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인터뷰>

① - 김완성 코스콤 미래사업TF부 부서장
② - 황현일 법무법인 세종 변호사
③ - 류지해 미래에셋증권 디지털자산TF 이사
[Special] 김완성 코스콤 부서장 "토큰증권 플랫폼 구축…제도 안착 지원"
코스콤은 토큰증권발행(STO) 시장 발행·유통 플랫폼으로서 제도와 상품 요건, 투자자 보호 삼박자를 갖춘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른바 증권 업계가 모두 사용 가능한 ‘공동 토큰증권 발행·유통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김완성 코스콤 미래사업TF부 부서장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코스콤은 분산원장 기술에 대한 노하우와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며 “토큰증권 시장 마켓 플레이어들의 진입장벽을 낮춰주고 제도 안착을 지원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대형 증권사 위주로 STO 관련 협의체 구성이 활발하게 이뤄지는 가운데 중소형사들이나 조각투자 회사의 경우 초창기 시장에서 비용 투자 대비 사업성에 대한 고민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코스콤의 공동 플랫폼은 대안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는 “코스콤은 블록체인 사업을 7년간 준비해 온 자본시장 정보기술(IT) 기업으로 자본시장 경험과 블록체인 기술을 모두 가지고 있다”며 “증권사들이 최소의 비용으로 효용을 끌어내고 경쟁력 있는 상품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인프라적 지원이 가능하다”고 했다.

코스콤은 토큰증권 플랫폼을 대형사들에도 오픈해 자율적 참여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자체 플랫폼을 개발·운영하는 대형 증권사라면 분산원장만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코스콤은 한국형 토큰증권 제도에 부합하는 요건을 플랫폼에 내재화하는 한편, 토큰증권 발행사와 증권사의 다양한 실제 상품 요건을 플랫폼에도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투자자 보호 장치도 마련해 토큰증권 거래 시장의 신뢰도 제고에도 힘쓸 예정이다.

김 부서장은 “코스콤은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고자 하는 증권사들을 대상으로 최소한의 비용으로 초기 사업에 진출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한 공동의 발행·유통 플랫폼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코스콤은 이번 사업을 위해 2022년 하반기부터 사내 STO 관련 조직이 구성된 8개 증권사와 워킹그룹을 구성해 정기적으로 세미나를 주최하는 등 STO 연구·검토에 적극 참여해 왔다. 특히 국내 여러 증권사뿐 아니라 조각투자 업체 및 은행의 STO 사업 진출 및 활성화를 위한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다음은 김 부서장과의 일문일답.

STO 플랫폼 사업자로서 시스템 기술은 어느정도 갖춰져 있나.

“토큰증권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블록체인과 분산원장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술만큼 중요한 것이 증권 업무에 대한 이해와 노하우를 갖추는 것이다. 코스콤은 자본시장 업무는 물론, 블록체인 분야도 자체적으로 연구를 했기 때문에 토큰증권 플랫폼 사업자로서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2016년부터 분산원장 기술에 대한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LG CNS와 협약을 맺어서 기술력을 공유하고 있어 경쟁력이 높다고 생각한다.”

안전성을 갖추기 위해 어떤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고 보는가

"물론 긍정적인 요인과 리스크 요인을 함께 봐야 한다. 코스콤이 중개업자 역할이 아닌 시스템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고민에 대한 접근은 다소 다르다. 하지만 이 시장이 꾸준히 지속가능하려면 자본시장 정도의 안정성을 갖추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 같다. 현재 한국의 자본시장 시스템은 글로벌 수준의 안정성이 있다는 인정을 받고 있다. 토큰증권 시스템 역시 자본시장 기준으로 엄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안전성을 갖추기 위해 어떤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고 보는가.

“현재 토큰증권 플랫폼을 클라우드 환경에서 구축하고 있다. 클라우드의 장점이라고 한다면 갑자기 사용자가 몰리더라도 리소스에 대한 확대와 축소가 가능하다. 사용이 편리하고 비용도 합리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토큰증권 사업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싶나.

“코스콤은 마켓 플레이어가 아니기 때문에 수익을 내는 것이 목표라기보다 토큰증권이라는 새로운 시장의 제도적 안착이 1차적 목표다. 금융 회사와 같은 마켓 플레이어들의 시장 진입장벽을 낮추고 제도적 안착을 지원할 계획이다. 코스콤은 앞으로도 이러한 목표를 향해 플랫폼 사업자로서의 입지를 구축하려고 한다.”

이미경 기자 esit917@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