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믿었던 '빅맥'의 배신...햄버거 가격 줄인상
대표적 외식 메뉴인 햄버거 가격의 줄인상으로, 서민들의 경제적 부담도 커졌다.우선 버거킹은 3월 10일부터 와퍼를 비롯한 47종의 메뉴 가격을 인상했다. 가격 인상 메뉴는 버거류 32종, 사이드 메뉴와 음료 15종 등 총 47종이다. 평균 인상률은 2%다. 버거킹은 지난해 1월과 7월 각각 가격을 올렸고, 약 8개월만에 또 가격을 인상했다.이에 따라 와퍼는 6900원에서 7100원이 됐다. 갈릭불고기와퍼는 7300원에서 7400원, 와퍼 주니어는 4600원에서 4700원으로 올랐다. 프렌치프라이는 2000원에서 2100원이 됐다.앞서 신세계푸드가 운영하는 노브랜드버거(NBB). 2월 15일부터 메뉴 가격을 평균 4.8% 인상했다. 전체 31종 메뉴 중 23종의 가격이 올랐다.대표 메뉴인 NBB 오리지널 세트 가격은 5200원에서 5400원이 됐다. NBB 시그니처 세트는 5900원에서 6300원으로 올랐다.한국맥도날드는 2월 16일부터 대표 제품인 ‘빅맥’을 포함한 일부 햄버거와 탄산음료 가격을 평균 5.4% 인상했다.맥도날드는 지난해 8월에도 햄버거 가격을 인상한 바 있다. 불과 6개월 만에 또 가격을 올린 것이다.대표 메뉴인 빅맥과 맥스파이시 상하이 버거 단품은 4900원에서 5200원이 됐으며, 점심 특가 메뉴인 빅맥 맥런치 세트 가격은 5500원에서 5900원으로 400원(6.8%) 인상됐다.롯데리아와 KFC, 쉐이크쉑버거도 최근 가격을 올렸다.롯데리아는 3월 2일부터 평균 가격을 5.1% 인상했으며, KFC는 3월 8일부터 버거 메뉴 평균 200원, 치킨 메뉴 평균 100원씩 가격을 올렸다.쉐이크쉑버거도 버거류 10종의 값을 평균 5.2% 인상한 바 있다.국내 1위 버거 업체(매장수 기준)인 맘스터치도 지난해 두 차례 가격을 올린 데 이어 3월 7일 다시 한 번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햄버거
2023.03.10 15:16:07
-
미국 ‘3대 버거’ 파이브가이즈, 한국서도 통할까?
한화갤러리아가 론칭을 준비중인 미국 유명 햄버거 브랜드 ‘파이브가이즈’ 국내 1호점이 6월말 서울 강남에 문을 연다.갤러리아에 따르면 파이브가이즈의 국내 첫 점포는 강남역과 신논현역 사이 강남대로 한복판에 들어설 예정이다. 매장 규모는 전용면적 618㎡(184평) 2개 층이며 좌석은 150여개 정도다.갤러리아 관계자는 “보다 많은 고객들에게 파이브가이즈를 선보이고 싶다는 의지를 담아 다양한 연령층이 모이는 강남역 인근에 1호 점포를 열게 됐다”고 했다.파이브가이즈는 지난해 2월 갤러리아에 부임한 김동선 전략본부장이 브랜드 검토부터 계약 체결까지 주도적으로 진행한 첫째 신사업이다.김 본부장은 브랜드 론칭을 앞두고 최근 본인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계정에 파이브가이즈 관련 콘텐츠를 연이어 올리는 등 홍보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갤러리아는 파이브가이즈 브랜드 유치 전 과정을 진두지휘한 김동선 본부장을 중심으로 조리법부터 서비스까지 ‘오리지널리티’를 최대한 살린다는 방침이다.특히 미국 현지 제품과 동일한 품질을 구현하기 위해 안정적인 재료 공급망 확보에 공을 들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2023.03.09 10:59:15
-
롯데리아도 결국...물류비·인건비 못견디고 가격 인상
롯데GRS가 운영하는 버거 프랜차이즈 브랜드 롯데리아가 2월 2일부터 제품 판매 가격을 평균 약 5.1% 인상한다.롯데GRS는 26일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물류 공급의 어려움 및 물류비ㆍ인건비 상승 등 대내외적 요인에 따른 어려움이 지속하고 있다”며 제품 가격을 인상하겠다고 밝혔다.롯데GRS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매출은 증가했지만 원가 부담으로 인해 수익성은 감소하는 상황으로 가맹본부는 가맹점 동반성장 및 소상공민 이익 보호를 위해 불가피하게 판매가 조정을 결정했다”고 덧붙였다.조정 품목은 버거류 14종을 포함한 총 84품목이다. 제품별 인상 가격은 평균 200원 ~ 400원 수준이다.이에 따라 대표 메뉴인 불고기버거와 새우버거의 단품 버거 가격은 4500원에서 4700원, 세트 메뉴는 6600원에서 6900원으로 조정한다.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2023.01.26 11:07:32
-
[카드뉴스] 소비자들, 경기 둔화에 값싼 패스트푸드점 몰린다
물가 상승 및 경기 침체 우려에 소비자들의 발길이 패스트푸드에 몰리고 있습니다.패스트푸드점도 지난해 대비 제품 판매가가 올랐지만, 타 외식 업체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높아 주머니가 얇아진 고객들의 수요가 집중된 영향으로 분석됩니다.이에 따라 빅테크 종목은 실적이 부진한 반면 패스트푸드를 포함한 음식료 업계의 주가는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습니다. 최근 일주일간 맥도날드 주가는 7.9% 상승했으며, 코카콜라와 펩시코도 각각 수익률 8.6%, 5.3%를 기록했습니다.지난주 맥도날드와 코카콜라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3분기 매출이 각각 시장 전망치를 훌쩍 뛰어넘은 58억 7,000만 달러, 58억 7,200만 달러를 달성했습니다.유로모니터에 따르면 국내 버거 시장 규모도 지난해 3조 3,532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2019년 대비 약 10.8% 성장한 규모죠.소비가 위축된 경기 상황에서도 패스트푸드 업계 실적은 지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김민주 기자 minjoo@hankyung.com
2022.11.06 06:00:03
-
[영상뉴스]몸집 커진 국내 햄버거 시장, 업체 간 경쟁 더 치열해진다
햄버거 시장이 눈에 띄게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국내 햄버거 시장 규모가 2015년 2조 3,000억 원에서 2018년 2조 8,000억 원, 2020년 2조 9,600억 원으로 꾸준히 성장해왔습니다. 특히 지난해에는 큰 폭으로 뛰어 약 4조 원까지 증가한 것으로 추산됩니다.기존 햄버거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매출 또한 일제히 상승했는데요. 금융감독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맥도날드와 버거킹, 롯데리아의 매출이 전년 대비 각각 약 9.7%, 18.7%, 1.7% 증가했습니다. 그중 맥도날드는 매출액 8,679억 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죠.전문가들은 코로나 장기화로 인해 배달 음식 수혜를 본 데다가 버거 브랜드들이 기존 정크푸드 이미지를 탈피해 고급화 이미지 전략을 내세우면서 수요가 증가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수요 트렌드의 중심에 서 있는 MZ세대의 취향도 성장세에 한몫했다고 보입니다.이에 따라 많은 업체들이 버거 시장에 너도나도 발을 들여놓고 있습니다. 특히 수도권을 중심으로 햄버거 브랜드가 줄지어 생겨나고 있죠.대우산업개발의 자회사인 이안GT는 고급 햄버거 브랜드 '굿스터프이터리'를 들여와 다음 달 중으로 강남에 문을 엽니다. bhc그룹도 미국 유명 햄버거 브랜드인 '슈퍼두퍼'를 들여와 6월 강남역에서 선보일 예정입니다. 한화도 ‘파이브 가이즈’ 매장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작년 잠실에 생긴 '고든램지버거'도 아직 대기 줄을 서야 할 정도로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으며, 앞으로 국내에 2,3호점을 열 계획입니다. 명품 업체인 구찌도 ‘구찌 오스테리아 서울’ 레스토랑을 오픈하고 햄버거를 판매하고 있죠.이
2022.04.28 15:5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