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와 펀드업계에서 기업지배구조가 핵심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삼성, 현대자동차, 롯데 등 국내 굴지의 그룹사에서 오너십 변화가 가시화되고 있어서다.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서 기업 가치가 상승하거나 배당을 늘릴 가능성이 높은 지주회사 등에 집중 투자하는 투자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FUND ISSUE] 기업지배구조 개편으로 떠오른 ‘황금알’ 기업들
#1 지난해 말 국내 경제계를 강타한 이슈가 있었다. 바로 삼성그룹과 한화그룹 간 빅딜이다. 한화그룹은 삼성그룹의 방산·화학 4개 계열사를 인수하기로 결정하고 지금까지 매입 작업을 진행 중이다. 근래 보기 드문 최대 규모의 자율적인 인수·합병(M&A) 사례로 꼽혔다.

#2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과 정의선 부회장이 현대글로비스 지분 13.4%를 매각하려던 계획이 지난달 무산됐다. 블록딜(장 마감 후 대량 매매) 방식으로 한꺼번에 털려고 했지만 물량 부담이 워낙 컸던 탓에 기관 매수가 없었다는 후문이다. 현대차그룹은 공정거래법 규제를 피하기 위한 결정이었다고 밝혔지만 시장에선 정 회장이 외동아들인 정 부회장에게 지분을 넘겨주려는 신호탄으로 해석했다.

증시와 펀드업계에서 기업지배구조가 핵심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삼성, 현대차, 롯데 등 국내 굴지의 그룹사에서 오너십 변화가 가시화되고 있어서다. 이채원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부사장은 “한국 기업들의 제왕적 지배구조는 그동안 글로벌 투자자들이 한국 증시를 외면하도록 만든 가장 큰 요인이었다”며 “대내외적 환경 변화로 기업들이 지배구조를 바꾸고 있는 만큼 올해 최대 화두는 지배구조가 될 것이다”라고 예상했다.

기업지배구조 열풍이 불었던 것은 지난해 하반기부터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입원한 뒤 지배구조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부쩍 높아졌다. 지배구조 개편 후 주가 상승을 염두에 둔 관련 펀드도 속속 선보였다.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서 기업 가치가 상승하거나 배당을 늘릴 가능성이 높은 지주회사 등에 집중 투자하는 식이다. 정부가 그룹사들의 지주회사 전환을 유도하는 것도 관심사로 작용했다. 하지만 수익률은 신통치 않았다. 지배구조 개편에 따른 수혜보다 글로벌 증시 불안과 개별 기업의 실적 부진이 발목을 잡은 탓이다.


이노션·롯데정보통신 ‘눈길’
지난해 설정돼 1000억 원 넘게 시중 자금을 끌어 모은 주식형 지배구조 펀드들은 줄줄이 큰 폭의 손실을 기록했다. ‘IBK삼성그룹지배구조목표전환펀드’, ‘신한BNPP기업지배구조펀드’ 등이 지난해 말까지 -10%에 가까운 수익률을 보였다. ‘HDC좋은지배구조펀드’ 등 사모형도 마찬가지였다. 같은 기간 국내 주식형 펀드 평균 수익률보다 훨씬 저조했다.

가장 큰 원인은 각 지배구조 펀드가 담고 있는 삼성전자 등 대기업 종목의 주가가 큰 폭으로 하향 조정됐기 때문이다. 또 상당수 지배구조 펀드가 삼성SDS, 제일기획 등 주가가 공모가를 크게 웃돈 공모주들을 포트폴리오에 담지 못한 탓도 있다. 계열 증권사가 기업공개(IPO)를 진행할 경우 운용사는 공모주 청약에 참여할 수 없도록 만든 규정 때문이다.

예컨대 ‘IBK삼성그룹지배구조목표전환펀드’의 편입 종목 중에선 삼성전자 비중이 가장 높다. 다음으로 삼성물산, 삼성생명, KCC, 삼성증권, 호텔신라, 삼성SDI 등의 순이다. ‘신한BNPP기업지배구조펀드’ 역시 삼성증권, 삼성전자, 삼성SDI 등 삼성그룹주 외에 SK C&C, 한국타이어월드, 롯데제과, 롯데칠성, 두산, 네이버 등을 편입하고 있다.

지배구조 펀드의 연초 이후 성과도 좋지 않다. ‘한국투자사모HNW대표그룹지배구조펀드’의 올해 수익률은 -3.18%(1월 16일 기준), ‘유진목표전환삼성그룹지배구조사모1펀드’ 수익률은 -2.76% 등이다. ‘유진지배구조개선ZIM사모1펀드’의 수익률이 3.63%로 10~20개에 달하는 지배구조 펀드 중에서 선전하고 있다.

그룹 지배구조가 바뀌는 틀은 M&A 외에 공모주 상장에도 있다. 비상장 기업을 공개하면서 그룹 내 핵심 계열사의 오너 지분을 확대하는 식이다. 증여받을 오너 후계자의 지분이 높을수록 주가 상승 전망이 밝은 것으로 업계에선 해석하고 있다. 그룹 계열사의 잇따른 상장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올해 IPO에 나설 기업들 중에서 그룹사 지배구조와 관련이 있는 회사들이 적지 않다. 대표적인 곳이 현대차그룹의 광고 계열사인 이노션이다. 이노션이 상장하면 시가총액이 1조5000억 원에 달할 것이란 게 증권업계의 추산이다. 지난해 시총 1조 원을 넘긴 공모주는 삼성SDS와 제일모직, BGF리테일, 쿠쿠전자 등 4곳뿐이었다. 이노션의 주요 주주는 정의선 부회장(10%)과 정성이 고문(40%)이다.

형제간 경영권 분쟁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는 롯데그룹도 관심 대상이다. 롯데그룹은 2006년 롯데쇼핑 이후 롯데리아 등 일부 계열사의 상장을 검토해 왔다. 롯데그룹 내에서 연내 상장 가능성이 큰 곳은 시스템통합(SI) 업체인 롯데정보통신이다. 롯데정보통신의 주요 주주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과 신동주 전 일본롯데 부회장이다. 롯데정보통신이 롯데그룹 지배구조 개편의 중심축으로 떠오르는 배경이다.

방위산업체인 LIG넥스원도 연내 상장할 예정이다. 공모 규모만 5000억 원대다. 태광그룹 계열사인 티브로드홀딩스, KT텔레캅, SK D&D, 코오롱워터앤에너지, NS쇼핑 등 대기업 계열 자회사들도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 한 자산운용사 펀드매니저는 “지배구조 개편은 완료하기까지 수많은 변수가 작용하고 시간도 많이 걸리는 작업”이라며 “주식 종목을 직접 사고팔거나 관련 펀드에 투자하는 사람들은 오너십 변화 후의 주가 향배까지 꼼꼼하게 따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기업지배구조 이슈가 다시 부각되면서 관련 펀드의 수익률이 재조명을 받을 것이란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배당 확대와 자사주 매입 등을 발표한 삼성전자 주가가 올 들어 회복세를 보인 게 신호탄이란 관측도 나온다. 삼성그룹 지배구조의 핵심 축인 삼성전자의 경우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이 5조2000억 원으로 당초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었다. 이세철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실적 개선세가 올 2분기 이후 본격화할 가능성이 높다”며 “삼성전자에 대한 목표 주가를 종전 150만 원에서 165만 원으로 올려 잡았다”고 말했다.
[FUND ISSUE] 기업지배구조 개편으로 떠오른 ‘황금알’ 기업들
올해 지배구조 변화가 가시화될 종목을 집중 편입한 지배구조 펀드에 관심을 기울이라는 조언이 많다. 김후정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국내외 연기금과 외국인이 국내 주식 비중을 늘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그룹주 펀드가 지난 2년간의 부진을 끝낼 가능성이 높다”며 “엔저의 영향을 많이 받는 수출주 위주의 성장형 펀드에 비해 지배구조 이슈가 살아 있는 펀드의 상승세가 강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영찬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 주식운용본부장은 “지주사 전환에 대한 세제 혜택이 일단 연내 일몰되는 만큼 지배구조가 증시의 핵심 사안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다”며 “올해 지배구조 관련 펀드의 움직임을 눈여겨볼 만하다”고 말했다.


조재길 한국경제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