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joy]

결정장애를 극복하는 비결
[한경 머니 = 윤대현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결정장애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직감에 귀를 기울여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직감은 내 삶의 경험이 데이터베이스로 농축돼 나오는 빠른 결정 과정이다. 즉, 논리적 분석을 거치지 않고 일어나는 빠른 결정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프로 골프선수가 샷을 할 때 실패에 대한 두려움으로 불안 증상이 생겨 스윙을 하지 못하고 저하게 되는 현상을 보일 때 입스(Yips) 증후군이 의심된다고 한다. 이런 현상은 비즈니스맨에게도 찾아올 수 있다. 과감한 결정으로 멋지게 회사를 키운 경험 많은 최고경영자(CEO)가 갑자기 아무 결정도 못 내리겠다고 한다. 이를 ‘경영 입스(Executive Yips)’라고 부른다. 회사의 규모가 작았을 때는 느낌에 따라 과감한 결정을 내렸던 CEO가 회사 규모가 커지면서 결정에 따른 위험도도 커지니 결정에 대한 불안과 두려움이 몰려온 것이다. 그러다 보니 결정에 있어 완벽을 추구하고 위험을 최소하기 위해 객관적 분석 자료에 지나치게 의존하기 쉬운데 이것이 직감에 의한 결정력을 더 약화시킬 수 있다.

결정장애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직감에 귀를 기울여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직감은 내 삶의 경험이 데이터베이스로 농축돼 나오는 빠른 결정 과정이다. 직감을 많이 활용하는 사람도 있고, 직감이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판단을 흐리게 한다고 생각해 배제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도 있다. 논리적 판단이 더 정확할 것 같지만 의외로 직감에 따른 결정이 좋은 결과를 가져올 때도 있다. 예를 들어 큰 기업을 이룬 창업자들의 의사결정 과정을 보면 주변 참모는 다 반대하지만, 자신의 직관에 따라 새로운 사업에 뛰어들어 그것이 대박이 나서 회사가 크게 성장하는 것을 적지 않게 볼 수 있다.

직감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우리 뇌는 새로운 사건, 선택, 그리고 사람을 만났을 때 경험하게 되는 중요한 느낌들을 경험한 사건 기록과 함께 붙여 기억저장장치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A를 만났다면 A를 만난 기억과 그 느낌을 함께 붙여 기억하는 것이다. 그런 데이터베이스가 쌓이게 되면 논리적 분석 이전에 자동으로 직감이 만들어진다.

사람을 보았을 때 정보를 얻기도 전에 왠지 저런 스타일의 사람이랑은 같이 일하면 안 될 것 같은데, 이런 식으로 느낌이 찾아오는 것이다. 직감은 논리적 분석을 거치지 않고 일어나는 빠른 결정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시간을 두고 천천히 결정할 수 있는 문제도 있지만 직감적 결정이 없으면 생존에 문제가 되는 경우도 우리 삶엔 적지 않다. 그런 필요에 의해 직감적 결정 시스템이 발달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직감보단 객관적인 데이터에 더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사실 직관만 믿다간 낭패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직관도 내 마음속 데이터베이스에서 만들어지는 소중한 정보다. 결혼을 앞두고 있는데 계속 영 아니라는 느낌이 들면 그 직감적 느낌을 너무 무시하지 말아야 한다. 무작정 그 느낌을 따를 필요도 없지만 의사결정의 중요한 한 정보로서 왜 그런 느낌이 드는지 찬찬히 내 마음을 살펴볼 필요는 충분히 있는 것이다.

수많은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