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2037년까지 최대 448척 선박 발주” 한국 조선산업 기회 잡아라
미국 정부가 추진 중인 조선산업 재건사업에 대응해서 우리나라는 LNG 운반선 및 상선 신조(新造), 해군 군함 MRO, 차세대 선박 협력 등 사업성이 확실한 분야를 선정해서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참여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9일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에 따르면 류민철 한국해양대학교 교수에게 의뢰해서 발간한 ‘미국 조선산업 분석 및 한미 협력에서의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한미 조선산업 협력방안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트럼프 정부가 중국의 해양 패권 장악 저지를 위해 한국 등 동맹국과 협력해서 LNG 운반선, 상선, 해군 함정 등의 수요에 대응하고, 자국내 투자유치를 통해 조선산업 인프라를 재구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9일, 미국 해양 지배력 회복 행정명령(Restoring America's Maritime Dominance(EO 14269)에 서명했다.
행정명령의 주요내용은 해양 행동계획(Maritime Action Program) 수립, 해양안보 신탁 기금(Maritime Security Trust Fund) 설립, 동맹국을 통한 적대국(선박) 의존도 감소, 중국산 선박·장비 제재, 미국 국적 상선 확대 등이다.

2025년 4월에 발의된 조선 및 항만 인프라법(SHIPS for America Act)은 미국 국적 전략상선단(Strategic Commercial Fleet)을 250척까지로 늘리고 2047년까지 LNG 수출 화물의 15%를 미국에서 건조한 선박으로 운송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미국 해군은 2025년 군함 퇴역 및 신조(新造) 계획을 통해 향후 30년간 총 364척을 신조(新造)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지난 1월 트럼프 대통령은 쇄빙선 40척 발주 방침을 밝힌 바 있다.

보고서는 이러한 미국 정부의 조선산업 재건 정책으로 향후 2037년까지 상선, LNG 운반선, 해군 군함 등을 포함해 403척에서 최대 448척의 선박이 발주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보고서는 우리 정부와 조선업계는 미국의 조선산업 재건 정책을 한국 조선산업의 발전 기회로 활용하면서 상선, LNG 운반선, 해군 군함, 차세대 선박 등 분야별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LNG 운반선의 경우 미국의 LNG 수출 증가로 미국이 새로 건조할 LNG 운반선 전체를 미국내에서 건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우리 조선 기업들이 현지화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미 해군 함정과 관련해서는 전투용 함정이 첨단 무기체계와 연계되어 있는 만큼 유지보수(MRO)와 신조(新造)를 이른 시일 내에 우리나라에게 맡길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유지보수(MRO) 분야에서는 선체 보수작업 위주의 작업으로 신뢰를 쌓은 후 점차 선체 개보수 프로젝트 수주로 확대하고 장기적으로는 무기체계를 포함한 유지보수 사업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차세대 선박과 관련해서는 중대형 CO2운반선, 액체수소 운반선, 무인 자율운항선박 등의 차세대 선박 관련 첨단 기술을 연구하고 사업화하기 위한 한미 공동 기금을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정유진 기자 jin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