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일 각 대학에 따르면 정부가 발표한 의대생 복귀 시한 종료가 임박한 가운데 서울대·연세대·성균관대·카톨릭대·울산대 등 이른바 '빅5' 의대를 포함해 고려대와 국가거점국립대인 충남대·부산대 의대 휴학생들이 모두 복학의사를 밝히면서 1년 넘게 이어진 집단휴학 사태가 종착점을 향해 가고 있다.
가천대·건국대·계명대·단국대·대구가톨릭대·아주대·원광대·한양대의 경우 31일 등록·복학 신청 마감을 앞두고 있다.
이로써 4월 초·중순까지 신청 기한을 연장한 강원대와 전북대를 제외한 38개 의대가 이날까지 의대생 등록·복학 신청을 마무리한다.
앞서 지난 7일 정부는 “3월 내 전원 복귀할 경우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전인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당시만 해도 의대생들은 장외 투쟁을 이어간다는 방침이었지만 의대 학장·교수진의 설득과 맞물려 올해는 학칙대로 엄정 처분한다는 강경한 대응 방침이 겹치면서 변화 기류가 생겼다.
가장 먼저 마감 시한을 맞이한 연세대 의대생들이 ‘일단 등록’으로 결정한 데 이어 서울대 의대 학생회도 복귀로 선회하면서 학생들의 복학이 속속 이뤄졌다.
여기에 성균관대·울산대·가톨릭대도 합세하며 빅5 의대생들이 전원 복귀했다. 고려대와 거점국립대인 충남대, 부산대 의대생들도 모두 돌아왔다.
복학 규모가 공개되지 않은 의대들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협은 30일 배포한 대회원 서신에서 “회원들이 꿈꾸는 의료의 모습을 규합하지 못한 것에 엄중한 책임을 느낀다”며 “교육부와 그에 굴종한 학교로부터 끝까지 적법한 휴학원을 지켜내지 못한 것에 크나큰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혀 사실상 단일대오를 유지하기 어려워진 상황임을 인정했다.
하지만 정상적인 수업이 재개될지는 미지수다. 학생들이 등록 후 휴학 또는 수업거부 등의 추가 저항 방식을 고민하고 있다고 알려졌기 때문이다.
이에 교육부는 학생들이 등록 이후 수업에 참여해야 복귀가 인정된다는 입장이다. 특히 교육부가 정상적인 수업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판단한다면 의대 모집인원을 기존 증원안이었던 5058명으로 되돌릴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