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이 전 대표의 페이스북 게시물에 따르면 그는 “AI 세계 3대 강국으로 우뚝 서겠다”며 “챗GPT와 딥시크가 전 세계를 놀라게 했듯이 AI는 동시대 세계 경제의 판도를 바꿀 게임체인저”라고 정의했다.
특히 “대한민국은 이제 추격 국가가 아니라 첨단과학 기술로 세계의 미래를 설계하고
글로벌 질서와 문명을 이끄는 선도 국가여야 한다”며 “K-이니셔티브에 있어 K-AI가 필수인 까닭”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AI 투자 100조원 시대를 열겠다”며 “정부가 민간 투자의 마중물이 돼 AI 관련 예산을 선진국을 넘어서는 수준까지 증액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또 “유명무실했던 대통령 직속 기구 ‘국가인공지능위원회’를 내실 있게 강화해 본격적 K-AI 시대를 다지겠다”며 “기술자, 연구자, 투자기업과 정부의 협력을 대통령인 위원장이 직접 살피는 명실상부한 중심 기구로 재편하겠다”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국가 AI 데이터 집적 클러스터를 조성해 글로벌 AI 허브의 기반을 만들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AI 핵심 자산인 GPU를 최소 5만 개 이상 확보하고,AI 전용 NPU 개발과 실증을 적극 지원해 기술 주권을 확보하는 방식을 통한다.
이 전 대표는 “AI로 생산성은 높아지고 노동시간이 줄어들면 ‘워라밸이 가능한 AI 시대’가 열릴 것”이라며 “무엇보다 더 이상 사람의 생명을 담보로 성장하지 않아도 되는 AI를 통한 ‘안전 사회’를 실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