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24 이상기후 보고서 발간
7~9월 폭염과 고온 현상으로 농작물 피해 발생
여름철 강수 집중 현상 심화...겨울 대설도

여름이 더 길어졌다. 지난해 우리나라는 7월부터 9월까지 여름이 이어지며 가장 더운 9월을 보냈다. 열대야 일수도 평년의 3.1배에 달했다. 여름철 평균기온은 26.5℃로 1973년 이래 역대 1위를 기록했다.

지난 1일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와 관계부처(기상청 공동주관, 행정안전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등 25개 기관)가 합동으로 내놓은 '2024 이상기후 보고서'에 따르면 이 같이 나타났다.

7~9월 폭염과 고온 현상으로 인삼 등 농작물 재배면적 3477ha의 피해가 발생했다. 벼멸구 생육기에 고온 현상이 지속되어 벼멸구 피해가 총 1만7732ha 발생했다.
1973년부터 2024년까지 이상고온 발생 일수는 대부분 증가하고, 이상저온 일수는 대부분 감소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해수면 온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해수면 온도는 최근 10년 중 1위를 기록했고, 이상고수온 발생일수(182.1일)도 최근 10년 평균 대비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또 대부분 해역에서 여름철 고수온으로 인해 양식생물의 대량 폐사 피해가 발생했다.

여름철 강수 집중 현상도 심화됐다. 여름철 강수 중 78.8%가 장마철에 내리면서 1973년 이후로 장마철에 가장 강수가 집중되는 형태를 보였다. 1시간 내 최다강수량이 100mm를 넘는 사례가 9개 지점에서 관측되는 등 물난리 양상은 심화됐다.
7월에 발생한 호우로 9447ha의 농작물 피해, 891ha의 농경지 유실과 매몰, 전체 산사태 피해의 95%(167ha)가 발생했다.

11월에는 이례적인 대설이 내렸으며 서울, 인천, 수원에서 하룻동안 쌓인 눈 량이 최곳값을 넘어섰다.

장동언 기상청장은 “지난해 우리나라는 연평균 기온 역대 1위 경신, 기록적인 열대야, 장마철에 집중된 호우, 11월 대설을 경험하였고, 전지구 평균기온도 산업화 이전 대비 역대 최고로 1.55℃가 상승하여 기후위기를 실감했던 한 해”라며, “앞으로도 기후변화와 이상기후의 과학적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시의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구현화 기자 ku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