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을 만든 고전들_열 번째 최인호 ‘별들의 고향’

영원한 청년작가로 불리는 최인호, 그가 1974년 대중과 동시에 호흡했던 소설이 바로 ‘별들의 고향’이다. ‘죄와 벌’의 소냐, ‘부활’의 카추샤, ‘테스’의 테스와 같은 누구나의 마음속에 한번쯤 깃든 그런 여인의 이야기인 ‘별들의 고향’에 대해 ‘호스티스 소설’이라는 비난도 있었지만, 분명한 건 최인호의 작품을 거치지 않고서는 1970년대 청춘들의 맥박을 제대로 짚어 낼 수 없다는 사실이다.
[GREAT TEACHING] 1970년대 소냐·카추샤 혹은 경아
올 1월 한국영상자료원이 ‘역대 한국 영화 100선’을 선정했다. 3편이 공동 1위를 했는데, ‘하녀’, ‘오발탄’, 그리고 ‘바보들의 행진’이다. 이 영화 중에서 가장 최근의 것이 1975년 ‘바보들의 행진’으로, 60대 이상에서는 이 영화를 영화관에서 즐겼던 이가 적지 않을 것이다. 수많은 젊은이를 자정 12시의 신데렐라로 만들었던 통금시간, 비틀스와 카펜터스 머리스타일이 단속 대상이었던 장발 금지, 무릎 위 15cm가 기준이었던 미니스커트 단속까지 ‘건전한 사회 기풍’이라는 명목하에 청춘의 시간과 몸은 각종 단속과 금지 속에 갇혀 있었던 시절의 이야기다. 1970년대 젊음은 벽장 속에 숨겨 두어야 하는 ‘고래’만큼이나 조심스럽고 거추장스러운 것이었다. 그래서 때로 바보처럼, 어느 순간 빵 터지는 욕망의 풍선처럼 허무하기도 했으나, 그럼에도 여전히 영화배우 제임스 딘의 후예처럼 거리를 질주하는 무모함이 멋있게 보였던 시절이다.


‘별들의 고향’ 혹은 ‘별들의 무덤’
‘바보들의 행진’의 원작자가 바로 최인호다. 한국문학사에서 ‘최초’라는 단어를 참 많이도 가진 작가다. 이를테면 최초로 100만 부 이상의 소설을 독자들 손에 쥐게 한 작가이자 책 표지에 작가 사진을 등장시킨 최초의 작가다. 영원한 청년작가로 불리는 최인호, 그가 1974년 대중과 동시에 호흡했던 소설이 바로 ‘별들의 고향’이다. 줄거리쯤은 꿰고 있는 분도 적지 않겠지만, 이미 40년 전의 이야기이니 한편에서는 도서관 책장 속의 먼지 쌓인 이야기로 기억하는 독자 또한 적지 않을 것이다. 각종 수식어가 따라붙으며 1970년대를 풍미한 작가이지만, 그 이면에 ‘퇴폐’, ‘저속’ 등의 수사를 몸에 지고 다녀야 했던 작가이기도 하다. 그만큼 당대 풍속을 고스란히 펼쳐 놓은 싱싱한 활어 같은 이야기였고, 또 그만큼 대중의 혼을 빼놓기도 했다. 그중 대표적인 소설이 ‘별들의 고향’이다. 제목만 보면, 소년소녀가 사랑하는 순정 소설쯤으로 보이기도 하나, 원래 이 책의 제목은 ‘별들의 무덤’이었다. 이 또한 부정적인 제목이라 해 ‘고향’으로 바뀌기도 했으나, 분명한 건 ‘별들의 고향’ 이면에 놓인 ‘무덤’에 관한 이야기라는 사실일 것이다.

한번 상상해 보아도 좋을 듯싶다. 1947년생으로 이름은 오경아. 체구는 작은 편으로 ‘키를 재고 몸무게를 달아 보고 싶은 여자’라고 기억될 만큼 품 안에 쏙 들어오는 여자다. 원래 대학에서 성악을 전공하고 있었으나 기차역 인부로 일했던 아버지의 죽음 이후 집안의 생계를 꾸리기 위해 생활전선에 뛰어들게 된다. 이후 이 여성은 어떤 삶을 살게 됐을까. 어떤 삶을 살았기에 그토록 많은 독자들이 눈물을 흘리며 남녀를 불문하고 ‘자신이 바로 경아’와 다르지 않다고 얘기하는 것일까. 그 지난(至難)하고 신산(辛酸)한 삶을 요약하기 전에 경아가 꾸었던 꿈을 먼저 얘기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그녀는 원래 결혼하면 가계부도 쓰고 레이스 달린 치마도 입고 총채로 구석구석 방의 먼지를 털면서 여성잡지에 실린 요리를 하며 살고 싶어 했다. 또 아름다운 가정을 꾸리며, 엄마와 아내로서 살아내고 싶어 했다. 성악과를 무사히 졸업했다면, 또는 생활전선에 뛰어들지 않아도 됐다면 어쩌면 레이스 달린 행주치마를 입었을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1970년대 현실은 그리 녹록지 않았다.

1970년대 경아의 처지는 약간의 과장을 섞어 말하자면 ‘무작정 상경’한 시골누이의 처지와 그리 다르지 않았다. 버스비 25원, 짬뽕 값 100원 하던 시절 월급 1만9000원 중에 7900원을 적금으로 붓고 나면 ‘커피 한 잔 마실 돈도 없어 깍쟁이처럼 굴어야’ 했다. 꿈은 월급 크기만큼으로 쪼개졌다. 그래도 비상금을 털어 영화라도 보는 날이면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고장 난 수도꼭지처럼 울었다’. 그러던 차에 회사 내에서 한 남자를 만나 ‘연애의 정석’을 밟아 나가는데, 문제는 ‘연애사관학교 4학년’쯤이 되자 애인의 요구가 ‘사랑하니까’로 시작되는 투정이 돼 다소 심해졌다는 것이다. 경아가 소설책에서 보던 ‘사랑한다면 지켜줄게’는 찾아볼 수 없는 너무도 다른 딴 세상 얘기였다.

몸도 마음도 다 주고 나자 그 이후의 스토리는 남자의 변심과 여주인공의 몰락 등으로 이어진다. 그런데 경아의 삶이 몰락에 그치지 않고 본의와 상관없이 타락의 길로 나아간다. 후처 자리로 들어가 아주 잠시 단꿈을 꾸어 보기도 하지만 경아의 ‘과거’를 문제 삼으며 다시 이별, 세 번째 남자는 경아의 몸에 하트 문신을 그리며 집착하지만 결국 경아를 호스티스로 전락시키고, 마지막에 만난 화가는 경아의 티 없이 맑고 깨끗한 성정에 끌려 행복한 삶을 꾸리기도 하지만 다시 경아를 버리고 떠나 버린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은 만신창이가 된 경아가 술집에서 혼자 술을 마시는데, 또다시 경아의 몸을 탐하고자 하는 남성들이 등장하고 경아는 그 이후 눈 덮인 들판 위에서 쓰러져 죽게 된다. 그리고 이 소식을 들은 화가가 경아의 장례식을 쓸쓸히 지키는 것으로 소설이 끝이 난다.


금지와 단속이 무성한 시대 청춘들의 맥박
이 소설에 대해 작가 최인호는 ‘죄와 벌’의 소냐, ‘부활’의 카추샤, ‘테스’의 테스와 같은 누구나의 마음속에 한번쯤 깃든 그런 여인의 이야기가 쓰고 싶었다고 말한다. 또 ‘밤 11시 30분이면 통행금지를 피하려 서울 광화문에서 신촌으로 택시 합승을 해야 하는 풍속’이나 ‘청바지를 입은 통기타 가수가 노래를 부르고, 술 취한 아가씨가 이리저리 비틀대던 무교동 이야기’를 쓰고 싶었다고도 말한다. 아마도 ‘금지’와 ‘단속’이 무성한 시대를 그대로 보여 주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말하고 싶었던 것일지도 모른다. ‘별들의 고향’ 이후 바로 그다음 해에 발표한 ‘바보들의 행진’에서 젊음의 형식을 ‘바보’로 놓고 이 바보들의 질주를 행진으로 이야기한 것은 ‘별들의 고향’에서 조금 더 나아간 것이다.

그러나 ‘별들의 고향’의 이야기가 당시 그렇게 대중의 맘 속 깊숙이 파고들어 제 이야기인양 느끼게 됐던 것은 바로 티 없이 맑게 사랑하고자 하는 여자와 그 여자의 몸만 탐하고자 하는 남성의 마음들이 너무도 적나라하게 비교됐기 때문인 동시에 ‘경아’가 가진 그 순정의 크기와 무게에 반비례하는 배신과 야비함이 대비됐기 때문이다. 그래서 결국 경아가 차가운 들판에 처절히 쓰러진 채 죽어가는 모습을 스크린 위에서 보았을 때 그 화면 위에 자신을 투영시켰을지도 모를 일이다. 호기롭게 굴지만 아이 같은 남자 영석, 끝까지 책임지는 것처럼 말하지만 실은 가학과 집착 이상이 아닌 동혁, 아버지인 양 관대하게 굴지만 딸의 분방함을 추궁하며 내쫓는 무서운 아버지 같은 모습의 만준, 그리고 가장 인간적인 얼굴을 하면서 오빠처럼 경아를 품기도 하지만 운명을 넘어서지 못하는 문오, 이들은 저마다 헛헛한 마음을 품은 채 마음 속 욕정을 해결할 통로로서만 여성의 몸을 탐한다. 젊은 영석은 영화 속 분방한 자유연애를 그대로 모방할 뿐이며, 동혁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라고 말하지만 실은 그 몸을 숙주 삼아 기생할 뿐이고, 만준은 경아를 후처로 들인 후 죽은 전처를 다시 불러내기 위한 방법으로서만 경아를 탐닉한다.

한때 한국 문학사에서 최인호의 소설을 두고 ‘호스티스 소설’이라고 평하며 비난에 가까운 판단까지 가한 일이 있지만 이제 어느 누구도 그러한 평가를 내리지 않는다. 최인호의 작품을 거치지 않고서는 1970년대 청춘들의 맥박을 제대로 짚어낼 수 없다. 또 분명한 것은 한국에서 ‘경아’는 ‘소냐’와 ‘카추샤’만큼의 빛나는 표상이라는 사실이다. 따라서 이제는 경아, 혹은 그 시절 누이들의 희생 속에서만 가능했던 그 무수한 야만적인 욕망들에 이별을 고하며 그들이 가졌던 원래의 꿈을 한번쯤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박숙자 서강대 인문과학연구소 연구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