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거래허가구역 풀리자 잠실·삼성 등 ‘신고가 릴레이’
서울시가 잠실·삼성·대치·청담 등 이른바 ‘잠삼대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하자 해당 지역 아파트 매매거래가 3배 넘게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튿날인 2월 13일부터 3월 23일까지 39일간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9665건(4일 기준)으로 집계됐다.

이는 해제 발표 직전 같은 기간인 1월 4일부터 2월 11일까지의 거래량(4559건)과 비교해 약 2.1배 증가한 수치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풀리자 잠실·삼성 등 ‘신고가 릴레이’
특히 규제 해제 대상이었던 지역에서는 총 353건의 매매 거래가 발생해 해제 직전(99건)보다 3.6배 이상 증가했다.
신고가 갱신 거래도 뚜렷하게 증가했다. 해제 전 39일간 13건에 불과했던 ‘잠삼대청’ 지역의 신고가 거래는 해제 이후 84건으로 늘어나며 약 6.5배 급증했다.

이는 같은 기간 서울 전체의 신고가 거래가 2.3배 증가(362건 → 839건)한 것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다만 실거래가 신고 기한이 아직 남아 있는 만큼 최종 거래량은 다소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풀리자 잠실·삼성 등 ‘신고가 릴레이’
해제 지역 내에서는 잠실동의 거래가 가장 활발했다. 39일 동안 총 135건의 거래가 발생했으며 특히 ‘잠실 3대장’으로 불리는 리센츠(38건), 잠실엘스(34건), 트리지움(30건)의 거래가 집중됐다.

이어 삼성동 86건, 대치동 71건, 청담동 61건 등도 활발한 매매가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직방 관계자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재지정된 지 2주가 지났는데, 규제지역 확대에 따라 단기적으로 수도권 부동산 시장은 거래 위축이 불가피할 것”이라며 “대출 규제 및 세제 강화가 다시 적용되며 매수자들의 관망 심리가 짙어지고, 시장 전체가 눈치보기 장세에 접어들었다”고 분석했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관망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크지만, 상급지를 중심으로 선별적인 상승 흐름이 나타날 여지도 있다”면서 “이번 조정이 일시적인 숨 고르기에 그칠지, 추세 전환으로 이어질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