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현지시간)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은 상호관세 적용 제외 품목 목록을 공개하고, 컴퓨터 및 데이터 처리 장비, GPU 등 컴퓨터 부품, 반도체 제조 장비, 스마트폰, 반도체 소자 및 집적회로 등 총 20개 품목을 면제 대상에 포함 시켰다.
해당 조치는 지난 5일자로 소급 적용된다.
이번 면제는 백악관이 앞서 2일 발표한 상호관세 정책에 따른 세부지침이다. 당시 백악관은 철강 등 일부 품목에 대해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반도체는 예외로 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면제 대상에 스마트폰과 AI 연산 장비 등이 포함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는 일정 부분 안도감이 퍼지고 있다.
특히 아이폰의 약 80~90%를 중국에서 조립해 수입하는 애플은 이번 결정으로 145%에 달할 수 있는 관세 폭탄을 피하게 됐다.
또 반도체 제조 장비도 면제됨에 따라 삼성전자, TSMC, 인텔 등 미국 내 공장을 운영하거나 건설 중인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에겐 숨통이 트일 것으로 보인다.
다만 관세 면제가 언제까지 지속 될지는 불투명하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12일 전용기 내 기자들과 만나 “14일에 반도체 품목별 관세에 대한 구체적인 답을 줄 것”이라며 “우리는 매우 구체적일 것”이라고 발언해 시장의 긴장을 키웠다.
중국산 부품에 대해서는 기존 관세 외에도 여전히 20%의 ‘펜타닐 대응 관련 관세’가 적용하고 있어 중국과의 통상 갈등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는 상황이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