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인구보건복지협회의 제2차 국민인구행태조사에 따르면 결혼 의향이 없거나 유보 중인 미혼 남성의 1위 이유는 ‘결혼생활 비용 부담’(25.4%)이었고, 여성은 ‘기대에 맞는 상대 없음’(19.5%)이 가장 많았다.
지난해 10월 전국 20∼44세 미혼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조사 결과 미혼 남성의 41.5%, 미혼 여성의 55.4%는 결혼 의향이 없거나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고 응답했다.
그 중 남성은 결혼생활 비용 부담(25.4%), 독신 생활 선호(19.3%), 결혼보다 일 우선(12.9%) 등을 이유로 꼽았고, 여성은 기대에 맞는 상대가 없음(19.5%), 독신 생활 선호(17.0%), 결혼보다 일 우선(15.5%) 등을 주요 이유로 들었다.
남성은 결혼 비용 부담과 소득 부족을 이유로 결혼을 기피 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여성은 가부장적 가족 문화나 경력 저해 우려를 더 많이 걱정하고 있었다.
특히 남성은 결혼 비용 부담이 13.8%포인트 소득 부족이 7.2%포인트 더 많이 언급됐고 여성은 가부장 문화나 경력 저해 우려를 각각 9.4%포인트, 8.7%포인트 더 많았다.
결혼 조건에 대한 인식 차이도 나타났다. 미혼 남성은 ‘육아·가사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는 조건을 가장 많이 들었으며(97.3%), 여성은 이에 대해 86.6%만 동의했다.
반대로 ‘전세 자금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는 조건은 여성 쪽이 6.5%포인트 더 많았다.
출산 의향에서도 미혼 남성의 41.6%, 미혼 여성의 59.1%가 출산에 대해 아직 결정을 내리지 않았거나 의향이 없다고 응답했다.
주요 이유로는 ‘자녀 양육의 경제적 부담’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남성은 34.1%, 여성은 23.2%가 이를 이유로 들었다.
기혼 남녀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여성의 94.5%, 남성의 90.8%가 영유아 돌봄 시 유연근무제를 희망했으며 남성은 ‘재택근무’(35.1%), 여성은 ‘시간선택제’(39.2%)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