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편의 높아 수요층 탄탄해, ‘e편한세상 동대구역 센텀스퀘어’ 주목

초역세권 아파트 가격 상승률. 부동산인포 제공
초역세권 아파트 가격 상승률. 부동산인포 제공
아파트에서 역까지 5분 이내로 이동이 가능한 ‘초역세권’ 아파트가 지역 부동산 시세를 주도하고 있다. 단지에서 도보로 5분 이상 거리의 일반적인 역세권 단지와 비교해도 수요가 탄탄하다는 평이다.

특히 불황기에 시장 불확실성을 피해갈 수 있는 투자처로 여겨져 초역세권에 공급되는 아파트 단지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가 서울, 부산, 대구 3개 지역에서 아파트와 지하철역이 접해 있거나 출입구로 바로 이동이 가능한 단지 62곳의 KB부동산 시세를 조사한 결과 최근 5년(2020년~2024년) 동안 평균 37.5% 상승했다. 지하철역이 많은 서울은 총 44개 단지에서 38.6%, 부산은 16개 단지에서 37.0%, 대구는 2개 단지에서 18.0% 상승률을 보였다.

같은 기간 지역 내 평균 상승률은 이보다 낮았다. 서울 아파트 평균 시세는 5년 동안 33.2%로 초역세권 아파트들은 상승률보다 5.4%p(퍼센트포인트) 밑돌았다. 부산과 대구도 평균 시세 상승률이 초역세권보다 각각 9.2%p, 11.0%p 낮았다.

상징성이 높은 랜드마크 단지도 초역세권 입지를 갖춘 사례가 많았다. 가장 선호도 높은 노선인 서울 2호선에선 잠실나루역(장미2차), 잠실역(잠실롯데캐슬, 잠실주공5), 잠실새내역(잠실엘스, 리센츠, 트리지움) 인근 유명 단지가 역 출입구로 바로 이동이 가능한 곳에 자리하고 있다. 3호선은 타워팰리스 2차가 도곡역과 바로 연결된다. 5호선에선 목동 7단지가 목동역과 바로 맞붙어 있다. 6호선 합정역(메세나폴리스), 5호선 공덕역(롯데캐슬프레지던트)도 주상복합단지가 지하철역과 직결됐다.

부산과 대구는 초역세권 아파트가 희소한 만큼 가격 상승폭도 가팔랐다. 부산은 2호선 수정역 ‘화명롯데캐슬카이저’, 금련산역 ‘광안더샵’, 센텀시티역 ‘트럼프월드센텀1’ 등이 대표적인 초역세권 단지이다. 대구는 2호선 범어역과 접한 ‘수성범어두산위브더제니스’, 사월역과 접한 ‘시지효성백년가약1단지’가 유일한 초역세권 아파트로 조사됐다.
e편한세상 동대구역 센텀스퀘어 투시도. 사진=DL이앤씨
e편한세상 동대구역 센텀스퀘어 투시도. 사진=DL이앤씨
이처럼 광역시에선 초역세권 단지 공급이 드물어 분양을 앞둔 단지가 더욱 주목 받고 있다. DL이앤씨는 2월 대구 동구 신천동 옛 동대구 고속버스터미널 부지에 ‘e편한세상 동대구역 센텀스퀘어’를 공급할 예정이다. 전용면적 79~125㎡ 총 322가구 전체가 일반분양된다. 현재 101동과 102동 사이 출입구 경관광장에서부터 동대구역과 신세계백화점으로 이어지는 출구 신설사업이 추진되고 있어 입주민들의 교통, 생활 편의시설 이용이 더욱 편리해질 전망이다.

부산에서는 향후 해운대구 우동2구역 재개발로 들어서는 단지가 부산지하철 2호선 벡스코역과 접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서울에서도 서초구 반포주공1단지 1·2·4주구 재건축으로 탄생하는 5000가구 규모 ‘디에이치 클래스트’가 연내 분양될 예정이다. 이 단지는 9호선 구반포역과 4호선 동작역이 접해 있다.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 팀장은 “초역세권 아파트는 단순히 교통의 편리성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거주지로서의 가치를 크게 향상시켜 시장 불확실성 속에서도 안전마진이 더욱 높은 곳으로 꼽힌다”며 “이러한 단지들은 단순히 현재의 가치뿐만 아니라 미래 가치를 고려한 중장기적인 투자 전략에서도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요소”라고 설명했다.



민보름 기자 br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