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 시점이 예상보다 늦춰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시장 전문가들도 수정된 전망을 속속 내놓고 있다. 연방준비제도(Fed)와 한국은행의 올해 기준금리 전망을 살펴본다.

[big story] 복잡해진 금리 시나리오…전문가의 예측 ②
백윤민 연구원 “물가 경로가 美 변수…한은 8월 선제적 인하 가능성”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앞서 6월로 전망했던 미국 금리 인하 시점을 9월로 늦췄다. 미국 경제지표만 놓고 보면 빠르게 금리를 내리는 게 오히려 부자연스러운 상황이라는 판단에서다. 최근 미국 제조업, 고용, 소비 등의 지표가 줄줄이 양호하게 나온 데 이어, 물가지표는 인플레이션 둔화세가 정체되는 것을 넘어 오히려 완만해지고 있다.

백 연구원은 “최근 물가 상승 압력이 다시 커질 우려가 나오면서, 미국 Fed도 당초 생각했던 스탠스보다는 금리 인하 시기를 뒤로 미룰 수밖에 없다고 보는 것 같다”며 “금리를 인하한다면 시점은 9월 정도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향후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상황이 급변하지 않는 한 9월 인하 쪽에 무게를 두겠다는 게 백 연구원의 전망이다.

문제는 미국의 물가 경로다. 백 연구원은 “단순히 한 분기 정도 인하 시점이 지연되는 방향이라면 올해 금리 인하를 한 번 하든 두 번 하든 크게 중요한 문제는 아니다”라며 “하지만 만약 물가가 2%로 내려가는 것이 아니라 다시 4~5%로 올라갈 우려가 커진다면 올해 금리를 인하하는 것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 지금 상황에서는 9월 인하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긴 하지만 물가 경로가 어떻게 나오는지에 따라 올해 인하를 할 수 있느냐 없느냐가 결정되는 만큼(전망하기가) 고민이 된다”라고 말했다.

반드시 물가가 목표 범위에 들어와야만 금리를 내릴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Fed가 물가 경로에 대한 자신감을 얻어야 한다는 뜻이다. 백 연구원은 “자신감은 결국 물가 경로를 확인해야 생기는데, 눈으로 보이는 숫자(지표) 자체가 높으면 경로를 예측한다고 해도 확신을 갖는 것이 쉽지 않다”며 “인플레이션이 둔화 경로를 따라가는 것이 조금 더 명확해질 필요가 있다. 그렇게 되면 물가에 초점을 맞췄던 Fed의 정책 스탠스가 경기나 금융 안정 리스크 쪽으로 좀 더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금리 인하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한 분기 정도 먼저 인하 가능”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시점은 미국보다 빠른 8월로 예상된다. 백 연구원은 “국내 요인만 놓고 보면 한은이 먼저 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며 “우리나라는 물가도 미국만큼 높지 않고 경기에 대한 하방 리스크도 큰 상황이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같은 금융 안정 리스크 이슈도 계속되고 있다. 이런 리스크들을 완화하는 측면에서 정책 공조가 필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물론 한은이 미국과 완전히 동떨어진 상태에서 통화정책을 하는 것은 불가능한 만큼, 미국보다 몇 분기 먼저 금리를 내리기는 쉽지 않다. 그럼에도 최근 선진국들이 통화정책 운용의 차별화를 진행 중인 것을 고려하면, 한은이 미국의 금리 인하 스탠스를 확인한 뒤 한 분기 정도 먼저 금리를 낮출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는 분석이다.

백 연구원은 “스위스는 이미 금리를 인하했고 유럽중앙은행(ECB)도 6월 금리 인하가 예상된다”며 “선제적으로 금리를 낮춘 지역의 금융 시장 상황 등을 살펴본 후 크게 특이사항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우리나라도 국내적 요인을 고려해 더 빠르게 정책 대응에 나설 여지를 한은이 열어 뒀다. 미국이 3~4분기에 확실하게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보일 경우 한은이 3분기에 먼저 인하하는 건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말했다.

최근 치솟은 원·달러 환율은 한은의 선제적 금리 인하를 저지할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그는 “원화 가치 절하는 기본적으로 수입 물가 상승을 가져오고, 인플레이션 리스크로 이어질 측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글 정초원 기자 ccw@hanky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