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소송·배신 난무…구찌家 10년 간 가족 분쟁에 휘말려

    [류서영의 명품이야기] 구찌⑤구찌 창립자의 둘째 아들 로돌프는 아들 마우리치오에게 생 모리츠의 부동산, 밀라노와 뉴욕의 고급 아파트, 스위스은행에 예치된 2000만 달러, 막대한 수익을 내는 구찌 제국의 지분 50%를 포함한 수천만 달러를 유산으로 남겼다. 아버지의 죽음은 서른다섯 살의 마우리치오에게 절망을 안겨 줬지만 해방을 뜻하기도 했다. 로돌프는 마우리치오에게 집요하게 사랑을 쏟아부으면서도 엄격했다. 마우리치오는 아버지에게 무언가를 부탁할 때는 로돌프의 운전사나 비서에게 도움을 청하곤 했다. 로돌프의 비서 카솔의 회고다. “로돌프는 마우리치오에게 성채를 주었지만 그 성채를 관리할 돈은 주지 않았습니다. 마우리치오는 아버지에게 부탁할 용기가 없어 저에게 용돈을 빌리곤 했어요.” 마우리치오는 성인이 돼서도 아버지가 방에 들어오면 벌떡 일어났다. 그의 유일한 반항은 파트리치아와 결혼한 것이었다. 로돌프는 마지못해 받아들인 며느리와 결코 가까워지지 못했지만 화해는 했다. 파트리치아가 마우리치오를 사랑하고 자녀들을 사랑이 넘치는 환경에서 잘 키우고 있는 것이 로돌프의 눈에도 보였기 때문이다. 아버지 죽음으로 독자 결정할 자유 얻었으나 ‘주눅’아버지의 죽음으로 마우리치오는 난생처음 독자적인 결정을 내릴 자유를 얻었다. 재정을 책임지려면 의사 결정을 해야 했지만 그때까지 모든 일을 아버지가 챙겨 줬기 때문에 경험이 부족했다. 뉴욕에 있을 때 창립자의 장남이자 큰아버지 알도에게 얻은 교훈도 시대가 바뀌면서 통하지 않게 됐다.명품업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고 구찌 가족 간의 갈등은 한층 더 심화되고 첨

    2021.08.29 06:00:11

    소송·배신 난무…구찌家 10년 간 가족 분쟁에 휘말려
  • 소송 이슈 해소로 구조적 성장 기대되는 대웅제약[베스트 애널리스트 추천 종목]

    [베스트 애널리스트 추천 종목]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제약·바이오 섹터 내 모든 종목이 수혜를 봤던 것은 아니었다. 보툴리눔 톡신(보톡스)업계는 마스크 착용과 클리닉 방문 자제 등으로 인해 이례적으로 역성장을 경험했다.대표 주자인 애브비(전 앨러간)는 복합 연간 성장률(CAGR) 10%의 성장세를 보여주던 보톡스 제제의 수요가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해 이례적으로 마이너스 33%로 역성장했다. 다만 올해 들어 보톡스 수요가 정상화되고 있다. 애브비의 올 1분기 미용 보톡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한 4억7700만 달러의 호실적을 기록했다. 한국의 1분기 보톡스 수출 데이터 또한 전년 동기 대비 43% 증가한 5155만 달러를 기록했다.대웅제약은 올해 업황이 개선돼 한국과 미국에서 매출 확대가 예상된다. 2분기부터 캐나다 수출이 시작되고 내년에는 유럽 수출이 개시된다. 판매 국가 확대에 따른 보톡스 제품 나보타의 실적 개선이 전망된다. 올해 나보타의 매출은 전년 대비 41% 증가한 710억원으로 국내에서 306억원(+50%), 해외에서 404억원(+35%)이 전망된다. 나보타는 고마진 제품으로 출시 국가 확대에 따른 수익성 개선이 예상된다.대웅제약은 업황 개선 외에도 지난 2월 에볼루스와 애브비·메디톡스 간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 소송이 합의되면서 미국 내 수출 금지 등의 불확실성이 해소됐다. 6월에는 메디톡스와 이온바이오파마(AEON Biopharma)가 치료 목적의 나보타(ABP-450)에 대한 15년간 순매출에 대한 로열티 지급 라이선스 합의를 체결했고 이온바이오파마 주식의 20%(2668만511주)를 액면가로 메디톡스에 발행하기로 합의했다.메디톡스가 캘리포니아 중부지방법원에

    2021.07.21 06:21:03

    소송 이슈 해소로 구조적 성장 기대되는 대웅제약[베스트 애널리스트 추천 종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