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證 고액자산가 분석…올 여름 유망지역으로 55%가 '한국' 첫손

10억 이상 자산가 64% "올 여름 '서머랠리' 기대"
지난 상반기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다소 혼란스러웠던 글로벌 증시 흐름과는 달리, 국내 자산가들의 절반 이상은 올 하반기 초입 국내외 증시가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예상했다.

6일 삼성증권은 10억원 이상 금융자산을 보유한 고액자산가 78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6.22∼24일)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63.9%가 올여름 서머랠리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서머랠리가 온다는 응답자 중 32%가 7∼8월 중 코스피 기준 최고치가 3,600pt 또는 그 이상도 갈수 있다고 답했다.

서머랠리는 여름철 주가가 크게 상승하는 것을 일컫는 말로, 흔히 펀드매니저들이 여름 휴가를 앞두고 가을 주식시장을 기대하며 미리 주식을 매수하고 떠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최근 10년간 S&P500의 7∼8월 증시 움직임을 분석해 본 결과 7회에 거쳐 서머랠리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서머랠리를 기대하는 이유로는 '기업실적 개선의 본격화'(47.0%)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 전반의 코로나 극복 기대감'(46.8%)이 그 뒤를 이어 물리적 실적 개선 뿐 아니라 국민들의 심리개선도 투자에 우호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을 나타냈다.

반면, 서머랠리를 기대하기 힘들다고 답변한 고객은 36.1%로,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테이퍼링과 금리인상 등의 이슈가 부각'되면서 주가상승이 제한될 것으로 예상했다.

여름 투자 유망지역으로는 국내 주식시장(54.9%)을 첫 손가락으로 꼽았다. 특히, 10억 이상 고액자산가들이 2019년 이후 해외주식투자 잔고를 3.46배나 늘려온 것을 감안하면 의외의 선택이라는 게 삼성증권 측 분석이다. 한국의 대외 수출이 지난 5월까지 7개월 연속 증가하는 등 수출 호조세가 이어짐에 따라 기업실적 증가, 경기회복 등의 기대감이 타 지역 대비 높다는 점이 선호도를 끌어올린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 이어 미국(31.2%), 중국(8.6%), 베트남(3.2%) 등이 투자 선호지역으로 꼽혔고, 여름휴가 전에 사놓고 떠나고 싶은 국내주식 테마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Naver 등 '대형 실적주'(42.7%)가 선택을 받았다. 그 뒤를 삼성SDI, LG화학, 카카오 등 지난해 증시 상승을 주도했던 'BBIG 성장주' 와(29.2%), 신세계, 현대백화점 등 코로나 회복 관련 '실적 개선주'가 뒤를 이었다.

또, 여름휴가 전 사놓고 싶은 해외주식 테마로는 응답고객의 44.8%가 애플, 알파벳, 페이스북 등 미국의 대표 '빅테크 성장주'를 선택했고, 이어 실적개선 기대감이 높은 캐터필러, 보잉 등의 '산업재 종목'이 21.9%의 선호도를 보였다. 코로나 이후 회복과 관련해 국내는 소비재, 해외는 산업재 중심으로 실적개선 수혜주를 꼽은 점이 눈길을 끌었다.

올해 변동폭이 컸던 게임스탑(GME), AMC엔터테인먼트(AMC)와 같은 밈(Meme) 주식 투자를 고려하는 고객은 2.8%에 그치는 등 변동성이 큰 자산에 대한 고액자산가들의 경계심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심리는 고액자산가들의 실제 주식매매에서도 확인됐다. 10억이상 고액자산가들의 올해(1.1일∼5.31일) 국내주식 순매수 Top5는 모두 시가총액이 높은 거래소 종목으로, 업종을 대표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기아 등이 상위에 위치하였고, 해외주식도 국내주식과 마찬가지로, 테슬라, 애플과 같은 성장주와 코로나 대표 피해주인 보잉 등 시가총액 상위에 자리하고 있는 종목 위주로 매수했다.

한편, 코로나 팬데믹 이후 투자방식에 가장 큰 변화라고 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30.1%가 비대면 문화 확산에 따라 MTS(Mobile Trading System) 활용이 높아지고, 언제 어디서나 주식시세, 뉴스 등을 확인하고 매매하게 된 것이라고 응답했다.

실제 거래가 있었던 10억이상 고객 중 온라인 채널 이용 고객 비중은 '19년 말 54.7%에서 '20년말 71.0%로 급증했고, '21년 5월말 기준 74.5%수준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있다.
뿐만 아니라, 각 증권사의 유튜브의 동영상을 통해 공부하고 이를 투자에 활용한다는 응답이 25.1%로 나타나며 정보 획득의 대상 역시 온라인 채널로 다변화되고 있는 현상이 목격됐다.

삼성증권 채널영업부문장 사재훈 부사장은 "고액자산가들의 경우 투자금액이 크고 투자경험도 많은 만큼 수준 높은 시장 통찰력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다"며, "올 여름의 경우도 미국의 테이퍼링 등 주요 이슈들이 우려를 높이고 있지만, 자산가들은 경제 정상화와 실적개선 등에 따른 기대감이 이를 상쇄할 것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 고객들이 여름휴가철에도 시장변화에 시의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공인호 기자 ba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