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많이 상승한 품목은 햄버거로 27.8% 가격 올라
피자, 김밥 등도 20% 내외로 상승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 물가 지수는 117.15로 한 달 전보다 0.7% 상승했다.
외식 물가 지수는 2020년을 100으로 삼고 있따. 외식 물가는 전월 대비 기준 2020년 12월부터 29개월 동안 계속 상승세를 보이는 상황이다.
원가 및 인건비 상승이 원인으로 꼽혀29개월(2년 5개월) 동안 누적된 물가 상승률은 16.8%였다. 특히 상승률이 높았던 품목으로는 햄버거(27.8%)였다.
실제로 최근 비교적 ‘저렴한 한 끼’로 꼽히던 햄버거 가격이 줄줄이 오르면서 소비자들의 한숨이 커지고 있다.
버거 프랜차이즈 업체들의 ‘도미노 인상’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업계에 따르면 버거킹은 지난 3월부터 버거류 32종, 사이드와 음료 15종 등 총 47종에 대해 판매 가격을 평균 2% 인상했다. 지난해 1월과 7월에 이어 8개월 만에 다시 가격을 올렸다.
이번 가격 조정으로 와퍼는 6900원에서 7100원, 갈릭불고기와퍼는 7300원에서 7400원, 와퍼 주니어은 4600원에서 4700원, 프렌치프라이는 2000원에서 2100원으로 각각 올랐다.
올해 초 롯데리아와 맥도날드를 비롯해 맘스터치, 노브랜드 버거, KFC, 써브웨이도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햄버거의 뒤를 그 뒤를 피자(24.3%), 김밥(23.2%), 갈비탕(22.5%), 라면(21.2%) 등이 이었다.
자장면(21.0%), 생선회(20.4%), 떡볶이(19.9%) 등도 20% 내외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일각에서는 코로나19 방역 조치가 완화되면서 식료품 수요가 외식 수요로 옮겨가면서 물가 상승을 부추겼다는 분석도 나온다.
외식을 제외한 개인 서비스 지수도 한 달 전과 비교해 0.8% 올랐다.
외식 외 개인 서비스 77개 품목 중 한 달 전보다 오른 품목 수는 56개(72.7%)였다.
호텔 숙박료(5.5%), 승용차임차료(5.0%), 국내단체여행비(4.4%), 운동경기관람료(2.5%) 등 일부 여행·레저 관련 품목들이 한 달 새 2% 넘게 올랐다. 이 부분 또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등 코로나19 방역 완화로 수요가 늘어난 영향 때문으로 해석된다.
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 매거진한경,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