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nri Matisse in Rosary Chapel

1. 니스 전경. 그림 같은 해변 에메랄드 초록바다에 레몬향기가 흩날리는 듯 상쾌하다. CANON EOS 5D, CANON LENS EF 1:2.8 L 24-70mm DIGITAL 최선호ⓒ스의 해변에 따가운 유월의 햇살이 내린다. 백사장이 아닌 둥근 자갈이 깔린 해수욕장에는 아침부터 비키니의 멋진 여인이 해변을 거닌다. 야자수가 일렁이는 바닷가에는 에메랄드 푸른 비취빛이 넘실댄다. 니스에는 마티스 최후의 걸작이자 영원한 생명의 안식처가 있다. 방스에 있는 로사리오 성당이 바로 그곳이다. 이곳은 마티스가 만년에 그의 모든 열정과 집념 그리고 삶의 즐거움을 색과 빛으로 승화시켜 작업한 <생명의 나무> 스테인드글래스와 <십자가의 길>, <성 모자상>, 그리고 <성 도미니쿠스상>이 영원과 맞닿은 맑고 경건한 ‘마티스 성당’이다.칠십이 넘은 노년의 앙리 마티스(Henri Matisse,1869~1954)는 1941년 정월, 리옹에서 십이지장 암수술을 받고 작품을 마무리 할 수 있게 삼사년만 더 살 수 있게 해 달라고 의사에게 간청했다. 마티스는 바닷바람을 쐬라는 의사의 권유에 따라 니스 북쪽 시미에의 높은 곳에 위치한 대형 호텔 레지나로 작업실을 옮겼다. 이 호텔은 영국에서 오는 겨울 관광객을 위해 1897년 지어진 호텔로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도 묵은 적이 있는 특급 호텔이다. 하지만 1943년 2차 세계대전이 막바지로 치달을 무렵, 시미에 공습이 있은 뒤 마티스의 한 시기도 막을 내리고 있었다. 그의 니스 시대는 루마니아 블라우스를 입은 채 졸고 있는 모델을 그린 <꿈>(1940)과 함께 끝났다. 마티스는 니스를 떠나 산기슭에 자리 잡은 중세도시 방스의 별장 ‘르 레브’로 작업실을 옮겼다.노대가 마티스는 앓아눕는 일이 잦았다. 평생 그의 곁을 떠나지 않았던 담배로 인한 폐색전증과 위하수증 때문에 쇠로 된 벨트를 차고 다녔는데, 그 때문에 오래 서 있을 수가 없었다. 그의 회고에 따르면 “지난 50년 동안 나는 잠시도 작업을 중단한 적이 없다. 오전 9시부터 정오까지 일하고 점심을 한다. 점심 후 낮잠을 간단히 잔 다음 오후 2시에 다시 붓을 들고 오후 내내 저녁 때까지 줄곧 일을 했다. 상상이 안 갈 것이다”라고 하던 사람이었다. 그는 붓 대신 가위를 들고 휠체어에 앉아 종이 오리기 작업을 하였다. 방스의 로사리오 성당 <생명의 나무> 작업의 초안을 시미에 레지나 호텔 천장 높은 그의 작업실에서 완성했다.로사리오 성당의 인연은 1941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리옹의 젊은 간호사 모니크 부르주아는 마티스를 간호하면서 맺은 인연으로 드로잉과 유화의 모델이 되기도 하고, 마티스 만년의 걸작 <재즈>의 종이 오리기를 도와주기도 하였다. 1946년 수녀가 되어 자크 마리로 불리게 된 그녀는 방스에 있는 도미니쿠스 수도회로 옮겼고, 그곳에서 마티스와 인연을 다시 이어가기기 시작했다. 1947년 말 자크 마리 수녀의 추천으로 도미니쿠스 수도회의 레시기에 수사가 마티스에게 방스에 성당을 지으려는 계획을 알려 왔다. 자크 마리 수녀는 수녀들의 예배당 스테인드글래스를 마티스의 작품으로 만들고 싶었다. 마티스는 흔쾌히 받아들였다. 자신의 삶과 예술을 ‘건축학적 그림’인 스테인드글래스로 완성하고 싶었던 것이다. 노대가의 의지는 열정으로 불 타 올랐다.성당은 가로 15m에 세로 6m 높이 5m로 ‘ㄱ’자 형의 작은 공간이었다. 마티스는 요한계시록 22장 2절 에 나오는 “…내게 생명수가 흐르는 그 강은 그 성의 넓은 거리 한가운데로 흐르고 있었습니다. 강 양쪽에는 생명의 나무가 있어서 일 년에 열두 번, 달마다 새로운 열매를 맺고 있었습니다. 또 그 잎은 모든 사람들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라는 구절을 주제로 선택하였다.2. 니스의 시미즈 호텔 레지나에서 팔십이 넘은 만년의 마티스가 십이지장 암수술을 받고 휠체어에 앉아 종이오리기 작업을 하고 있다. 방스의 마티스 성당 <생명의 나무> 작업의 초안을 이곳에서 완성했다.레지나 호텔의 마티스를 가까이 지켜 볼 수 있었던 자클린 뒤엠은 훗날 자신의 기록인 <선과 그 밖의 것들>에서 마티스의 하루 일과와 계절에 따라 파리와 니스를 오가던 생활을 상세히 기록하면서 니스 작업실 풍경과 빛을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여름이 끝날 무렵 우리는 다시 (파리에서) 니스로 돌아갈 준비를 했다. 이제는 레지나 호텔에서 묵을 차례였다. 그 호텔의 로비는 으리으리한 장식물로 치장되어 있었고, 호텔에 들어서면 마치 박물관이나 사원에 온 듯한 느낌이 들었다. 이 박물관 같은 공간을 이루는 다른 방들에도 세계 여러 나라에서 가져온 고색창연한 골동품들이 진열되어 있었다. 니스와 방스의 마티스 거처에서만 볼 수 있는 그 특이한 빛, 태양의 위치에 따라 반쯤 드리운 얇은 커튼에 여과되어 들어오는 그 부드러운 빛은 마치 수도자가 생활하는 그리스 어느 사원에 온 듯한 느낌을 주었다. 마티스의 작업실은 실제로 수도자의 생활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 한복판에 방스의 도미니쿠스 수도회 성당의 모형이 자리 잡고 있었던 것이다….”마티스의 성당 드로잉 작업은 종이에 자크 마리 수녀가 마티스가 원하는 녹색 노랑 파랑의 과슈 물감을 칠하면 마티스가 연필로 드로잉하고 그에 맞추어 종이오리기를 한 다음 벽에 풀로 붙여 나가는 방식이었다. 언뜻 보면 마티스가 대가의 노련함으로 쓱쓱 쉽게 잘라낸 듯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종이를 원화의 의도에 가깝도록 수없이 자르고 덫 부쳐 작업을 <생명의 나무>를 완성했다. 그 뿐 아니라 세라믹 타일에 그려진 드로잉은 어린아이의 순진무구함을 팔십 노대가의 눈으로 그려낸 마티스 최후의 만찬이다. 마치 추사의 절필 봉은사 <판전(板殿)> 편액을 보는 듯하다. 예술 최고의 경지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같은가 보다. 고졸함이 바로 그것이다. 마티스는 이것을 다음과 같이 지적하였다.“어린아이가 사물에 다가갈 때 느끼는 신선함과 순진함을 보존하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당신은 평생 어린아이로 남아 있으면서도 세상의 사물로부터 에너지를 길어오는 성인이 되어야 한다.” 참으로 옳은 말이다.3. 마티스, , 1947, 종이에 과슈 종이 오리기, 85.5×70Cm, 개인소장방스 성당의 그림을 설계하면서 마티스는 일에 깊이 몰입하여 한때는 수도자가 될 생각까지 했다. 그러나 그의 종교는 그림이었다. 1951년 로사리오 성당의 <생명의 나무>연작을 마무리하면서 마티스는 다음과 같은 고백을 한다.“…나는 아무런 걱정도 간섭도 없이 그림을 그리는 데 필요한 여건만 마련된다면 독방에서 수도자로서 살아가고 싶다. 성당에 와서 내가 해야 할 주 임무는 빛과 색채로 채워진 표면 하나와 흑백의 선 드로잉으로만 그려질 다른 쪽 벽사이의 평행을 만드는 일이었다. 내게 그 성당은 내 작품에 헌신한 전 생애의 완성을 의미했다. 그것은 힘들고 까다롭지만 정직한 노동의 개화였다.이것은 내가 스스로 택한 작업이 아니라 끊임없이 지속되어 온 내 예술적 탐구의 과정에서 운명적으로 나에게 점지된 작업이다. 성당은 그 탐구를 종합함으로써 마침내 그것을 현실화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나에게 열어 주었다. 이 작업이 헛되이 끝나지 않고 지금은 지나가 버린 한 시기의 예술적 표현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운동이 완전히 실현되기 전까지는 아직은 확신을 갖고 단언할 수 없다. 인간의 감정을 이런 방식으로 표현하는데 약점이 있다면 그것은 저절로 떨어져 나갈 것이다. 그러나 조형적 전통의 과거와 미래를 이어주는 생명력은 여전히 살아남을 것이다. 나는 그러한 생명력을 나의 계시라고 부르고 싶으며, 뿌리를 더듬어 올라갈 수 있을 정도로 그 계시가 넉넉하고 힘 있게 표현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마티스의 소원대로 그는 아무런 걱정도 간섭도 없이 그림을 그리고 종이로 오려 성당을 완성했다. 성당의 제단은 성당 한 가운데 정 동쪽으로 자리하여 신자와 합창단 사이 기둥 모서리를 향하여 단정하게 자리 잡았다. <생명의 나무>연작은 초록 노랑 그리고 파랑 세 색으로만 이루어졌다. 제단의 오른쪽 스테인드글래스는 선인장의 몸에 폴리네시아 바다 풀잎으로 방식하여 생명이 넘쳐나게 표현하였고, 성당 남쪽 창문에는 나뭇잎사귀가 자라 춤추는 형상으로 그려 내었다. <성모자상>과 <십자가의 길> 드로잉은 어린아이 그림처럼 단순 천진하게 그려져 있다. <성 도미니쿠스상>은 해탈한 성자의 진실만 남은 절대경지의 선묘화이다. 대가의 숨결은 평범함이다.4. 마티스 로제르 성당. 순백색의 외양에 남불 지중해의 따가운 햇살이 눈부시게 내린다. 전면에 보이는 <성모자상> 아래 <생명의 나무> 스테인드글래스가 아이비 넝쿨로 둘러싸여 있다. CANON EOS 5D, CANON LENS EF 1:2.8 L 24-70mm DIGITAL 최선호ⓒ마티스는 4년에 걸친 헌신으로 성당화를 마감하고 그 후 3년을 어린아이처럼 종이오리기로 생의 마지막을 장식하였다. 그는 1954년 11월 3일 생을 마감하고 니스 시미에 묘지에 묻혔다.방스의 마티스 성당에서의 고요함에 색과 빛의 화음이 천사들의 합창으로 울려 퍼진다. ‘세상이 아름답고 그리워 만사 제쳐놓고 훌쩍 여행가방을 챙겨 떠난다’는 실로 간절한 바램이다.5. 마티스 성당 제단. <생명의 나무>와 <성 도미니쿠스 초상>과 제단 그리고 십자가 촛대등 모두 마티스가 직접 드로잉하고 디자인한 것들이다. CANON EOS 5D, CANON LENS EF 1:2.8 L 24-70mm DIGITAL 최선호ⓒ6. 마티스 성당 후면. 마티스가 드로잉하여 세라믹으로 구운 벽면에 <십자가의 길>과 <성모자상>이 <생명의 나무> 스테인드글래스에서 나온 빛에 환하게 빛난다. CANON EOS 5D, CANON LENS EF 1:2.8 L 24-70mm DIGITAL 최선호ⓒ7. <십자가의 길> 드로잉은 어린아이그림처럼 단순 천진하게 그려져 있다. 대가의 숨결은 평범이다. CANON EOS 5D, CANON LENS EF 1:2.8 L 24-70mm DIGITAL 최선호ⓒ8. 마티스 성당 앞으로 펼쳐진 방스의 풍경, 언덕 위로 성을 쌓고 도시를 경영한 중세도시의 전형으로 성곽너머 니스의 지중해가 그림처럼 아스라이 펼쳐져 있다. CANON EOS 5D, CANON LENS EF 1:2.8 L 24-70mm DIGITAL 최선호ⓒ9. 마티스 성당 정면의 <성모자상>. 성모마리아가 아들 예수가 장차 격을 고난과 슬픔을 따듯하게 보듬어 안고 있는 자애로운 표정에 대가 마티스의 깊은 성찰에 절로 감동이 우러난다. CANON EOS 5D, CANON LENS EF 1:2.8 L 24-70mm DIGITAL 최선호ⓒ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및 동대학원, 뉴욕대학교(NYU) 대학원 졸업. 간송미술관 연구원, SADI 교수 및 한국전통문화학교 교수 역임, 현재 전업 작가. 저서 <한국의 미 산책>(해냄).글·사진 최선호(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