것인지 논란이 예상된다.
4분기 뚜렷한 반등에 실패하면서 지난해 연간 GDP 성장률도 2.0%에 그쳤다.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는 의류·신발 등 준내구재와 의료·교육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0.2% 늘었다. 정부소비도 건강보험급여 등 사회보장 현물 수혜 위주로 0.5% 증가했고 설비투자 역시 반도체제조용장비 등 기계류의 호조로 1.6% 성장했다.
하지만 건설투자는 건물·토목 동반 부진으로 3.2% 뒷걸음쳤다. 수출은 반도체 등 IT(정보기술) 품목을 중심으로 0.3% 증가했고 수입은 자동차·원유 위주로 0.1% 줄었다. 4분기 성장률에 가장 크게 기여한 항목은 설비투자(0.2%p)였고 민간소비(0.1%p)·정부소비(0.1%p)·순수출(수출-수입·0.1%p)도 양(+)의 수치를 기록했다.
반면 건설투자는 성장률이 0.5%p 낮아졌다. 업종별로는 제조업(0.1%)과 서비스업(0.3%)이 성장했지만 농림어업(-3.9%)과 전기·가스·수도업(-2.9%), 건설업(-3.5%)은 뒷걸음쳤다. 14년지난해 11월 출생아 수가 전년보다 2600명 가까이 늘면서 11월 기준 14년 만에 최대폭으로 증가했다. 1~11월 누적출생아 수 역시 전년보다 많아 연간 출생아 수도 9년 만에 플러스 전환할 전망이다.
통계청은 지난해 11월 출생아 수가 전년 동월 대비 2565명 증가한 2만95명으로 집계됐다고 1월 22일 밝혔다. 11월 기준 2010년 11월(6146명)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출생아 수가 늘어났다. 증가율로 보더라도 14.6% 늘어 2010년 11월 17.5% 이후 가장 큰 폭을 기록했다.
출생아 수는 지난해 7월부터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5개월 연속 증가는 2015년 3∼7월 이후 처음이다. 특히 9~11월 3개월간 출생아 수 증가율은 10%를 웃돌아 최근으로 올수록 증가율이 더 높았다. 전국 모든 시도에서 출생아 수가 증가한 것도 눈에 띄는 점이다.
이에 따라 연간 출생아 수도 반등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지난해 1~11월 누적 출생아 수는 22만94명으로 전년 동기 출생아 수(21만3723명)를 7000명 정도 넘어섰다. 13.8%올해 설 연휴 기간 국내 공항을 통해 130만여 명이 해외여행을 떠날 것으로 예상된다. 작년 설 연휴보다 13.8% 증가한 수치다.
1월 2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염태영 의원이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4일부터 2월 2일까지 국내에서 운영 중인 6곳의 국제공항에서 총 134만295명(출발 기준)이 해외로 떠날 것으로 조사됐다.
날짜별로는 연휴 이틀째인 1월 25일 15만3000명(인천 12만3000명, 기타 3만 명)으로 가장 많은 승객이 해외로 떠날 것으로 예상됐다. 설 당일인 29일은 11만5000명으로 가장 적을 것으로 예측됐다.
열흘간 하루 평균 출발 승객은 13만4000명으로 작년 설 연휴 일평균(11만7000명)보다 13.8% 증가할 전망이다. 2020∼2024년 총 10번의 명절 연휴 중 이번 설 연휴보다 일평균 승객이 더 많았던 때는 지난해 추석(13만7000명)뿐이었다. 앰비슈머양변성(Ambivalent)과 소비자를 의미하는 컨슈머(Consumer)를 합친 신조어다. 자신이 우선순위로 생각하는 것엔 돈을 아끼지 않지만 후순위로 여기는 것에는 최대한 돈을 아끼는 이중적인 소비자를 의미한다. 젊은 세대에서 두드러지는 소비 행태다.
실제로 MZ들은 일상에선 최대한 저렴한 제품을 구매한다. 생활용품을 다이소에서 구매하거나 점심은 비싼 식당 대신 편의점에서 도시락을 사 먹는 식이다.
실제로 다이소의 매출은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다. 다이소를 운영하는 아성다이소의 매출은 2020년 2조4216억원에서 2023년 3조4604억원으로 42.9%나 성장했다.
편의점 간편식 매출도 늘고 있다. GS25의 간편식 매출을 예로 들어보면 2022년 41.2%, 2023년 51.0%, 2024년 30.6%(상반기 기준) 등 3년 연속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다만 이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는 돈을 아끼지 않는다. 실제로 가성비 시장 외에도 국내에서 명품을 구매하는 비중도 커지고 있다. 시장조사기업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0년 14조9964억원이었던 국내 명품 시장 규모는 2023년 21조9900억원으로 46.6%나 커졌다. 2024년엔 23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명품 시장을 키운 것 역시 MZ세대다. 신세계백화점이 자사 매출을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 2024년 상반기 30대의 명품 매출 비중은 30.9%였다. 29.2%를 차지하는 40대보다 높았다.
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