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는 가치의 척도, 교환의 매개체를 넘어 시대상이 반영된 문화유산이다.
쿠엔틴 마시스, ‘환전상과 그의 아내’, 1514년, 루브르 미술관
쿠엔틴 마시스, ‘환전상과 그의 아내’, 1514년, 루브르 미술관
화폐는 경제활동을 매개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오래전 옛날에는 조개껍데기나 가죽, 곡식 같은 자연물을 화폐로 이용했지만 점차 금속 화폐인 동전을 만들어 널리 사용하게 됐다. 동전은 가치의 변동이 적고 일정하게 생산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좋고 보존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오늘날 동전은 그 재료인 금속의 가치가 교환 가치와 같지 않지만, 초기에는 금이나 은으로 동전을 주조해 재료의 가치가 교환 가치와 동일했다. 그래서 서로 다른 지역에서 온 동전들도 무게를 재어 가치를 평가하고 함께 유통시킬 수 있었다.


회화에 등장한 화폐의 상징적 의미
화가들은 동전을 다루는 장면을 묘사해 그 사회의 풍속을 나타내는 한편 도덕적 상징의 의미를 표현하곤 했다. 그 선구적인 예로 16세기에 플랑드르에서 활동했던 화가 쿠엔틴 마시스(Quentin Massys)가 있다. 마시스는 ‘환전상과 그의 아내’라는 작품에서 테이블 앞에 앉아 있는 부부를 화면 가득 꽉 차게 표현했다. 인물과 테이블이 정면을 향하고 모든 세부가 자세히 묘사돼 있어, 우리는 그려진 사물 하나하나에 집중하게 된다. 그림에서 남자는 저울을 들고 동전과 보석의 무게를 재는 중이다. 테이블에 수북하게 놓인 동전들은 종류가 다양한 것으로 보아 여러 지역에서 들어왔음을 알 수 있다. 화가는 안트베르펜에 살면서 이 그림을 그렸는데 그 도시는 당시 유럽에서 무역과 상업의 중심지로 급성장하고 있었다. 안트베르펜에는 네덜란드, 이탈리아, 스페인 등 각지에서 상인들이 모여들었고, 그들은 서로 다른 화폐를 사용했기 때문에 거래를 위해서는 환전이 필요했다. 마시스의 그림은 바로 이 시기에 성업 중인 수많은 환전상들 중 하나를 그린 것이다. 그림 속 남자의 사뭇 진지한 표정과 예민한 손동작은 돈을 다루는 일이 무척 신중하고 까다로운 직업임을 짐작하게 한다. 그의 부인은 기도서를 펼치고 있지만 아무래도 신경이 쓰이는지 책보다는 돈을 넘겨다보고 있다.
마리누스 판 레이머스발, ‘환전상과 그의 아내’, 1539년, 프라도 미술관
마리누스 판 레이머스발, ‘환전상과 그의 아내’, 1539년, 프라도 미술관
‘환전상과 그의 아내’는 경제적으로 활성화된 도시의 풍속도를 보여 주면서 돈을 보면 생길 수 있는 탐욕을 경계하라는 암시를 곳곳에 새겨 놓았다. 예를 들어 천칭저울은 전통적으로 공정함의 상징이며 ‘최후의 심판’에서 생전에 지은 죄의 무게를 측정해 천국행과 지옥행을 판별하는 기구다. 따라서 저울을 든 환전상은 돈의 무게를 잴 때 자신의 양심도 함께 측정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배경의 선반에 놓인 물건들도 흔한 일용품처럼 보이지만 심오한 도덕적 의미를 띤다. 물병은 깨끗함과 재생을, 묵주는 성모 마리아의 순수함을, 사과는 원죄를, 꺼진 촛불을 덧없는 시간을 암시한다. 이 모든 것은 유한한 삶과 필연적 죽음을 가리키는 상징물이다. 이러한 상징이 전하는 궁극적 메시지는 화면 맨 앞 중심에 놓인 볼록 거울에 집약적으로 반영돼 있다. 거울 속에는 한 남자가 창가에서 책을 읽고 있다. 그 창문은 스테인드글라스와 십자가형 창틀이 달려 있고 창밖에는 교회당이 높이 서 있다. 책 읽는 남자는 오른손으로 창밖을 은근히 가리키면서 신앙심을 일깨우고 스스로 영성을 쌓고자 노력하는 중이다. 그는 화가 자신이며, 결국 이 그림은 뿌리치기 힘든 돈의 유혹 앞에서 재물에만 정신을 팔지 말고 눈을 돌려 신성한 곳을 바라보라고 권유하는 것처럼 보인다.

‘환전상’이나 ‘고리대금업자’라는 테마는 16세기부터 경제적 황금기에 접어든 플랑드르와 네덜란드에서 회화에 자주 등장했다. 마리누스 판 레이머스발(Marinus van Reymerswaele)도 마시스와 유사한 형식으로 이 주제를 여러 점 그렸다. 그런데 환전상을 묘사한 그림들에서 주인공의 진지한 태도나 동전의 정밀한 표현을 보면 돈을 가까이 하는 것이 반드시 도덕이나 종교적 가르침에 어긋나는 일인가 하고 반문하게 된다. 어쩌면 당시 부유한 상인이나 금융업자들은 그런 그림을 주문해 자신의 경제적 위치를 확인하고, 더불어 정직함을 뜻하는 상징물을 부각시켜 돈과 관련된 부정적 이미지를 벗어나고자 했는지도 모른다. ‘환전상’ 그림들에는 경제활동과 신앙생활이 공존하며, 인색과 탐욕을 경계하라는 교훈만큼이나 재화의 가치를 중시하는 자본주의의 경제관념이 깃들어 있다.
렘브란트 하르멘스존 반 레인, ‘환전상’, 1627년, 베를린 국립 회화관
렘브란트 하르멘스존 반 레인, ‘환전상’, 1627년, 베를린 국립 회화관
자본주의가 발달한 17세기 네덜란드에서 렘브란트 하르멘스존 반 레인(Rembrandt Harmensz. van Rijn)은 시장의 논리를 잘 알고 몸소 실천한 화가로 손꼽힌다. 그도 ‘환전상’을 그렸는데, 한 노인이 어두운 방 책상에 앉아 동전을 촛불에 비춰 보고 있는 그림이다. 노인은 장식이 달린 고급 옷을 입고 산더미 같은 서류와 책, 돈가방에 둘러싸여 있다. 저울을 내려놓은 채 동전 하나를 유심히 관찰하는 모습으로 봐서 그는 일을 하고 있는 게 아니라 자신의 돈을 확인하는 것처럼 보인다. 촛불은 이 장면의 유일한 광원으로, 인물과 주변 사물들을 동그랗게 밝혀 주의를 끈다. 하지만 정작 촛불 자체는 노인의 손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 기독교적으로 해석하면 촛불은 신의 존재이며, 산더미 같은 책은 경제의 바벨탑이고, 동전을 든 노인은 인색한 자, 즉 복음서에 나오는 어리석은 부자를 가리킨다.


자본과 도덕, 그 둘 사이의 균형
한편 미술사학자 스베틀라나 앨퍼스(Svetlana Alpers)는 렘브란트의 작품을 종교적 관점이 아닌 사회와 경제적 맥락에 비춰 해석했다. 당시에는 후원자가 원하는 그림을 화가에게 의뢰하면서 작품 값을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인기가 높았던 렘브란트는 후원자의 요구에 이끌리지 않고 자기 작품의 값을 직접 매겼다. 그는 그림을 그리기 전에 미리 돈을 받고 나중에 그림으로 상환하겠다는 차용증을 발행하기도 했다. 앨퍼스에 의하면 렘브란트는 자기 작품을 나중에 갚을 수 있는 일종의 ‘화폐’로 만들었고, 후원자가 아닌 채권자를 위해 그림을 그리고 싶어 했으며, 선불과 차용증이라는 방법으로 증권 거래와 같은 자본주의의 투기 정신을 보여 주었다. 실제로 돈을 좋아했던 렘브란트는 ‘환전상’을 통해 돈에 매혹된 자신을 노출했다고 볼 수 있다. 노인이 촛불에 동전을 비춰 보는 것은 빈틈없는 자산관리를 연상시키며 수북한 서류들은 이익을 위한 수많은 계산과 거래를 짐작하게 한다. 따라서 이 작품은 자본주의적 경영과 축재에 대한 화가 자신의 관심을 표명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처럼 환전상을 그린 그림들은 눈앞에 동전을 펼쳐 놓아 재물로 시선을 유도하고 탐욕을 경계하라는 교훈을 준다. 또한 금전이 활발한 유통 수단으로서 개인과 사회의 중심 가치로 부상한 현실적 상황을 드러낸다. 회화에서 보듯이 16~17세기에 시장경제가 활기를 띠면서 자본과 도덕의 관계는 사회적 고심거리가 됐다. 그 둘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는 문제는 여전히 풀어 가야 할 숙제가 아닌가.


박은영 미술사가·서울하우스 편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